Blog Archive

2007-12-24

불확실한 미래를 기대와 설렘으로 만드는, 용기!

용기이러닝 담당자 교류회에 갔다가 책을 하나 받았습니다. 원래는 유영만 교수님이 특강을 하시기로 되어 있었는데 일정이 변경되고 대신 이 "용기"라는 책을 얻어왔습니다. 보아하니 두께도 얇고, 그림도 많고, 읽기 쉬울 것 같아서 지금 읽고 있는 책 두어 권을 다 덮어버리고 요걸 먼저 읽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자는 교육공학을 전공하신 분인데 이런 종류의 대중 서적 집필이나 대중 강연을 비교적 많이 하신 분입니다. 그중에 몇 번 들어봤는데 솔직히 제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강연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책을 대할 때 굳이 비판의 쌍심지를 치켜들고 보는 대신에 되도록이면 겸손하게, 나의 머리와 가슴을 비워두고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나영재와 오대범이라는 두 명의 인물이 나와서 대화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인물의 작명도 그렇고, 실생활에서 있을 수 있는 전형적인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그것을 해결해주는 튜터를 등장시키는 것도 모두가 마치 우리 나라에서 많이 보는 스토리텔링식의 이러닝 과정을 책으로 옮겨 놓은 것 같습니다. 요즈음 이러닝 하는 사람들은 "스토리텔링"이 화제 거리입니다. 물론 이건 이러닝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다른 자기 계발 서적들과 달리 스토리텔링식으로 책 전체를 구성한 것은 참 재미있었습니다. 비록 스토리가 아주 흥미진진하진 않았지만 말이죠.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게 되는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7가지 용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렇지요. 저도 해보지도 않고 미리 걱정하고, 해보지 않은 것 때문에 더 후회하는 어리석음을 많이 범해왔습니다. 누구나 현재의 선택이 옳은 것인지, 미래에 더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지는 잘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선택이란 행동으로 옮겨야 의미가 있습니다. 재고 또 재는 신중함도 중요하지만 그러다가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시간이 흘러간 뒤 후회하면 뭣하겠습니까? 행동으로 옮기려면 자신감과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 자신감과 용기는 불확실한 세상과 끝없이 일어나는 변화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영향을 받는 것 같습니다. 책 속에서 오대범 선생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실 세상이 모두 확실하게 밝혀져 있고,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그만큼 재미없는 인생도 없을 거야.


No-Where! 짙은 안개 속엔 나의 길이 없다고 생각하지 말자. Now-Here! 바로 지금 여기가 나의 길이다!

2007-12-13

기대하지 않았던... 넘치는 유쾌함, 헤어스프레이

헤어스프레이주중에 하루 휴가를 냈습니다. 그동안 밀렸던 은행 일들을 끝내기 위해 시외 버스까지 타고 왔다갔다 하며 오늘 하루만 은행을 다섯 군데나 돌았습니다. 그렇게 모든 일을 마치고 오산에 돌아왔는데 웬지 그냥 집에 들어가기엔 아까운 것 같아, 영화관에 들러 시간 되는 것으로 선택한 영화가 바로 헤어스프레이! 포스터를 보아하니 웬 촌스러운 여자가 전면에 웃고 있는 것이, 분명히 삼류 코메디일거라고 생각하고 들어갔습니다. 언제나처럼 오산의 영화관은 자리가 남아돌기 때문에 가장 보기 좋은 자리에 턱 하니 앉아서 느긋하게 영화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드디어 짠~


"안녕, 볼티모어(Good morning, Baltimore)"라는 노래로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게 가만히 듣고 있자니 상당히 기분 좋게 만들고, 귓가에 착 달라붙습니다. 음, 심상치 않은 영화일 것 같은 예감이 들었죠. 처음부터 끝까지 유쾌, 통쾌, 상쾌한 춤과 음악들이 멈추질 않습니다. 주인공은 트레이시는 외모로는 볼품없는 뚱보 소녀이지만, 낙관적이고, 낭만적이고, 재능이 넘치며, 희망적인 미래에서 현재 사람들에게 들려주는 벨 소리를 들을 수 있고(I can hear the bell), 불합리한 관행과 관습을 바꾸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가이자, 탐험가이고, 혁신주의자입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복고적인 의상과 머리 모양, 그리고 춤과 노래, 사람들의 대화, 흑백 텔레비젼를 통해 현존하는 세계 최대 강국인 미국의 옛날 모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1960년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o the 60's)"라는 재미있는 노래를 통해 그 때에 미국이 변화의 소용돌이에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21세기 시각으로 보면 너무나 당연한 것이 그 당시에는 불가능했었더군요. 흑인과 백인이 사랑을 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거니와, 흑인과 백인이 함께 TV에 나올 수도 없고, "검둥이의 날(negro day)"이 지정되어 그 때엔 흑인들만 따로 TV에 나오는 참 어처구니 없는 시대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불합리한 것들은 평등한 세상이 미래이고 대세라는 믿음을 가진 주인공과 흑인들의 투쟁에 의해 바뀌어갑니다. 아마 몇 십년이 지나서 우리가 현재를 뒤돌아보면, 우리도 똑같은 생각을 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 때가 되면 지금은 이단자나 몽상가로 찍히는 사람들이 미래에는 선구자(frontier)로 인식될지도 모르지요.


아무튼 기대하지 않았던 수작이었습니다. 영화 보는 내내 재미있고, 유쾌하며, 영화 보고 나면 스트레스가 확 날아갑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영화로 만들어서인지, 노래가 참 많이 나옵니다. 그리고 노래가 영화를 지배하다보니 영화 속 대사, 메시지, 표현이 함축적이고, 비유적이며, 위트있고, 감동적인 것들이 많습니다. 어디서 노래 가사나 영화 대본을 구하고 싶어집니다. 아직 영화의 장면들이 따끈따끈한 상태일 때에 몇 개를 까먹기 전에 얼른 정리해보았습니다.


볼티모어 꽃게 아가씨(Miss Baltimore Crabs)
이것은 그냥 기억나는 재미있는 영어 표현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지역 특산물과 연계해서 무슨 지역 고추 아가씨 선발 대회가 있었던 것처럼, 미국에서는 볼티모어 꽃게 아가씨라는 표현을 쓰나보네요.
사랑이 없는 인생은 여름이 없는 계절이고, 드러머가 빠진 록큰롤이다 (Without love, life is the season without summer, rock 'n' roll without drummer.)
그 밖에도 사랑이 없는 삶이 뭐와 같다가 몇 개 더 있었는데, 이게 가장 기억에 남는군요.
체크 무늬를 만들자! (Do the checkerboard!)
이건 흑인 시위대가 피켓에 써놓은 메시지 중에 하나입니다. 백이 있으면 흑이 있어야 조화가 된다는 참 재미있는 표현입니다. 또 하나 재미있었던 표현은 "TV는 흑과 백이 다 있다 (TV is black and white)"라는 것이었습니다. 요즘 같으면 이렇게 안하고 "TV has colors!" 정도로 쓰지 않았을까요? ㅋㅋ
당신은 나의 영원한 사랑! (You are my timeless to me.)
주인공 트레이시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부르는 노래 가운데 나오는 가사입니다. 영원하다는 표현에 참 가슴이 찡하게 만드는 노래였습니다.
이것이 미래다! (This is the future!)
흑인과 백인이 함께 어우러져 신나게 춤추는 것이 생방송으로 나가는 것을 멈추라고 말하는 방송국 매니저 벨마에게 쇼 호스트인 코니가 거절하며 내뱉은 짧은 한 마디!
빅 사이즈 전문 옷가게 (hefty shop?)
정확한 표현이 잘 기억나질 않는데, 아무튼 헤프티만 생각나네요. 그런 가게가 따로 있다는 것도 재미있고, 헤프티라는 표현을 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온라인에서 온통 어거스트 러쉬가 화제이던데... 아직 못 봤습니다. 그러나, 헤어스프레이! 강추입니다.

2007-12-10

여유있게 걷게 친구

이 노래는 금호 오비 합창단 연습하면서 불렀던 곡인데, 무대에는 오르지 못하고 연습만 하다 흐지부지된 많은 곡들 가운데 하나이다. 대부분의 연습곡이 무슨 교회의 코랄이나 초급 화성학 문제처럼, 다이나믹하지 않은 곡들이었는데, 몇 안 되는 다이나믹이 좀 있는 곡이어서 매우 좋아하는 곡이다. 신나게 불러야 하지만, 빨라지면 않되고, 가사처럼 여유있게 불러야 한다. 악보상으로는 사분음표가 1분에 60에서 66정도 되는 속도라고 하니까 진짜로 "여유"있게 천천히 불러야 하는데, 그보다는 약간 빠르게 쳐보았다. 먼저 피아노 반주 부분을 CLP-270의 기본 피아노로 녹음하고, 그것을 틀어놓고, 합창 부분을 얹어서 바로 곰 녹음기로 녹음했다. 이 노래처럼, 내일 일어날 일들을 걱정하지 않고, 여유있게 걸어가며 사람들의 말을 들어볼 수 있는 삶이 되기를 희망하며...


곡, 연주 정보


  • 작사/작곡: 돈 베지그(Don Besig) 작곡, 김동현 역사
  • 연주 악기: 야마하 CLP-270 (Grand Piano 1, XG Voice Oh, SynthString)
  • 녹음: 곰 녹음기 (비트 전송률 192Kbps, 오디오 샘플 레이트 44KHz, MP3)
  • 연주 시간: 3분 21초
  • 여유있게 걷게 친구 들어보기

가장 끝 네 마디에서 점점 느리게(리타르단도) 해야 하는데 합창 부분과 피아노가 어긋나고 말았네요. 자기가 연주한 것인데도, 아무런 시각적인 단서 없이 오로지 두 개의 연주를 완벽하게 맞추기가 무척 어렵더군요. 그래서 두 사람이 같이 호흡을 맞추며 연주할 때는 서로 눈빛과 몸짓을 교환하는 것이, 여러 사람이 연주할 때는 지휘자의 역할이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가사


여유있게 걷게 친구
그 길을 따라서 걸어갈 때
내일 일어날 일들을 걱정하지 마요
오늘로 충분하니까
여유있게 걸어가며
사람들의 말 들어보아요.
꿈보다 더 큰 삶에서 뜻을 찾아봐요
우리의 모습을 찾아요 날마다
매일 아침 떠오르는 저 태양
바라보며 새날을 감사해요
시간따라 찾아봐요 혼자서 할수 있는 일을
생각해요 친구 그 일들을 놓치지 마세요
기회를 잡아요 인생이란 만드는것
시작해요 날마다 신나게
기회올 때 새롭게 시작해 봐요
믿고 하면 꼭 승리할 수 있어.
높은 야망 하늘까지 열성 다해 꼭 이루세요
생각해봐 친구 그 일들을 놓치지 마세요
기회를 잡아요 인생이란 만드는것
시작해봐 날마다 신나게
새로운 삶 날마다

2007-12-02

포장의 딜레마

오랜만에 신발장을 정리하는면서, 내가 지금까지 모아놓은 비닐 봉지가 이렇게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시장이나 편의점 등에서 물건을 사면서 받은 비닐 봉지, 속옷을 포장하는 비닐, 전자제품 포장 비닐, 회사에서 쓰는 보안용 비닐 봉지, 제과점에서 빵 담아주는 비닐, 시에서 나오는 쓰레기 봉투에 이르기까지 정말로 많은 양의 비닐이 있었다. 사실은 서울에서 이사오면서 버리지 못한 비닐부터 시작해 정말 많은 비닐 봉지가 쌓였다. 이런 비닐들은 여행이나 등산 갈 때에 장비나 옷을 분류해서 담거나, 쓰레기를 모으는 데에 쓰고, 또, 집에서는 공식 쓰레기 봉투에 담기 전에 쓰레기들을 임시로 담아두는 데에도 쓰고, 무척 열심히 써서 없애려고 해도 쌓이는 양이 쓰는 양을 따라가지 못한다.


포장이 상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고, 예쁘게 보이게도 하고, 오래 보관하거나 진열할 수 있게 하고, 상품을 구별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래도 무슨 물건을 하나 구입하게 되면, 거기에서 나오는 포장지 쓰레기가 정말 장난 아니다. 동네에서 구입하는 케이크, 계란, 두부, 와이셔츠, 속옷, 전자 제품에서 나오는 엄청난 양의 포장지, 포장 비닐, 플라스틱, 스티로폼과, 그것들을 담는 종이 가방, 비닐, 택배나 우편물의 포장, 심지어는 세탁소에서 세탁물에 씌우는 보호 비닐, 음식물에 씌우는 랩 등등... 그나마 동네 구멍 가게나 수퍼, 재래 시장에서 물건을 사면 대형 마트에서보다 쓰레기가 조금은 덜 나온다. 동네 과일 가게에서 과일을 사면 그냥 과일만 갖고 오지만, 편의점이나 대형 마트에서는 사과 두 개만 사도 상당한 양의 포장 공해가 고스란히 따라온다. 그리고 마트에서는 꼭 필요한 것보다 쓸데없이 많이 사게 된다.


우리 동네 수퍼에서는 비닐 봉투에 식료품 담아주는 것을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고, 고객들이 싫어할까봐 봉투값도 받지 않는다. 그럴 때마다 나는 "비닐 필요 없어요." 라고 말한다. 그러나 가끔씩은 나도 예상하지 못할만큼 구매한 물건의 부피가 커지는 경우가 생기고 그럴 때에는 어쩔 수 없이 비닐 봉지를 사용하게 된다. 가끔씩은 장바구니를 미리 준비해가는데, 이게 습관이 안 되어 그냥 무계획적으로 장보러 뛰어나가는 경우가 꽤 많다.


비닐이 땅 속에서 썩기까지는 최대 500년이 걸린다고 한다. 그리고 땅 속에 버려진 비닐들은 물과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여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하고, 토양의 질도 나빠진다고 한다. 소비자로서 내가 사용하는 비닐의 양도 이렇게 엄청난 것을 생각하면 정말 한숨이 나온다. 사실 전혀 포장하지 않은 상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다고 포기할 일은 아닌 것 같다.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업자 모두 포장의 공해를 줄이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개별 소비자로서는 뭘 할 수 있을까? 그리 많지는 않겠지만, 얼른 생각나는 것들로는... 과대 포장이 되지 않은 유통 경로가 단순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 꼭 필요한 것만을 소비하는 것, 계획적인 소비를 하는 것, 장바구니를 사용하는 것, 비닐 봉지나 종이 가방 사용을 거부하는 것 정도? 어쨌든 포장 쓰레기로 인해 좁은 집에 사는 나도 숨이 막힐 지경이다.

2007-11-23

Beautiful Dreamer (포스터, 꿈길에서)

Here is another piano practice with my new digital piano, Yamaha Clavinova CLP-270. Stephen Foster's Beautiful Dreamer is short and easy to play but quite an adorable tune. I recorded the piano part first and then added the melody with "Recorder" patch from XG of CLP-270. CLP-270, actually, provides extremely poor XG set :-(. The "Recorder" i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among the full of mediocre instruments. I feel sorry for my clumsy fingering and slightly asynchronous notes between the melody and accompaniment as a result.


Listen to Beautiful Dreamer

2007-11-10

내 마음 속의 엘가, 사랑의 인사

디지털 피아노를 샀다. 10년간 써오던 키보드를 보내고, 그 빈 자리가 너무 허전했는지 생각보다 훨씬 빨리 저지르고 말았다.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범위에서는 꽤 알아주는 야마하의 고급 기종인 CLP-270을 선택했는데, 집에 도착하고 몇 번 쳐보니 실망이 무척 컸다. 아무리 디지털 피아노가 좋아졌다 해도, 어쿠스틱 피아노의 풍부한 배음과 자연스러운 울림, 다이나믹한 연주의 즐거움을 느낄 수가 없었고, 어딘지 모르게 답답했다. 중음역대는 샘플링이 촘촘하게 되었는지 상당히 좋은 소리가 났지만, 저음역대와 고음역대는 급격하게 순하지 않고 높이를 알기 어려운 타악기같은 소리가 났다. 몇 시간 동안 쳐보면서 "이건 아니네"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지만, 또 그렇게 시간이 가다 보니, 내 귀가 그 소리에 익숙해진 건지 그런대로 적응이 되었다. 그리고 61건반 키보드에 비하면, 터치감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았으므로 좋은 점만 생각하기로 했다.


몇 가지를 시도해보다가, 첫 녹음곡으로 엘가의 사랑의 인사를 골랐다. 피아노 솔로로 할 수 없는 곡이기도 하려니와, 내 마음 속에 있는 기억에 의존해서 제멋대로 바꾸고, 복잡하고 어려운 부분은 생략하고, 왜곡한 "짜가" 버전이다. 녹음이 끝나고 실제 원곡은 어떨까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더니 세상에! 원곡은 마(E)장조였다. 마장조는 샾이 네 개나 붙어서 나에게는 아주 날카롭다는 선입관을 주는 조성인데, 내 마음 속에는 왜 증4도(또는 감5도)로 가장 거리가 먼 내림나(Bb) 장조로 남아있었을까? 어쨌든 엉터리 내림 나장조의 피아노 솔로로 바꾼, 엘가의 사랑의 인사로 새 피아노와 인사하였다.


엘가의 사랑의 인사 듣기

2007-11-04

거대한 검은 커넥션?

김용철 전 삼성 법무 팀장이 천주교 정의 구현 전국 사제단에 밝힌 내용은 예상했던 것보다 더 충격적이다. 삼성의 영향력은 정치, 언론, 정부, 학계 등 모든 힘 있는 사람들에게 닿아 있는 것 같다. 그러니 이렇게 세상이 발칵 뒤집힐만큼 썩은 냄새가 진동하고, 역겹고 구린 정황들이 제시되어도, 기자실 통폐합에 맞서 언론 자유(?)의 목소리를 높이던 주요 신문들은 지금까지도 모른 척 하고 있고, 신정아, 변양균 사건에는 그렇게 빨리 움직이던 검찰은 수사할 생각을 안 하고 있다. 그런 와중에 삼성으로부터 밉보여 광고가 떨어져나가면 언론사 생존에 엄청난 영향을 줄 것을 감수하고도 용감하게 관련 사실을 전하는 몇몇 소수 신문사와 언론들의 외침이 애처롭기만 하다. 주요 언론사들의 비겁하고 의도적인 외면과 직무 유기, 침묵 가운데에서도 자발적인 수많은 블로거들이 삼성의 문제를 의미있게 다루고 있고, 블로거들을 이어주는 블로고스피어를 통해 그들이 교류할 수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대다수 네티즌들이 잠재적인 범죄자로 보이는 한나라당의 정두언 의원 같은 사람에게는 눈에 가시같겠지만... 아무튼 얼마나 거대한 검은 커넥션이 숨어 있길래 대한민국의 대표 입들과 손들이 입다물고 뒷짐지고 있는 것일까? 가만히 있으면, 곳곳에 포진된 삼성 사람들에 의해 이번에도 역사에 묻혀버리진 않을까?

2007-10-22

신디사이저를 무료로 드립니다.

2007년 10월 22일 월요일 저녁 8시 2분에 추가: 죄송합니다. 생각보다 관심을 가진 분이 많아서 드릴 분이 바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제일 먼저 연락 주신 분에게 드리기로 약속했습니다. 감사합니다.


GS1000 synthesizer제가 가지고 있으면서 미운 정 고운 정이 다 들었던 엘지전자의 GS1000 신디사이저를 무료로 드립니다. 제품이 아마 지난 1995년경에 출시되었고, 제가 1996년 즈음에 중고로 정확히 65만원에 구입했습니다. 그 당시 신제품 가격은 120만원 정도 했을 것입니다.


조건


무료로 드리지만 조건이 있습니다. 제품이 상당히 무겁고(본체가 13.8kg) 크기 때문에 택배로 보내드리기 어렵습니다. 직접 와서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여기는 경기도 오산입니다. 가져가실 분은 개인 메일(sshin90 골뱅이 야후 쩜 씨오 쩜 케이알)이나 댓글로 연락주십시오.


포함된 것들


건반 본체, 엑스(X)자 모양 받침대(다리), 서스테인 페달, 전원 케이블(220볼트), 보면대, 운반용 가방(품질이 조악합니다.), 사용 설명서, 소니 다이나믹 마이크 F-VX600


건반


5 옥타브의 61개의 플라스틱 건반이 있습니다. 건반 세기는 인식을 하지만 무게가 너무 가볍고 터치감이 전혀 나지 않기 때문에 빠른 피아노곡이나, 클래식 음악처럼 익스프레션을 세밀하게 조정해서 치는 것은 좀 어렵습니다. 그리고 C6(높은 도) 근처의 두 세 개의 건반이 약간 고장났습니다. 매번은 아니고 가끔씩 건반에서 손가락을 뗄 때에 음이 한 번 더 나오는 현상이 생깁니다.


음색


그럼에도 "신디사이저"라는 이름을 그래도 붙인 이유는, 지금 봐도 상당히 막강한 기능과 꽤 괜찮은 음색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레이어(layer)라 불리우는 음색 혼합, 패닝(panning, 좌우 음량 조정), 센트(cent) 단위로 조정 가능한 피치(pitch), 톤(음색의 밝기), 떨림(modulation)의 속도와 깊이, 각종 리버브(reverb)와 코러스(chorus) 효과는 물론이고, 엔빌로우프(소리의 어택(attack), 디케이(decay), 서스테인(sustain), 릴리스(release))까지 그래프를 보면서 조정 가능한 음색 편집 기능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GM 128음색과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음색 128개, 그리고 8개의 드럼 킷을 내장하고 있으며, 16 채널 미디 연주가 가능하니, 건반 기능은 차치하고 그냥 미디 사운드 모듈로 쓰더라도 큰 손색이 없을 것입니다.


녹음


녹음은 6개의 트랙으로 가능하고, 악보나 피아노롤(piano-roll)로 편집이 가능하고, 내장 메모리 또는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 가능합니다. 리듬은 98개의 기본 리듬과 98개의 사용자 정의 리듬이 있고, 8개까지 사용자 정의의 반주 스타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작업들은 대부분 PC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써보진 않았습니다.


스테이지 피아노 기능


무대에서 사용하기 좋게 8개의 드럼 패드가 있고, 여기에 음색 셋트를 32개까지 저장해놓고 바로 불러서 쓸 수 있습니다. 피치 벤드(pitch bend)와 모듈레이션 휠(modulation wheel)이 달렸는데, 제가 중고로 구입할 때부터 모듈레이션 휠이 고장나 있어서 한 번도 써보질 못했습니다. 물론 미디 인, 아웃, 쓰루(through)와 헤드폰, 에코 조정 가능한 마이크, 라인 인, 아웃 단자 기본으로 다 있습니다. 친구로부터 받은 서스테인 페달이 있는데, 달그닥 소리가 워낙 심해서 조용한 곳에서는 쓰지 못합니다. 음, 그리고 15와트짜리 스피커가 두 개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 밖에


그 밖에 뭐가 있을까요? 내장 데모곡과 음악 선생님(music teacher) 기능이 있고, 손가락 연습용 곡들이 몇 개 있습니다. 정말 쓸 데 없는 기능이지요. 동시 발음수는 24인데 그 당시로서는 대단한 거였지만 요즈음 나오는 악기들에 비하면 한참 낮습니다. 그러나 어차피 이 건반으로 페달이 많이 들어간 어려운 클래식 피아노 곡을 연주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24 동시발음수가 특별히 부족했던 적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열에 한 번 정도 전원을 올릴 때에 메모리가 리셋되는 현상이 생깁니다. 그러면 메모리에 저장해놓은 셋팅이나 곡들이 초기화됩니다.


실제 연주된 악기 소리


아마 어떤 소리가 나는지가 제일 궁금하실 것입니다. 예전에 제가 녹음했던 몇 개의 곡을 들어보고 판단해보십시오. 기계적으로 조작하지 않고, 직접 실시간으로 GS1000으로 연주한 것입니다.




곡 이름사용 음색기타
해벗누리Glock Piano(?), ViolaGS1000에서 2트랙으로 저장하고 PC로 녹음
영화 뮬란(Mulan) 중 리플렉션(Reflection)ElPiano 2, Glock Piano
언제나 시작은 눈물로 앨범에서 잘 가오 그대Nylon Guitar, SynthStr2
오페라 까발레리아 루스띠까나 중 간주곡MellowViol, Slow Strings
ReminiscencePiano 1녹음을 잘 못해서 잡음이 끼었음.
뮤지컬 캣츠 중 메모리Piano 1
애니메이션 라퓨타 주제곡Piano 1, Stereo Piano
평창 사람들에게(동요 무궁화를 변형)Piano 1, Stereo Piano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중 밤의 음악GlockPiano, ElPiano 1
영화 아이스 캐슬(Ice Castle) 중 Looking through the eyes of loveElPiano 1

2007-10-14

A SMIL practice

SMIL represents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recommended by W3C. It is one of the XML applied domains which can control multiple images, videos, sounds, and texts. It is theoretically known as easy to develop, fairly accessible, and web native while it is not accessible in most common environment, only supported partly by a few web agents or players.

I developed a simple SMIL file for practice purpose. I just started to learn its syntax by myself and I am still far from making it highly compatible, standard-compliant, or accessible. I tested this first SMIL presentation with RealOne player and Ambulant Player 1.8. Ambulant Player is the only player who supports SMIL version 2.1 and RealOne supports 2.0 while Apple's QuickTime supports 1.0. Although Internet Explorer 5.5 or higher supports XHTML+SMIL, this combination does not work on other browsers.

Therefore, I tried to embed the SMIL file in my web page using standard <object> HTML element with type="application/smil+xml" attribute but failed because I could not find any browser which supports this MIME type automatically. I had no choice but to include non-standard deprecated <embed> element for non-Internet Explorer browsers with RealPlayer ActiveX for Internet Explorer.



Download the SMIL presentation file: October Trip to Haneul Park with CMHV Befrienders(2007)

Any feedback including comments, suggestions, or critiques for more accessible SMIL and more compatible SMIL embedding in a web page would be welcomed.

The presentation shows a series of photos taken at Haneul Park with my community members in CMHV paralleled with a background musical piece which was composed by me long time ago.

Feed crashed! Feedburner subscriber disappeared!

오랜만에 피드버너(Feedburner.com)에 들어가서 내 피드 현황을 확인해보니 갑자기 구독자가 0이 되었습니다ㅠㅠ. 그래서 제가 쓰는 RSS 리더를 총 동원해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피드 버너(feedburner.com), 구글 리더(www.google.com/reader), 블로그라인스(bloglines.com), 한RSS(hanrss.com), 다음의 한메일(daum.net), 마이 야후(my.yahoo.com), 오페라 브라우저에 내장된 구독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내장된 구독기, 파이어폭스에 내장된 구독기, 올블로그(allblog.net), 그리고 피드 밸리데이터(feedvalidator.org) 등으로 모두 검사를 해보았는데, 모두 다 안 되고, 오직 브라우저에 내장된 구독기만 작동을 합니다.


워드프레스 피드 부분 소스가 잘못 되었나 몇 번을 봐도 답이 안 나오더군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많은 시간을 들여 워드프레스를 2.3으로 업그레이드했는데도...!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워드프레스 문제가 아니라면 아주 옛날 옛적에 홈페이지에 만든 제로보드 게시판에 붙은 RSS 피드는 잘 잡히는지 검사해보았습니다. 음... 제로보드 게시판에 붙은 피드도 작동을 안 하더군요. 아니 옛날 홈페이지는 소스 손보지 않은지가 수만년은 지났는데 어떻게 갑자기 이런 일이...


그렇다면 잠정 결론은 며칠 전에 호스팅 업체가 옮겨준 서버에 문제가 있다고 봐야겠군요. 모든 피드 검사기의 주요 에러 메시지가 대략 피드 URL이 틀린 것 같다., 서버 시간 초과 이런 식으로 나오는 것으로 봐서 호스팅 업체의 PHP 서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혹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아시는 분 좀 도와주십시오.


Although there seems to be no errors in my feed URL or feeding XML source, both RSS and ATOM feeds are not working properly especially for the users of web-based RSS aggregator. A server misconfiguration or any unknown reason is suspected to cause this feed error and I asked my web hosting provider to check this. If you are a subscriber of my blog, your RSS reader will not update any posts from my blog for the time being. I feel really sorry about this.


October 17, 2007: Some aggregators including Google Reader, Bloglines, Allblog, and Feedburner returned to the normal status although I lost some subscribers. Feed Validator, My Yahoo! still cannot recognize the feed. Plus, the loading speed of the web pages became much slower again. Hosting provider seemed to do something on my request.

2007-10-09

우리바탕, 우리돋움 출시에 대한 개인 의견

한글날을 맞아 우리글닷컴에서 개발한 소위 지능형 한글 글꼴이라는 것을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고 신문에 보도되었습니다. 글꼴을 만드는 작업은 고도의 기술력과 프로그래밍, 디자인, 노력, 비용의 산물이기 때문에 우리글닷컴에서 개발한 결과물에 대해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그런 노력에 꼬투리를 잡으려는 의도는 아니며,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로서 느낀 몇 가지 아쉬움, 신문 기사의 오류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제가 틀린 내용을 주장한다면 댓글로 반박해주십시오.


첫째, 서명덕 기자님의 기사에는 약간 오류가 있습니다. 기존에 윈도우즈 사용자들이 쓰던 굴림, 돋움 글꼴은 비트맵 글꼴이 아니라 트루타입 글꼴이지만, 작은 크기에서 트루타입 힌팅(hinting)이나 래스터라이징(rasterizing) 기술이 떨어질 때에 만들었던 글꼴이라 가독성을 임의로 높이기 위해 글꼴 크기마다 비트맵으로 디자인을 해놓은 것 뿐입니다.


둘째, 화면용 글꼴과 인쇄용 글꼴의 이원화는 비단 우리 나라에서만 생긴 문제는 아닙니다. 로마자 알파벳을 쓰는 서구 문화권에서도 아직까지 화면용 글꼴로는 고딕 계열(sans-serif)을 더 많이 사용하고, 인쇄시에는 명조 계열(serif)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것은 모니터와 글꼴의 품질이 아무리 발전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명조 계열을 종이에서만큼 깨끗하게 표시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사람들도 그것을 그냥 당연하거나 익숙하게 생각하기도 하구요.


셋째, 명조 계열 글꼴의 가독성이 더 좋다는 증거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김태진(1991)의 실험 결과에서도 명조 계열 글꼴과 고딕 계열 글꼴의 지각적 반응 속도의 차이는 거의 없었고, 당시 유행하던 탈네모꼴 글꼴보다 네모꼴 글꼴을 더 쉽게 지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후로 제가 어떤 연구가 되었는지 찾아보지 않아서 추가적인 어떤 증거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른 증거가 있다면 알려주십시오.


넷째, 인터넷 한글 활자의 공급이 마이크로소프트사에만 의존하고 있다면서 한국인을 위한 한국인에 의한 인터넷 활자의 제작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하필이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작동하는 비표준 독점 기술인 액티브 엑스를 사용해야만 글꼴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다른 브라우저 사용자들은 유료로 돈을 주고 글꼴을 사야 하겠지요.


다섯째, VTT(Visual TrueType)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폰트 개발 도구로 윈도우즈 XP에서부터 도입된 소위 클리어타입(ClearType)이라는 발전된 힌팅 기술을 적용해 글꼴을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 툴을 이용했다는 것과, 한글 글꼴폭을 가변적으로 했다는 것만으로 지능형 한글 시스템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좀 과장인 것 같습니다. 가변폭 글꼴은 이미 1990년대에 빨래줄 글꼴이 나오면서 등장을 했고, 글자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초기에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처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었지만 옛날의 이야기입니다. 디자인 면에서는 완전히 똑같은 폭에 모든 글자를 가두지는 않고, 그렇다고 기존의 빨래꼴 글꼴처럼 심한 변화를 주지는 않았네요. 그런데 "이" 모음이 있는 글꼴이 "오"나 "우" 모음 글꼴보다 확연하게 좁게 한 것이 개인적으론 아주 자연스러워보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한글 글꼴에서 글꼴의 특성에 따라 시각적으로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해주는 커닝(kerning)이 적용된 글꼴이 없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아주 반가운 일입니다.


참고: 영문 글꼴들은 보통 글자에 따라 폭이 넓거나 좁은 대신, 글자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글자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특수한 경우(예를 들면 코딩할 때 쓰는 글꼴이나, 구식 타자기 글꼴)에는 글자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신, 세리프(serif)를 크고 과장되게 그려서 여전히 글자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지요.


여섯째, 클리어타입이 모든 모니터에서 다 깨끗하게 잘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저같이 구형 LCD 모니터를 쓰는 사람들은 대부분의 힌팅을 적용한 글꼴들이 상당히 많이 퍼져서 흐릿하게 보이거나 색번짐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윈도우즈 비스타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맑은 고딕 글꼴에 똑같이 클리어타입을 적용해서 봐도, 고급 노트북 화면에서 볼 때와 구형 아날로그 연결 방식의 LCD 모니터에서 볼 때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구형 모니터에서는 아직도 클리어타입을 비롯한 모든 힌팅 옵션을 다 끄고, 그냥 얇고 또렷한 굴림을 사용합니다. 맑은 고딕을 강제로 적용한데다가 전경과 배경색의 대비도 흐릿하게 해놓은 웹 페이지를 윈도우즈 환경에서 구형 모니터로 보고 있으면 상당히 짜증이 납니다. 마찬가지로, 웹 페이지에서 강제로 클리어타입을 적용하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빼앗아갈 때에 불편을 느끼는 사용자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일곱째, 웹에서의 여러 가지 글꼴 사용에 앞서, 보편적인 정보 전달 원리를 충실히 지켜야 합니다. 웹을 종이 매체와 똑같이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종이 매체에 한 번 찍힌 글자는 그대로 고정되지만, 웹에 찍힌 글자를 모두가 똑같은 환경에서 보지는 않습니다. 사람마다 모니터의 종류도 다르며, 모두가 윈도우즈를 사용하지도,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쓰는 것도 아닙니다. 심지어, 어떤 사람은 글자를 시각적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음성으로 웹 페이지를 듣습니다. 즉, 모든 사람이 해당 글꼴을 똑같이 볼 수는 없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글꼴에 의존적인 디자인은 경계해야 합니다. 우리글닷컴 홈페이지에는 모든 사람이 윈도우즈 환경이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해당 글꼴을 볼 수 있다고 가정하고, 게다가 글꼴을 특별히 키우거나 줄이지 않고 기본값으로만 본다고 가정하고 페이지를 디자인하였습니다. 따라서 위의 조건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난 모든 사람들은 이상하게 어긋나거나 해독이 어려운 텍스트들을 보게 됩니다.


웹폰트가 제대로 나왔을 때의 문단 모양


웹폰트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 깨진 문단 모양


이와 같은 현상은 아직도 웹이나 컴퓨터 화면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고정된 폭을 가진 종이 위에 타자기로 글자를 찍던 시절에 사용하던 줄바꿈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이나, 웹 페이지를 작성할 때에 흔히 범하는 실수입니다.


너무 부정적인 의견만 내세운 것 같습니다. 천편일률적이고 멋도 없는 굴림 글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쓸데없이 그래픽으로 글자를 그리던 관행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적인 글꼴이 많아지고 보급되는 것은 참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그런 글꼴도 보편적인 기술 환경에서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보급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글꼴을 써서 멋스럽게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보 전달이라는 원래의 의도가 어떤 환경에서도 훼손되지 않도록 신경을 쓰는 일일 것입니다.

2007-09-29

버마 사람들에게 지지와 연대를


버마의 시민들이 시위대에 박수를 보내는 모습 (출처: 내사랑 미얀마)


군사 독재 45년을 참아온 버마(미얀마)의 민중 항쟁이 무자비한 탄압을 받고 있습니다.


1980년 5월 시위대에게 주먹밥을 건네는 한 시민 (출처: 광주 민중 항쟁의 시각 언어 공장)


80년 5월 우리네 이웃들은 시민군들에게 주먹밥을 건네주며 힘을 보태주었습니다.


1987년 6월 시위대에게 환호하는 시민들 (출처: 인터넷 6월 항쟁 기념관)


87년 6월 빌딩에 있는 시민들은 거리의 시위대에게 박수와 환호를 보내주었습니다.


버마 사람들이 고립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줄 때입니다. 그들과 비슷한 고통을 겪었던 한국 사람들의 연대와 지지를 통해서 말입니다.



관련 사이트


2007-09-28

영남이를 만나다.

영남이 (김영남 감독)


초등학교 때에 가장 친했던 친구 중에 한 명인 영남이를 만났다. 하드 코어 컴퓨터 프로그래머에서 영화 감독으로 변신한 그의 이야기를 다시 들을 수 있었고, 다음 작품에 대한 구상, 한국 영화 시장과 저예산 영화에 대한 생각, 10년 후의 비전, 현재의 고민과 걱정거리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흔히 이런 직업을 가진 사람은 이런 성향의 사람이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이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그는 아직 세상과 사람에 대한 겸손하고 진지한 자세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회사라는 경직된 조직에서 눈 앞의 소시민적 행복에 연연하던 나에게 또 하나의 소시민이지만, 자신이 세상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영화로 풀어내는 예술가, 영남이를 통해 행복의 다른 측면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2007-09-26

무지개 원리와 즐거운 인생

무지개 원리

부모님이 먼저 보시고 꼭 읽어보라고 강권(?)하며 주신 책 중에 하나가 무지개 원리였다. 나는 사실 이런 식으로 성공의 비법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런 종류의 책들은 보통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단편적인 연구 결과들이나, 자신의 주장에 들어맞는 에피소드나, 선대 사람들의 문헌에서 맥락을 잘라버린 한 두 줄을 인용하여, 마치 모든 것이 확정적인 것처럼 강하게 이야기하는 것을 많이 보아왔기 때문이다. 또 보통은 사회/정치/문화적인 가치나 맥락은 제거되고, 개인과 개인 마음먹기에 따라 모든 것이 확확 바뀌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이런 대중 심리학(pop psychology) 책이 심리학을 전공으로 조금이라도 맛보았던 사람들에게는 가장 읽기 힘든 책이다. 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할 때에는 모든 것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도록 훈련받게 되는데, 회사 생활을 하면서부터는 주어진 것을 사실이라고 믿고, 받아들이고, 열정적으로 추구하고, 목적에 부합하는 것을 사실로 내세우기 위해 필요한 주변의 모든 것들을 논리적으로 꿰맞추는 구성 능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이런 책을 읽으며 긍정적인 자세를 갖도록 훈련된다.


딜레마는 이것이다.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과학적으로 검증된 방법들은 많지 않아서 보통은 역사나 자신의 경험이나, 또는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그럴듯하게 보이는 방법이 있다면 그것을 따르는 것이 경제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즐거운 인생

자, 이런 복잡하고 삐딱한 시선을 조금 누그러뜨리고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마음으로 책을 읽는다면 매 페이지에는 금과 같이 소중한 지혜들이 가슴에 콕콕 와닿는 사례들과 함께 담겨 있다. 그리고 그것들은 저자의 7가지 무지개 원리로 요약된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꿈을 품고, 뚜렷한 목적을 향해 나아간다면 목적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희망과 용기를 주는 샘물같은 메시지이다.


인생 뭐 있어! 머뭇거리지마!라는 영화 즐거운 인생의 카피가 무지개 원리를 방금 읽은 후의 나에게 비수처럼 꽂힌다. 신나고 즐거운 락 음악 영화이지만 영화 보는 내내 눈시울이 붉어졌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40대 아버지들의 철없는 반란의 결론은 무엇일까? 주인공들의 앞으로 삶이 불을 뿜는 활화산이 될지, 아니면 연탄불에 희미하게 익어가다 꺼져가는 조개구이가 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은 저질렀다! 그리고 적어도 저지른 그 순간 그들은 참 행복해보였다. 무지개 원리에서도 그랬었다. 꿈을 꾸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것을 품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 관건이라고. 이 말이 내 가슴에 미묘한 파장으로 전해온다.

2007-09-19

찬란하면서 외로운, 황금 물고기

황금 물고기 책 표지황시내의 황금 물고기를 읽었다. 생일날 선물로 받은 몇 권의 책 중의 하나인데, 최고는 나중에(Save the best for last)라는 말처럼 가장 재미있어 보이는 책은 맨 나중에 봐야지 하고 미뤄놓은 책이다. 저자는 작곡과 음악학, 그리고 미술사를 공부한 사람이고, 독일과 미국에서 유학 생활을 오랫동안 한 사람이다. 그리고, 선입견을 갖지 않았으면 좋겠지만 소설가 황순원의 손녀이고, 시인 황동규의 딸이다.


그냥 일상 생활의 소소한 일면에 대한 여러 가지 느낌과 관찰을 적어놓은 수필이지만, 글이라는 것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으며, 이렇게 생생하게 나의 오감을 깊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에 전율을 느꼈고, 깊이 빠져들었다. 글 중에는 메시앙에서부터 엘비스 프레슬리까지 다양한 음악가들의 음악이 등장했고, 그 때마다 나는 마치 지금 내 곁에 그들이 유령처럼 홀연히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 같은 환상에 빠져들었다. 또 내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남부 독일의 젖은 소나무숲에서 맑고 정갈한 솔내음을 맡는 느낌과 을씨년스럽고 살풍경한 시카고의 추운 겨울에 기숙사 방에서 추위에 떠는 꿈을 꾸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글쓴이의 이야기에 공감을 넘어선 연민과 연대감을 느꼈던 것은 그런 공감각적인 글의 수려함이나, 생생함이 아니었다. 거리의 산들 바람, 눈오는 날 창문에 부딪친 갈매기 한 마리, 연한 잎이 돋아나는 봄들판 이런 모든 것들이 예사롭지 않게 보여지는 것은 바로! 그가 고향이 아닌 외국에서 홀로 생활하는 이방인이었기 때문이다. 항상 떠날 것을 염두해두고 여행을 하는 사람은 결코 혼자가 아니다. 여행자는 여행자이기 때문에 토박이 사람들과 더 스스럼없이 어울리고, 그들과 짧은 순간 친구가 될 수 있다. 여행자들에게 낯선 세계는 신비로움으로 가득차 있거나, 정감이 넘치거나, 순박한 인심이 한없이 고마운 곳이거나, 경외감이 저절로 드는 자연의 세계이다. 그러나 익숙한 곳을 떠나 어딘가에 "당분간" 정착하고 사는 "이방인"들에게 세상은 외로운 현실이기도 하면서, 작은 움직임 하나하나가 다 나에게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는 미묘하고, 민감하고, 소프트한 세계이다.


황시내의 글에서 주변 인물들은 실제 이름이 나오는 경우가 별로 없었다. 대신 "K"라고 이니셜만 나오거나, 옛 남자 친구라는 익명의 인물로 잠깐 풍경처럼 등장할 뿐이다.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엄청난 할 일이 끝나질 않고, 눈부시게 아름다운 현재에 둘러쌓여 있지만 사실 그는 현재보다는 과거의 기억을, 사람들과의 대화보다는 차라리 자연과 자신의 독백을 더 즐겼던 것 같다. 그래서 다다르고자 했으나 한 번도 이룰 수 없었던 열망처럼, 그의 황금 물고기는 화려하기보단, 고독하고 외롭다.

2007-09-01

Mind your posture

I am in the middle of two day workshop, Powerful Presentations. Although I had fairly much experience in delivering presentations in English I did not know that I had a serious problem in my gesture and posture. All the participants of the workshop had a chance to video-taped their own presentation practice and reviewed the recorded video together. I was surprised that I used such an insecure posture and unnatural gesture. They said this non-verbal, but visual or vocal aspects have much mor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one's presentation. I had just thought that the message, the verbal message was the key to the presentation until now.


Be aware of yourself. That was today's one big lesson. I hope I will be able to hook another tomorrow.


Fortunately, on the second day, people agreed that I had a very good facial expression when giving a presentation.

2007-08-22

불을 끄고 별을 켜다, 바로 내일(22일)!

제 4회 에너지의 날: 8월22일 시청앞 광장에서 만나요오는 8월22일은 제4회 에너지의 날입니다. 에너지 시민 연대에서는 22일 밤 9시에 단 5분만이라도 동시에 불을 끄고 에너지 절약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행사를 합니다. 낮 2시부터는 한 시간만 에어컨을 끕니다. 서울의 도심 한 가운데에서는 주변 건물들이 소등 행사에 동참하여 불 꺼진 도심에서 별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0명의 일반 시민이 언플러그드 음악을 대표하는 통기타 합주도 하여 기네스 기록에 도전할 예정입니다. 저는 아쉽게도 평일 저녁이라 시간이 안 되어 서울까진 못 가지만, 집에서 불을 끄고 주변에 정신없이 번쩍거리는 네온 사인이 얼마나 꺼지는지 볼랍니다.


22일 오후 2시, 밤 9시입니다. 5분간 불을 끄고 잊지 못할 도심의 밤을 만들어봅시다!

Two inspirational quotes

EBS 라디오의 영어 방송, 현석과 애나의 귀가 트이는 영어, 조오제의 토익 리스닝, 이보영의 포켓 잉글리시, 김대균의 뉴 토익 한 오 분 정도. 요기까지가 내가 아침에 출근 준비하면서 들을 수 있는 라디오 방송이다. 날마다 듣지만 건성으로 듣다 보니 영어는 거의 패~쓰 하고 해석했던 우리말만 몇 개 건지게 되는데... '귀가 트이는 영어'에서는 기억해두면 좋을만한 인용구를 소개하면서 방송을 끝맺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까먹었지만 오늘 들은 것 하나와 예전에 들은 것 하나를 적어놓는다.


A pessimist sees the difficulty in every opportunity; an optimist sees the opportunity in every difficulty.


The biggest room in the world is the room for improvement.


인터넷을 찾아보니 위의 말은 처칠이 한 말이고, 밑엣 말은 누가 한 말인지 잘 모르겠다.

2007-08-21

다양성이 주는 풍요로움에 대한 찬미, 롱테일 경제학

롱테일 경제학. 크리스 앤더슨 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즉흥적이고 짧게 소화할 수 있는 TV, 인터넷과 친해지면서 책과 내가 얼마나 거리가 멀어졌는지... 이 정도 분량의 책을 읽기 위해 얼마나 긴 세월을 질질 끌었는지 모르겠다. 어쨌든 지난 주말에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만큼의 더운 틈을 타서 밀렸던 책을 다 볼 수 있었다.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리고 웹과 정보 기술의 세계에서 롱테일에 대한 이야기는 아주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 그래서 뒤늦게나마 그게 무엇인지 자세히 읽어볼 수 있게 된 것이 다행이다. 롱테일 경제학은 웹 2.0의 경제학이라고들 한다. 재미있는 것은 이미 19세기 말 시어스 로벅의 카탈로그 우편 판매에서부터 롱테일 현상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더 재미있는 것은 롱테일 경제학이 사실 우리 생활과 사회 문화 전반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을 상당히 그럴듯하게 설명해주는 것이다.


내가 재미있게 생각한 것은 전문성과 지식의 롱테일 현상이다. 세상의 지식, 정보, 전문성은 지금까지 소수의 엘리트들이 다 독점하였고, 그들의 영향력은 그야말로 지대하였다. 그런 전문성의 정점에는 지식을 생산해내는 학교, 뉴스를 생산해내는 매스 미디어, 특허로 꽁꽁 묶인 히트 상품을 만들어내는 거대 기업, 거대 광고주를 끌어들일만큼 영향력이 있는 매체와 영향력이 있는 매체에만 광고를 내는 거대 광고주, 전문적인 지식과 수련을 통해 의료 행위를 독점할 수 있는 의사, 간판만 내세워도 누구나 꺼뻑(?) 죽는 명문 학교 출신자들, 말 한 마디만 하면 모든 기업들이 알아서 기는, 모든 고급 정보를 모을 수 있는 국가 권력, 거대한 전문가 군단과 자금으로 블록버스터 영화를 만들어내는 헐리우드 영화사들이 있었다. 그들은 때로는 간판을 이용해, 때로는 명성을 이용해, 때로는 권력을 이용해, 때로는 거대한 조직 동원력을 이용해, 또는 거대한 자본을 이용해 세상의 모든 것들을 만들어내고 문화를 이끌어갔다.


사람들은 모두 박스 오피스 1위인 영화에 우르르 몰리고, 톱텐에 들어가는 가요를 줄줄 외었으며, 시청률이 하늘을 찌르는 저녁 드라마와 초 히트 상품이 된 베스트 셀러 책 이야기를 나누면서 주류 사회의 구성원임을 즐겼다. 그런데 뭔가 허전하지 않은가? 다들 똑같은 스토리에 열광하고, 똑같은 물건을 하나쯤은 갖추어야 하고, 똑같은 음악적인 취향을 가져야 하는가? 왜 세상에 나오는 수십 만종의 책 중에서 단 몇 권만이 베스트셀러로 등극하고 나머지는 세상에 얼굴도 내밀지 못하고 기억에서 사라지는가?


저자는 지금까지의 경제 패러다임이 희소성의 가치, 한계 효용, 제한된 선택이라는 기반 위에서 세워졌다면 이제 누구나 생산할 수 있는 도구가 널리 보급되고, 생산품을 쉽게 유통할 수 있는 새로운 웹의 세계가 열리면서 80대 20으로 대표되는 선택과 집중의 경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고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개인 블로그의 등장이다. 이미 우리 사회에는 생산의 장을 찾지 못했던 숨은 재주꾼, 숨은 전문가들이 블로그를 통해 의미있는 생산과 유통에 참여하고 있다. 게다가 그런 블로거들이 만들어내는 뉴스는 주류 미디어들이 미처 다루지 못했던 특수한 영역의 전문성을 점점 키워가고 주류 미디어들의 위치를 위협하는 수준으로 다가서고 있다. 주류 미디어가 여론을 독점하던 시대에서 뉴스의 롱테일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미 양과 질에서 브리태니커를 훨씬 앞서버린 위키피디아도 마찬가지이다.


80년대와 90년대에 운동을 하던 사람들은 획일주의와 흑백 논리의 유혹에 쉽게 빠졌다. 획일적인 군사 문화를 거부한다던 그들도 사실은 진골, 선골 운동권의 계보를 따지며, 누가 더 선명한 운동가인지를 중요하게 여겼고, 이 중요한 시기에 왜 사람들은 다른 것에 관심을 갖는지를 항상 원망하였다. 정말 80년대적인 냄새가 나지 않는가? 그러니 90년대에 생활 문화, 먹거리, 성적 자유, 환경 운동, 소비자 운동, 장애인 문제, 가정 폭력, 학교 문제, 인종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인 이슈에 대해 시민 사회 운동이 등장할 때 획일주의 논리를 고집하려 했던 사람들은 혼란스러웠다. 사람들의 관심과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영역도 이제 한 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롱테일 경제학을 나는 복잡성의 경제학으로 이해하였다. 소수의 주류와 스타가 의도하는 대로 움직이는 사회가 이제는 길게 꼬리를 이루며 정말 다양하고 복잡한 일반 범부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시대로 바뀌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제 꼬리쪽에 있는 사람들도 UCC를 만들 수가 있고, 구글의 애드센스와 같은 소규모이지만 짭짤한 광고를 유치할 수도 있고, 스스로 광고주가 될 수도 있으며, 유명 블로거가 될 수도 있고, 거라지 밴드를 이용해 음악 작곡가가 될 수도 있고, 댓글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드러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정부 기관에서 전문가 회의를 몇 번씩 하고 전문가들을 모셔오려고 정성들여 만들어놓은 사이트는 파리를 날리지만, 일반 사용자가 만들고, 다른 사람이 자유롭게 가감할 수 있게 운영한 사이트는 인기가 좋은 것이다. 롱테일 현상은 단지 우리가 소비하는 상품에서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 문화, 정치 영역에서도 나타나는 것 같다. 그러니 사람들이여, 이제 당신도 스타가 될 수 있다. 당신만의 영역에서...


마지막으로 인상 깊었던 책의 구절을 인용한다.


다음에 제시된 것들은 우리가 희소성 사고 때문에 빠지기 쉬운 몇 가지 정신적 함정들이다.


  • 모든 사람들은 스타가 되고 싶어한다.

  • 모든 사람들은 돈을 벌고 싶어한다.

  • 히트 상품이 아니면 실패한 것이다.

  • 엄청나게 성공해야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 직접 제작 비디오는 좋지 않다.

  • 자비 출판은 좋지 않다.

  • 인디 음악이란 음반사와 계약을 하지 못한 음악이다.

  • 아마추어는 서투르다.

  • 잘 팔리지 않으면 품질도 좋지 않다.

  • 만일 좋은 제품이라면 반드시 인기가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엄청난 선택권이 주어진 것은 거부할 수 없을 정도로 매력적인 일인데... (후략)


2007-08-19

밤의 음악

오페라의 유령에서 The Music of the Night(밤의 음악)을 건반으로 연주해보았습니다. 현실과 빛의 세계에 있는 크리스틴을 어두움과 밤의 세계로 유혹하려고 팬텀이 부르는 노래입니다. 8월 들어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이 지치게 되었습니다. 휴일이나 밤이 되어도 더위가 가시지 않고, 회사에서 불을 밝히고 일을 해야만 했던 경우가 많아지니 진정한 어두움과 휴식이 있는 달콤한 밤이 그리워지더군요. 어떤 경우에도 쇼는 계속되어야 하는(The show must go on!) 압박에서 잠시 벗어나 환한 불도 끄고, 눈도 지그시 감고, 팬텀이 유혹하는 밤의 세계로 들어가 보십시오. 악기는 GS1000에서 GlockPiano와 ElPiano1을 섞었고, PC의 라인인에 꽂아 아날로그로 녹음했습니다.


The Music of the Night


느리기 때문에 손가락이 안 따라가도 연주는 대충 가능한데 꼭 녹음해보면 중간중간 들쑥날쑥한 것이 귀에 거슬리네요. 게다가 제일 끝에서 두 번째 부분에 화음을 아예 잘못 짚었습니다만(Gb → Db dim(7) → Dm → C → Db 이렇게 되어야 하는데 C를 G로 잘못 짚었어요.) 이해하고 들어주십시오.

2007-08-03

지리산 등반의 교훈

7월 28일과 29일 이틀간 고교 친구인 창준, 병준, 용일과 함께 지리산에 다녀왔습니다. 젊은(?) 남자들의 등반 계획이라 결코 만만치 않은 일정이었는데 친구들의 철저한 준비, 도움, 재치로 무사히 마치게 되어 기쁩니다. 지리산 종주는 이번이 세 번째였는데 아마 가장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나이 탓인지, 아니면 체력 단련을 하지 않은 탓인지 모르겠지만. 산행의 와중에 (산행과는 별 상관 없는) 정말 많은 생각들이 떠올랐습니다. 그것들을 적어놓지 않으면 다 까먹을 것 같아 남겨놓습니다.


준비물


여름에 지리산 정도 되는 산에 갈 계획이라면 보다 중요한 준비물과 덜 중요한 준비물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강조해야 하는 것은 아마도 등산화와 양말입니다. 이틀 동안 걷는 양이 많기 때문에 산행 후 후유증(?)이 꽤 있고, 산행하는 동안에도 발이 상당히 힘듭니다. 그래서 다른 것은 몰라도 등산화와 등산용 양말은 꼭 좋은 것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도 평소보다 훨씬 많이 걷게 되므로 무릎에 무리가 가고, 발꿈치가 아프고, 물집이 생기기 쉽상입니다. 함께 간 병준이가 근육에 뿌리는 스프레이, 상처에 붙이는 밴드를 준비해와 참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리산에서는 씻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는 게 낫습니다. 쓸데없이 비누, 치약, 갈아입을 옷 등은 가져가면 짐만 됩니다. 그냥 이틀간은 그런 거 포기하고 산만 재미있게 타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지요. 마지막으로, 개인용 수저, 젓가락을 준비해가니 참 좋았습니다.


계획


무슨 일을 하든지 철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실 닥치지 않으면 무엇이 필요할지 잘 상상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럴 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주변에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입니다. 함께 간 친구들은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라 약 2주일 전부터 이메일로 공동 준비물, 개인 준비물, 비용, 교통, 숙박, 일정 계획 등을 협의하면서 웬만한 회사의 기획서라고 해도 믿을만한 계획서가 나왔습니다. 이렇게 철저한 계획 덕분에 우왕좌왕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척척 움직일 수가 있었고, 다른 사람들이 바람 부는 언덕에서 비박(이번에 처음 배운 "야영" 또는 "노숙"과 비슷한 말!)을 할 때에 편하게 산장에서 잘 수 있었습니다.


기록


창준이에게 놀란 한 가지가 있었습니다. 미리 산행을 할 코스를 다 적어놓은 것은 물론이고, 행선지별로 작년에 출발, 도착 시간을 모두 기록해놓은 표를 가지고 왔습니다. 그리고 작년 대비 금년의 시간 변동 사항을 모든 방문지와 주요한 행동에 대해 다 기록했습니다. 그 기록이 있으니 장소가 불분명한 사진도 찍은 시간으로 미루어 어디라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지, 기록하는 사람이 얼마나 대단한지 새삼 깨닫게 되었습니다.


목표


회사일도, 인생도, 작은 일 하나 하나도 모두 목표가 없으면 그에 따른 노력도, 계획도, 실천도 생기지 않습니다만, 산행에서도 목표가 참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창준과 병준 덕분에 하루치 산행의 목표, 비용 집행의 목표, 그리고 매번 행선지 도착과 출발 시간 목표 등이 명확하게 있어서 어떻게 움직여야 되는지 지침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움직인 결과가 기록으로 남아, 다시 목표와 비교해보고, 결과를 반추해볼 수 있었습니다.


체력


친구들이 산행 전에 달리기나 앉았다 일어서기라도 하라고 충고했었는데, 사실 별로 신경쓰지 않았었습니다. 첫 날 잠을 자지 않고, 노고단에서 벽소령까지 가는 도중에 반야봉을 중간에 거쳐 갔는데 체력의 한계가 느껴졌습니다. 체력은 힘든 상황에서 개인 차이가 드러나더군요. 평소에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겸손


걷다 보면 어느 순간 내가 실제 할 수 있는 것보다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것에 더 심취되어 무리를 하게 될 때가 있었습니다. 즉, 나도 더 빨리 걸을 수 있고, 이까짓 어려움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마음입니다. 그러다보면 자신의 능력과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를 하게 되어 다치거나 사고가 나기 쉽습니다. 용기와 만용은 종이 한 장 차이입니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실제 내리막 길을 걸을 때에 보폭을 크게 해서 충격을 많이 주는 것보다는 보폭을 좁게 하고 조금씩 조금씩 천천히 내려가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흔적


올라갔다 온 흔적은 사진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산에다 쓰레기를 버리고, 설겆이 하면서 음식물을 흘리거나, 치약/비누를 사용하는 것 모두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려면 짐이 가벼워야 합니다. 쓰레기를 다시 담아 와야 하니까요. 그 이전에 쓰레기가 최소한으로 생기도록 생활 습관이 달라져야 합니다. 흔적을 남기지 않는 간결한 삶, 훈련이 되지 않아서인지... 생각보다 어려웠습니다.


대화


산행을 하는 중요한 이유 중에 하나인 것 같습니다. 아주 힘들 때가 아니라면 앞에 있는 사람과 뒤에 따라가는 사람들끼리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마주보고 이야기하지 않으니, 대화가 좀 끊겨도 어색하지 않습니다. 같이 차를 타고 갈 때나, 마주보고 앉아있을 때보다 더 흥미진진해질 때도 있습니다. 기분이 좋으면 일행이 노래를 부르면서 가도 좋았습니다.


시선


산을 탈 때에는 길을 잘 살펴야 하므로 계속 땅만 보고 걷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가 나뭇가지에 머리를 몇 번 부딪쳤습니다. 제가 같이 간 일행 중에서 제일 많이 부딪친 사람이었습니다. 아무리 땅과 길이 험해도 가끔씩은 머리를 들고 좀 더 멀리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 산에서나 인생에서나 똑같은 것 같습니다.


인사


산에서 마주치는 사람끼리 인사를 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힘든 가운데에서도 기운이 납니다. 내가 내리막길일 때에 오르막길을 오르는 사람에겐 힘내라고, 조금만 더 가면 된다고 말해주고, 평지에서 만나면 반갑다고 인사하고, 힘들어 보이는 사람들에겐 수고하신다고 인사합니다. 그러나 정말로 내가 힘들어 숨이 목까지 차오르고, 다리가 후달거릴 때엔 인사말이 잘 나오지 않더군요. 어쨌든 인사에 인색하게 굴면서 그냥 지나치는 것보다 모르는 사람에게도 후하게 퍼주는 것이 훨씬 산행을 즐겁게 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일희일비


산에서 한참 힘들 때에는 “내가 왜 이런 곳에 와서 사서 고생을 하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왜 이렇게 힘든 길이 끝이 없이 계속되는가?” 라고 산을 원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불과 5분, 10분 정도 지나서 편한 길이 나오고, 멋진 풍경이 나오면 금새 그런 불평, 불만이 사라집니다. 현재 닥친 일에 금방 슬퍼하고, 불평하고, 기뻐할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계곡이 있으면, 봉우리가 있고, 뙤약볕 아래 힘든 오르막길이 있으면, 시원한 나무 그늘 드리워진 바람길도 있다는 것, 정작 그 안에 갇혀 있을 때에는 정말 한 치 앞을 보지 못하고 현재의 모습에 일희일비하게 됩니다.


일정


창준이의 꼼꼼한 기록 덕분에 일정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출발/도착 시간, 해발 고도, 구간 거리, 교통편, 비용, 식수, 개인적인 코멘트까지 기록하였으나 다 생략하고 시간만...



7월27일 23:41

평택역 출발(무궁화호)

7월28일 03:23병준이

구례구역 도착

7월28일 03:36

구례 터미널 도착

7월28일 04:35

성삼재 도착

7월28일 05:42노고단 산장에서

노고단 산장 도착. 아침 식사(김밥, 라면)

7월28일 07:00

노고단 도착

7월28일 08:11노고단과 임걸령 사이에서 한 컷

임걸령 도착

7월28일 09:14

노루목 도착창준이

7월28일 09:51

반야봉 도착

7월28일 10:25

삼거리 도착

7월28일 11:07

삼도봉 도착

7월28일 11:38용일이

화개재 도착

7월28일 12:19

토끼봉 도착

7월28일 13:50

연하천 산장 도착. 점심(라면, 김밥). 길목 나무 그늘에서 오침 1시간

7월28일 16:00

다시 출발 → 형제봉

7월28일 17:43벽소령 산장에서 찍은 일몰 광경

벽소령 산장 도착. 저녁 식사 (밥, 삼겹살 김치찌개)

7월28일 21:00

산장에서 취침

7월29일 04:30

기상. 아침 식사 (북어국, 밥). 05:53에 출발

7월29일 06:48

선비샘 도착

7월29일 07:45선비샘과 칠선봉 사이에서 창준이와

칠선봉 도착

7월29일 08:35

영신봉 도착

7월29일 08:45

세석산장 도착

7월29일 09:27촛대봉과 연하봉 사이에서 나, 용일, 창준

촛대봉 도착

7월29일 10:19

토끼봉 도착

7월29일 10:41

연하봉 도착

7월29일 10:57

장터목 산장 도착. 짐 풀어놓고, 11:13에 천왕봉 오르기 시작천왕봉에서

7월29일 12:06

천왕봉 도착

7월29일 13:11

장터목 산장 도착. 식수 부족으로 점심은 남은 과자 몇 개로 대신하고 하산.

7월29일 16:33천왕봉과 장터목 사이에서 병준, 나

백무동 도착. 샘물로 머리 감고, 세수

7월29일 16:52

백무동에서 식사 (산채 비빔밥)

7월29일 18:00

일월행 버스 출발

7월29일 19:30

일월 → 광주행 버스 출발

7월29일 21:40

광주 광천 터미널 도착

7월29일 22:10

상무지구 도착. 병준이 차를 타고 집으로 이동

7월29일 22:35

집에 도착. 일정 끝.

2007-07-08

평창 사람들에게

강원도 평창이 2014년 동계 올림픽 후보 도시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뭐 동계 올림픽하고 나하고는 아무런 상관도 없고,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 파괴가 이루어질까봐 내심 걱정이 되었으나, 막상 뉴스에서 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평창 사람들의 눈물을 보니 안타까웠다. (일부는 땅 값이 오르지 않아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이 온 힘을 다해 응원하고 바랬던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느끼는 허탈감이 컸을 것이다.

살다 보면 개인이든 단체든 기적같은 성공도 일어나지만, 최선을 다했으나 쓴 실패를 맛볼 때도 얼마든지 있다. 인생은 실패와 성공의 연속인 것 같다. 실패하고 잠깐 주춤한 모든 사람들에게 짧은 피아노곡을 바친다. 초등학교 때 배웠던 동요 무궁화 멜로디를 약간 연장한 정말 짧고 간단한 곡이다. 올림픽으로 시끌벅적하지 않더라도 원래의 아름답고, 고요하고, 평화로운 평창을 위해...

평창 사람들에게

연주 악기는 GS1000 신디사이저에서 Piano 1 과 Stereo Piano

2007-06-29

웹 표준 교과서 나왔다는데

웹 표준 교과서 책 표지

마시코 타카히로가 쓴 웹 표준 교과서가 김대석님의 번역으로 나왔습니다. 사실 번역은 아주 오래 전에 이루어졌습니다. 원본이 영어가 아닌 일본어이다보니 웹 표준에 대해서도 능통하고, 한국어, 일본어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번역자로 김대석님은 아주 독보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2006년 초반인 것 같은데, 강민혜님, 신현석님, 조훈님과 함께 번역된 결과물의 우리말 감수를 맡게 되었습니다. 저는 접근성 부분 감수를 맡으면서 책을 구경하게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교과서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내용입니다. 방대한 관련 표준이 참고하기 좋게 담아져 있다는 뜻이지요. 일본 책이고 여러 우여 곡절 끝에 나오다 보니 시기상으로 늦게 나온 것이 아쉽습니다. 수만님의 훌륭한 실용적인 웹 표준 시리즈에 추가해 선택의 폭이 조금 더 넓어졌습니다.


책이 나오는 과정에서 부러웠던 것은 일본이라는 나라였습니다. 우리 나라는 아직까지 번역서가 아닌 우리 토종의 웹 표준 관련 책이 하나도 없지만 이웃 일본은 관련 책이 꽤 여러 권 나와 있습니다. 그만큼 일본은 이미 이런 분야까지도 책을 쓰고, 그것이 팔리고, 소비될 정도로 왕성하게 지식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나라이지만 우리는 아직까지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낼 역량이 안 되거나 토양이 척박하다는 것이지요.


얼마 전에 감수자들과 디지털미디어리서치 조광현 사장님이 간만에 모이는 자리가 있었는데 애석하게 저는 참석하지 못해서 아직 책을 손에 넣지 못했습니다. 책을 얻으면 우리 회사에 있다가 한 웹 에이전시 회사로 떠나는 디자이너에게 선물로 주기로 했습니다. 유용하게 썼으면 좋겠습니다. 번역하신 대석님, 감수하신 훈님, 쿠키님, 현석님, 그리고 조광현 사장님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2007-06-27

웹 접근성 향상 캠페인

인터넷이 며칠 째 먹통이 되어 이런 캠페인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몰랐군요. 한국 정보 문화 진흥원에서 웹 접근성 향상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 웹 표준, 상호 운용성 등에 대해 사람들이 말을 많이 하지만, 아직도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다른 나라 얘기이거나 도대체 무슨 이야기인지 모르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 면에서 이런 캠페인은 보통 사람들에게 쉽고 평범하게 웹 접근성이 왜 중요하고 꼭 지켜야만 하는 것인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쉽고 빠르게 접근성에 대해 설명해주는 동영상, 강추입니다.


접근성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조차도 장애인의 접근성에 대해 직접적으로 이야기 꺼내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대신에 좀 더 근사하고, 저항이 없는 국제 표준, 기술 표준, 상호 운용성, 구조와 표현의 분리, 모바일 웹, 최신 기술 등의 섹시한 단어로 포장을 해서 접근성을 간접적으로 강조하곤 합니다. 저도 그래왔었구요. 그만큼 장애인은 소수이고, 돈도 안 되고, 장애인의 문제를 가지고 제품 개발자들에게 설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그러나 아무리 소수라고 해도 장애인들에게 "세상과 통하는" 매우 중요한 문인 웹을 닫아놓고 IT 선진국이라고 외치는 것은 자기 기만일 수도 있습니다. 사실 장애인이나 노인은 이제 소수도 아니지요.


얼마 전에 아버지에게 웹에 있는 씽크프리 오피스를 이용해서 주소록을 정리하는 것을 알려드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접근성의 문제는 거창한 이론에서 나오지 않더군요. 접근성 지침에 있는 항목들을 다 지킨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컴맹이 봐도, 누가 봐도, 장애인이 봐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교육받지 않아도 쉽게 쓸 수 있게 하는 것, 이것이 접근성입니다. 컴퓨터를 잘 모르는 아버지에게 씽크프리 오피스는 너무 복잡했고, 새롭게 익혀야 할 개념도 너무 많았습니다. 그러니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제 웹 사이트도 아직 먼 것 같습니다.

2007-06-10

Returned to a normal, actually better one

Thanks to one of the smartest guys, Jungshik (my brother at Google), I could come back to the better future! He found that the hosting service provider just generated the MySQL 3.x dump as it had been. It was actually encoded with utf-8 with no explicit encoding direction in it. One mistake I made is that I did not set the DB character set as utf-8 but it was still in euc-kr in WordPress configuration file in the WordPress root directory. Big mistakes the hosting provider made include that they set the default DB and connection character set as euc-kr and all collations configured for all tables were also euc-kr. Luckily enough, combining all these mistakes, the existing data displayed correctly while newly imported data cannot be stored properly. People tried to enter data with utf-8 encoding according to the web page encoding scheme and the DB interpreted them as euc-kr data which was wrong.


What Jungshik did was to backup the existing tables first. He found that the MySQL has a bug (that is, the last about 20 bytes were trimmed or tangled when exporting its tables to a local SQL file). He just made a shell script to fix this bug and also he converted the dumped SQL to a genuine utf-8 certainly specifying all necessary character sets using his script. Then he just changed the default table names for WordPress because it could be dangerous to replace directly with the old tables. (WordPress provides a configuration file for you to change the default table name prefix.) After successfully restoring the new tables, he and I tested writing, editing, and searching, etc. However, I came to have more tables than necessary. Just after identifying that everything worked fine, he finally replaced the old tables with the new tables.


All things are ok but some works including visitors' comments made during transition period were unrecoverable. I truly apologize for your efforts to enter your message which had gone away.



드디어 워드프레스 업그레이드를 모두 마쳤습니다. 호스팅 업체에 부탁해서 MySQL 4.1이 있는 서버로 옮기고 나서 한글이 입력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는 순간 그 데이터도 손상되는 문제가 생겨 호스팅 업체에 몇 번씩 전화와 게시판을 통해 문의했지만 워드프레스의 문제일 뿐 자기들은 아무 것도 잘못한 게 없다고 했습니다. 사실은 처음에는 기존에 입력한 데이터가 화면에 보이는 것도 깨져서, 이게 한글의 문제가 아니라 진짜로 다른 문제인 줄 알았습니다. MySQL 3.x 대는 문자 인코딩 방식을 지정하는 것이 없었지만 사실 워드프레스는 유니코드를 사용하고 있었고, 그것을 호스팅 업체가 서버를 이전하면서 euc-kr로 가져와버린 것입니다. 이 문제를 미국에 있는 형에게 물어봤더니, 일단 호스팅 업체는 손대지 못하게 하라고 말하더군요. 그렇게 하고 형이 작업을 했는데, 간단한 셸 스크립트를 짜서 새롭게 덤프받은 DB의 문자셋을 변경했습니다. 변경하는 과정에서 MySQL 4.1의 버그도 발견했는데 그것도 셸 스크립트를 이용해 복원했습니다. 혹시나 해서 변경된 테이블을 바로 옛 테이블에 덮어쓰지 않고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에서 새로운 테이블을 인식할 수 있게 테이블 이름 기본값을 바꾸어주었습니다. 데이터 입력이 제대로 되는 것을 확인한 후, 마지막으로 기존 테이블에 새로운 테이블 내용을 덮어쓰고, 다시 테이블 이름 기본값을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쓸모없게 된 테이블들을 다시 지웠구요.


놀란 가슴을 이제야 진정시킵니다. 호스팅 업체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었을 리가 만무하고, 형의 도움이 있어서 천만 다행이었습니다. 형은 구글에서 제품의 세계화(internationalization)와 지역화(localization)를 담당하고 있거든요. 아무튼 이렇게 요란하게 소란을 피운 후에라도 완전한 유니코드 체계로 정착이 되었고 워드프레스 2.2를 쓸 수 있게 되어 다행입니다.


시스템을 변경하는 동안, 일부 데이터가 손상되었습니다. 한글 입력에 문제가 있는 줄 모르고 마구 에디팅을 하다가 날아간 것도 있고, 또 방문하신 분들이 한글로 코멘트를 입력했다가 날아간 것도 있습니다. 입력한 것을 날린 것에 대해 정말 죄송합니다.


Main theme from Laputa: The Castle in the Sky

Recently I have been somewhat depressed and this kind of music playing is a relief from the stress. I played this with Piano 1 + Stereo Piano patches in my GS1000 synthesizer. It is excerpted from the famous Japanese animation, Laputa: The Castle in the Sky. Please understand that I am not a professional player and it sounds uneven in terms of tempo, dynamics, and harmonies.


Open Laputa MP3 link page


My blog is still troublesome with Korean and multilingual characters, please do not use Korean letters until you are told to do so.

2007-06-09

Announcement: Temporarily dysfunctional

Hi, every visitor. I am sorry to deliver this ugly news to you. After the engineer at the hosting service provider moved all data and files to this new server, I cannot update my data. Furthermore, exactly from 2:40 of June 8th to 16:40 of the same date, I lost all updated or created data including your comments. I am asking the hosting provider about the problem but they said there is no problem in the transplantation. I suspect that there is any incompatibility between new MySQL 4.1.15 and old version, 3.23.58.

One more probable or plausible reason would be the wrong encoding scheme configured by the hosting provider. When I check the MySQL status at the terminal, all charactersets for server, DB, client and conn. are euc-kr while my WordPress data and web pages are encoded with UTF-8, a Unicode encoding scheme. Due to this, I cannot modify any existing data and even web feed sends broken information!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apology and regret that some of your writings were nullified. Please do not post your comments (in Korean language) until you see a new notification here.

Thanks for your patience.


At 10:09, Sunday, June 10, everything works just fine! Now you can leave your message in Korean again!

2007-06-08

WP Unformatted 플러그인을 깔았습니다.

워드프레스 2.0에서 글을 쓸 때에 엔터키를 쳐서 줄을 바꾼 곳에 대해 무조건 <br /> 마크업을 넣어버려 지금까지 HTML 문서를 좀 복잡하게 만든 경우에는 엉뚱한 곳에 <br />이 들어가버려 심각한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일일이 엔터키를 쳤던 곳을 다 지워주는 번거로운 작업을 했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글을 한 줄로 만들 수도 없고... 그래서 위지윅 에디터도 알아보고, 몇 가지 알아봤는데 가장 단순하고 깔끔한 것을 선택했습니다. 알렉스 킹(Alex King)이 만든 언포맷티드(WP Unformatted)라는 것인데, 글을 쓸 때에 커스텀 필드 키로 sponge라고 넣고, 값을 1이라고 넣어주면, 사용자가 쓴 마크업을 그대로 보여주게 됩니다. 물론 이것은 타자기로 치듯이 보여준다는 뜻이 아닙니다. (아직도 사용자가 작성한 내용에 대해 <pre> 마크업을 씌워서 이상하게 보여주는 게시판이 일부 남아있는 것을 봤습니다.) 웹 호스팅 업체에 MySQL 4.0 이상이 지원되고 아파치 mod_alias와 mod_rewrite가 모두 지원되는 곳으로 옮겨달라고 요청했는데, 그 이후에 워드프레스 2.2 설치하면 별 필요없는 것일지도 모르겠군요.

제가 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정보화 유공자 포상 전자 신문 기사


오늘 코엑스 3층 오디토리움에서 스무 해를 맞이하는 정보 문화의 달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영광스럽게도 저도 상을 하나 받게 되어 회사에 휴가를 내고 아침부터 꽃단장(?)하고 서울로 갔었습니다. 행사 예행 연습을 해야 한다고 9시 반까지 오라고 해서 부지런을 떨며 갔는데 막상 도착해보니 시간은 많이 남더군요. 어쨌든 장관님을 비롯한 높으신 분들이 오시는 행사라 진행 요원들도 무척 신경을 쓰고 있었습니다. 그 짧은 순간을 위해 두 번 예행 연습을 하고 수상식에 나가 표창장을 받았습니다. 정보화 유공 포상은 강지원 변호사와 삼성에스디에스 김인 사장, 전자신문 금기현 대표이사 등이 훈장/포장을 받고 또 대통령, 국무총리, 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자들 중에 몇 명이 대표로 시상식에 참가했습니다. 저도 앞에 나가 수상을 했는데 언론사에서 나와서 사진 찍는 사람이 그렇게 많았지만 제 사진을 개인적으로 찍어주는 사람은 없어서 결국 사진사 아저씨 한 분이 찍어놓은 제 사진을 나중에 보내주겠다고 해서 그러겠노라고 했습니다.


살다 보니 이런 일도 일어납니다. 아마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소개한 것실무 제작 기법 책을 쓰면서 마음 졸인 것, 기타 접근성 홈페이지 경진 대회나 인증 마크 등 관련 행사 등에 심사, 평가, 자문 등을 하면서 발로 뛴(?) 것에 대해 고생했다고 보상을 주신 것 같습니다. 사실 회사에서 딱히 웹 개발을 하는 것도 아니고, 이런 활동들 때문에 회사일 소흘히 한다는 말 들을까봐 항상 조심스러웠습니다. 물론 결코 그렇지는 않았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지만... 아무튼 보이지 않은 곳에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저보다 더 열심히, 활발하게, 전문적으로 묵묵히 활동하시는 관련된 모든 분, 부족한 저를 추천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07-06-02

피아노 연주 두 곡 (Reminiscence, Memory)

디지털 피아노를 사고 싶어서 여기 저기 알아보고 있습니다. 어차피 놓을 데도 없어 당장에 살 건 아니지만, 그래도 상당히 오랫동안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봤더니 역시 고급 기종엔 야마하가 꽉 잡고 있더군요. 음질도 아주 뛰어나고. 그 다음이 카시오, 카와이, 다이나톤 정도가 자리잡고 있는데, 피아노 음색은 다이나톤이 야마하 다음으로 제일 나은 것 같고, 공간을 덜 차지하고 USB나 SD 카드를 지원하는 실용성 측면에서는 카시오가 좋아 보입니다.

아무튼 지금 당장 구입할 건 아니어서 새삼스럽게 기존에 가지고 있던 61건반 GS1000을 어떡하나 하다가 피아노 음색이 어떤지 실험해보기로 했습니다. 터치는 한 마디로 꽝이니 말할 필요가 없고, 기능은 그래도 나름 신디사이저이다 보니 음색 편집도 되고 꽤 많습니다. 가장 기본 악기인 피아노 소리에서 각종 효과(리버브, 코러스)를 최대한 낮추고 녹음을 해보았습니다. GS1000의 피아노 음질은 중중하 정도 됩니다. 아주 싸구려 디지털 피아노보단 더 나은데, 샘플링을 한 원본 피아노가 가정용 피아노같은 느낌, 내장 스피커가 제대로 소리를 못 내주는 것, 동시 발음수(24)가 너무 작아 페달을 쓰기 어려운 것, 건반이 나빠서 빠른 곡을 치기 어려운 것 등이 귀만 고급스러워진 요즘에는 자꾸 거슬립니다.

첫 번째 곡은 128Kbps로 했더니 음질이 안 좋아서, 두 번째는 192Kbps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웹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재생기들의 접근성이 낮아서 MP3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게 첨부했는데 이번에는 웹 페이지 내에 포함시켜 보았습니다. 최대한 표준에 맞추고, 접근성을 고려해서 포함은 시켰지만 아직 그냥 단순하게 링크 거는 것보다는 접근성이 좀 떨어집니다. 무료로 MP3 호스팅 받는 SnapDrive.net 업체의 정책이 바뀌어 플래시 플레이어를 삽입하게 되어 있는데 웹 표준에 맞출 수가 없어서 Box.net이라는 호스팅 업체로 바꾸고 그냥 단순한 링크로 바꾸었습니다.

첫 번째 곡: Reminiscence (예전에 만든 자작곡)


Reminiscence MP3 있는 페이지


두 번째 곡: 뮤지컬 캣츠(Cats) 중 메모리 (Memory)

  • 곡/ 편곡/연주: 앤드류 로이드 웨버 (Andrew Lloyd Webber) / 신승식 / 신승식
  • 악기: GS1000 / Piano 1
  • 녹음: 곰 녹음기 (192Kbps)

메모리 MP3 있는 페이지

2007-06-01

워드프레스 2.2 업그레이드 실패

워드프레스 2.0을 쓴 지가 오래되어서 2.2가 최근에 나왔길래 맘먹고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 설명서를 보고 데이터베이스와 파일을 모두 백업받고, 그런대로 잘 진행이 되다가 업그레이드 스크립트를 실행하는데, 경고가 나왔다. 데이터베이스가 옛날 버전이니 먼저 업그레이드를 하라는 것이다. 이런~. 그래서 호스팅 업체(아사달)에서 제공하는 MySQL 버전을 확인해보니 3.23.58이었다. 워드프레스 업그레이드 설명서를 보니 MySQL 버전이 꼭 4.0 이상이어야 한다면서 낮은 버전에서는 절대 업그레이드 하지 말라고 되어 있었다. 다행히 백업을 받아놨으니 망정이지 마지막 순간에 큰 일 날 뻔 했다. 옛날 버전으로 다시 돌아가는데 계속 에러가 나서 긴장했다. 겨우 원상 복구는 시켰지만 아까운 시간 홀라당 까먹으니 기분이 별로다. 호스팅 업체를 바꿔야 하는 걸까?

2007-05-25

펜티엄 3 컴퓨터를 무료로 드립니다. - 이미 드렸습니다.

계속 컴퓨터에 대한 문의가 와서 혼선을 피하고자 알려드립니다. 이미 컴퓨터를 다른 분이 가져가셨습니다. 감사합니다.


펜티엄 3 PC 본체 | 우분투 스크린샷 | 키보드와 매뉴얼


제가 사용하던 펜티엄 3 컴퓨터를 무료로 드립니다. 새 컴퓨터가 생긴 관계로 이 컴퓨터를 싼 값에 팔까 했는데 얼마 받지도 못할 것 같고, 그냥 무료로 꼭 필요한 사람에게 드리려고 합니다. 꽤 오래되고 낡은 것이어서 곳곳에 기스가흠집이 있습니다만 내부는 진공 청소기로, 외부는 수퍼클린으로 깨끗하게 청소했습니다. 이 글이 아마 이 컴퓨터로 마지막으로 쓴 글이 되겠군요. 메인 보드 끼우는 것부터 직접 조립한 것이어서 매뉴얼이 웬만한 것은 다 있습니다.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하드웨어

    • 케이스: 230와트 철제 미들 타워 케이스 (전면 베이: 5.25인치 2개, 3.5인치 3개)

    • CPU: 인텔 펜티엄 3, 450 메가헤르쯔

    • 메인 보드: 유니텍 MS-6119 (인텔 440BX)

    • 램: 750 메가바이트

    • 하드 디스크: 퀀텀 파이어볼 12 기가바이트

    • 그래픽 카드: S3사의 Savage 4 (PCI 방식) (매뉴얼 및 CD는 분실)

    • 랜 카드: 10메가 이더넷 카드 (RTL-8029)

    • 광 디스크 드라이브: 삼성 CD-RW 및 DVD-ROM 지원 콤보 (SM-332)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LS-120 (120메가바이트 수퍼 디스크 지원)

    • 사운드 카드: 사운드 블래스터 라이브! 밸류 (PCI 방식)

    • 내장 팩스 모뎀: 락웰사 56k 데이터/팩스/보이스 모뎀 (매뉴얼 및 CD는 분실)


  2.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우분투 리눅스 6.06 (대퍼 드레이크)

    • 데스크톱 환경: 그놈

    • 기타: 한국어 로케일(106 키보드 지원, 한글 입력기 SCIM, 은글꼴 등 포함),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오픈 오피스 등



  3. 설명서/매뉴얼
    • 메인 보드 설명서 (한 + 영)

    • 사운드 카드 설명서(두꺼운 것 + 간략본)

    • 콤보 드라이브 사용자 설명서

    • CPU 사용자 설명서 및 설치 가이드

    • 랜카드 사용자 설명서


  4. 기타

    • 번들 CD 타이틀: 사운드 블래스터 라이브 밸류 설치 CD (윈도우즈용), CD 레코딩 소프트웨어 (윈도우즈용)

    • 마우스: PS/2 방식의 스크롤 휠 있는 볼마우스 (삼보 M-S48)

    • 키보드: 엘지 106키 + 볼륨 조절, 기타 단축키 2개 (사용 안 한 새 것)

    • 컴퓨터 본체용 전원 케이블 (220볼트)

    • 2미터 정도 되는 10 Base-T 이더넷 케이블

    • 2미터 정도 되는 전화 케이블



조건이 있습니다. 제가 있는 곳은 경기도 오산입니다. 평일 저녁이나 쉬는 날 오산에 오셔서 직접 가져가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 컴퓨터를 가져가 다른 분에게 팔아 장사하실 분에게는 드리지 않겠습니다 (아름다운 가게나 녹색 가게 등은 제외). 가져가실 분은 sshin90 골뱅이 야후 쩜 코 쩜 케이알로 메일 주십시오.

2007-05-05

남자 둘

남녀는 성적관심, 여여는 연대감…남남은?이라는 재미있는 기사를 보았다. 문화 평론가 남재일님의 글이다. 남자 둘이 모여서 사적인 대화를 나누거나, 가벼운 여가를 같이 즐기거나 하는 경우가 남녀, 여여에 비해 적다는 것이다. 일견 공감이 가는 내용이다. 영어 표현에 걸스 톡(girl's talk)이라는 것이 있다. 여자들끼리의 대화. 여자들끼리의 시시콜콜한 잡담(?) 이라는 뜻으로 약간은 성차별적인 말이기도 하다. 사실은 남자도 업무 이야기나 정치 이야기 말고, 그냥 사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가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남자와 남자가 만나면 보통은 더 무거운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한다. 물론 아주 친한 또래 친구끼리는 사적인 이야기를 편하게 하는 경우도 있고, 같이 영화를 보러 가는 경우도, 공원을 산책하는 경우도, 취미를 같이 즐기는 경우도, 여행을 같이 가는 경우도 있다. 죽이 잘 맞으면...

기사에서도 지적한 가장 불편한 자리는 보통은 직장 선배들에 의해 주도되는 술자리이다. 빠질 수도 없고, 막상 가려니 불편한 그런 자리. 보통 그런 자리에 둘만 앉아 있는 경우는 드물지만, 둘이 앉았을 때에 얼마나 어색했는지 기억나는 자리가 있다. 예전 회사의 한 상사 한 분이 생각난다. 그 분은 어디를 가나 회사 이야기를 끊이지 않고 하셨다. 점심 먹으면서도, 쉬는 시간에도, 저녁의 술자리에도 주로 회사 이야기만 하셨다. 그런데 한 번은 그 분이 나하고 저녁에 술 한 잔 하자고 하셨다. 내심 적잖이 부담이 되었지만 차마 거절할 수도 없었다. 회사에서는 아무런 감정 없는 일 중독자에 탱크같이 밀어붙이는 사람인 줄 알았던 그 분이 술자리에선 그래도 자기 힘든 점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해서 어느 정도 경계심(?)은 풀어졌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그 분이 말씀하신 힘든 점은 다 회사일과 관련되어 있었다. 나는 낮에도 업무 이야기, 저녁에도 소위 말해 다시 공장(?)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자리에서 공장 이야기에 관심을 덜 보이는 것은 웬지 내가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약해보일지도 모른다는 압박 때문인지 계속 고개를 끄덕이고 맞장구를 쳐주고 또 내 나름대로의 의견을 피력해야 했다.

누구나 조직원이기에 앞서 사생활이 있는 개인이다. 폭탄주가 돌고, 모두가 상기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폭탄주를 거부하거나, 상기되어 있는 분위기에 동참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의 심경을 드러내면 보통은 집단의 눈총을 받게 된다. 이렇게 개인성을 드러내기가 힘들고 그것이 위협받는 것은 아주 힘든 경험이다. 이런 개인성은 그냥 혼자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 다른 사람과 소통되기도 한다. 그래서 사적인 대화, 걸스 톡은 중요한 것 같다. 직장을 막 옮기고 초반에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개인성을 소통할만한 상대를 직장 내에서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는 것 같다. 그냥 개인으로서 나를 봐라봐주기를 원하기 때문에. 그러나 조직에 얽매이지 않고, 알코올에 얽매이지 않는 남성과 남성의 관계도 중요하다. 남성으로서 가져야 한다고 생각되는 지나친 책임감, 의무감, 조직에 대한 충성심, 마쵸 기질, 주도에 대한 의무, 이런 것들 한꺼풀만 벗겨내면 개성 충만하고, 유쾌한 한 개인이 드러난다. 남성들이여, 그렇게 유쾌한 개인들의 만남을 즐겨보자.

2007-05-01

국가 권력보다 무서운 자본의 권력

과거 군사 독재 정권 시절에는 평범한 많은 사람들에게조차 가장 무서운 단어가 아마 "중앙 정보부", "청와대", "안기부", "보안사" 이런 것들이었다. 고등학교 때까지, 그리고 대학에 들어가서도 웬지 "안기부"라는 단어는 재수 없게 들렸고, 공포스럽게 들렸다. 지금 가장 무서운 것은 무엇일까? 물론 국가는 아직도 검찰, 경찰과 같은 물리력과 신체 구속력을 동반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벌어진 던킨 도너츠 사건 (발단, 관련 블로그 글)과 한화 그룹 김승연 회장의 보복 폭력 사건을 보고 있자면, 이제 전통적인 정치 세력이 가지고 있던 권력이 자본으로 이동되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그래서 과거에 고 정주영 회장이 대통령 후보 되겠다고 나왔을 때에 그게 한나라당 군사 독재의 잔당들이 후보로 나왔다는 사실보다 더 몸서리쳐졌던 것 같다.

돈이면 손바닥으로 하늘도 가릴 수 있는 것인가. 정보화 사회에서 진짜 무서운 것은 돈으로 여론과 정보를 조작하는 것이다. 중국은 아직도 국가가 정보를 통제하고 조작하지만, 우리 나라는 자본을 가진 사람들이 정보를 통제하려고 드니 중국이나 우리 나라나 그런 면에서 참 닮은 꼴이다. 정확한 사실이 과연 밝혀질지 의문스럽지만, 사실 여부를 떠나서, 두 개 자본의 추악한 현재의 행태를 보고 있노라면 화가 치밀어오른다.

2007-04-08

한비야의 멈추지 않는 걸음,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한비야 저.

오지 여행가로 유명했던 한비야가 긴급 구호 전문가로 변신했다.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는 그녀의 변신 이후 지난 5년간 아프가니스탄, 말라위, 잠비아, 이라크,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북한, 팔레스타인, 네팔, 서아시아의 쓰나미 현장 등 정말 말할 수 없이 끔찍하고, 참혹하고, 위험한 현장에서 긴급 구호 요원으로 활동했던 생생한 기록을 담고 있다. 한비야의 책을 한 권이라도 읽어본 사람들은 그녀의 팬이 되어버린다. 특유의 친화력과 사람에 대한 애정, 그리고 소명 의식으로 긴급하게 도움이 필요한 현장에서 그녀는 홍보 전문가로 그리고 물자 배분가 이상의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이런 책이 없었으면 관심은 커녕 이름도 몰랐을 서아프리카의 시에라이온, 라이베리아에 있는 소년병들의 삶에 대해 양심있는 지구인으로서의 최소한의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밑줄 치고 싶은 부분이 정말 많았으나,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 있었기 때문에 표시하지 못하고 그냥 한 번 읽고 넘어간 것이 너무 아쉽다.


세계에는 당장의 삶 자체를 위협받고 기본적인 생명권을 제대로 지킬 수 없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는 것을 알았다. 한국은 일제 강점기에 식민지의 고통도 겪었고, 동족끼리 총칼을 겨누며 싸우면서 전쟁과 기아, 가난의 아픔을 겪으면서 다른 나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이제 우리의 관심을 과거에 우리가 겪었던 극도의 어려움을 현재도 겪고 있는 다른 나라의 사람들에게도 쏟아야 할 때임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 그리고 그런 도움이 일시적이지 않고 그 사람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도 알려준다. 결국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미래에 먹을 거리를 제공해줄 한 줌의 "씨앗"이라는 말을 잊을 수 없었다.


인생에서 무엇을 해야 할 지 모르는 청소년들에게도 한비야가 묻는다. "무엇이 내 가슴을 뛰게 하는가"라고. 그래서 그 안타깝고 괴로운 현장에서, 때로는 버겁고 무섭고, 능력에 의심이 가고, 끝이 보이지 않는다고 실토하는 한비야는 그래도 현장의 사진 속에서 싱글벙글 환하게 웃고 있다. 그가 말한다.


"그건 아마도 희망의 싹 때문일 것이다. 재난의 크기와 원인은 달라도 마음을 열고 잘 살펴보면 거기에는 언제나 파란 희망의 싹이 움트고 있다. 혹독한 환경에서 척박한 땅을 뚫고 돋아난 그 작고 기특한 것을 보았으니 어찌 반갑지 않을 수 있을까."

2007-04-02

웹 2.0 기획론: 강력한 웹 2.0 서비스를 만드는 13개의 키워드를 읽고

정유진의 웹 2.0 기획론: 강력한 웹 2.0 서비스를 만드는 13개 키워드 책표지예전부터 읽어야지 읽어야지 마음만 먹고 있다가 주말에 서점에 들러 과감하게 산 두 권의 책 중의 한 권이다. 책을 사고 나서 2주일간 서울로 출장을 다녔는데, 출장을 가면서 지하철에 있는 시간이 많아 책읽기에 좋은 환경이 저절로 생겼다. IT 분야의 컬럼니스트들은 대부분 배경이 엔지니어인 경우가 많다. 분야의 특성상 기술적인 배경이 전혀 없이 산발적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의 경향성이나 공통점을 찾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저자 정유진NHN에 근무하는 웹 기획자이다. 책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이런 훌륭한 기획자가 일하고 있는 회사가 참 부럽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웹 기획을 하건, 웹 기술 또는 웹 디자인을 하건 자기 영역의 전문성을 가지면서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력을 갖추고, 사회 저변에 흐르는 큰 변화의 틀을 읽어낼 수 있는 눈을 가진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정유진은 웹 2.0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그것들을 꿰뚫는 13개의 공통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예전에 웹 2.0 시대의 기회: 시맨틱 웹을 읽었을 때 느꼈던 흥미와 설레임이 다시 배가 되어 살아났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나름대로 다시 웹 2.0의 키워드가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다. 내가 생각한 결론은 관계라는 단어이다. 과거의 웹은 관계를 맺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 "링크"였다. 물론 링크는 지금도 매우 중요한 "관계"를 설정하는 수단이다. 그러나 세상의 지식은 양이 기하급수로 늘어나고, 종류도 셀 수 없이 많아지고, 공급자도 다양해지면서 그들간의 관계를 단순하게 링크로만 맺어주는 것에는 한계가 드러났다. 그리고 아주 엄격한 규칙을 적용해 매우 뛰어난 소수의 전문가 또는 공급자가 관계를 맺어주기에 웹의 세상은 너무나 빨리 변하고 너무 복잡해졌다. 그래서 이제 아무런 관계도 없는 것처럼 보이는 지식들이 많아지면서 웹은 지나치게 거대한 쓰레기장이 되어 버렸다. 그런 쓰레기장에서 숨어있는 보물을 용하게도 잘 찾아주는 녀석이 바로 "구글"이다. 즉, "구글"의 검색은 웹 1.0 시대의 천재이다. (물론 구글은 웹 2.0시대를 연 대표적인 기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제 웹 2.0 시대가 오면서, 쓰레기가 데이터로 변모한다. 마이크로포맷 등을 통해 데이터의 규격이 생기고, XML 웹 서비스라는 것을 통해 전혀 소통이 불가능했던 데이터와 다른 곳에 있는 데이터의 소통 방법이 생기고, 기존에는 데이터로 취급하지 않았던 데이터들의 관계나 숨은 데이터(메타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가 된다. 기존의 웹에서 단일한 사이트 내에서만 조회 가능하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조회(쿼리)가 이제 전체 웹을 꿰뚫으며 가능해진 것이다. 웹 2.0은 기존의 웹 1.0 시대에서 팀 버너스 리가 꿈꾸었던 시맨틱 웹에 한 발 더 다가선 개념이다. 단일한 서비스나 단일한 사이트가 아닌 웹 전체가 거대한 네트워크가 되고, 전체 웹이 하나의 거대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되어 사용자가 또는 기계가 원하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는 개념은 사실 인간의 지식 표상(knowledge representation)에 대한 연구에서 나온 결과와 아이디어를 주고 받은 결과이다. 인간의 뇌세포들은 시냅스를 통해 매우 복잡한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고, 지식들이 한 개의 뇌세포가 아닌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즉, 하나의 개념이나 지식을 활용하려면 관계있는 모든 영역이 동시에 병렬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하고, 그 활성화되는 정도는 과거에서부터 축적되어온 지식들간의 연결 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인간은 아마도 기본적으로 "관계"를 통해 사고를 확장해갔는지도 모른다.


김중태 원장은 그의 저서, 웹 2.0 시대의 기회: 시맨틱 웹에서 웹 2.0의 특징 중에 "자동화"를 강조했었다. 맞는 말이다. 쓰레기로 가득찬 곳에서는 쓰레기 처리를 자동화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의미있고 서로 관계가 있는 데이터로 가득찬 곳에서는 기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근원적으로 웹은 누구 한 사람에 의해서 통제되는 한정된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정해진 규칙 기반의 자동화를 구축하려고 하면 한계에 부딪힌다. 그것들을 보완해주는 중간 단계의 기술들이 현재 나와 있는 웹 2.0의 기술과 서비스 아이디어들이다. 그러나 점점 더 복잡해질지도 모르는 웹에 "자동화"를 구현하려면 김중태 원장이 말했듯이 인공지능의 기술, 특히 신경망처럼 스스로 방대한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학습하며 진화하는 시스템이 더 발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구글처럼 매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공간/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도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기술 서적이 아니다. 웹 2.0도 기술 용어가 아니다. 그래서 기술을 다루지 않는, 또는 웹을 다루지 않는 사람들도 웹 2.0이나 이 책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웹 2.0의 시대에 강조되어온 "관계"와 "소셜(social)", "데이터", 어텐션(attention)" 그리고 "참여"와 "공유"라는 개념은 조직 내의 의사 소통 과정, 의사 결정 과정, 전략 수립, 지식 경영, 교육과 훈련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조직의 규모가 크고, 구성원들의 업무, 성향, 국적, 역량 수준이 다양하고 복잡할수록 더욱 그러할 것이다. 앞으로 많은 조직들이 웹 2.0 또는 엔터프라이즈 2.0을 조직 내에 어떻게 적용하여, 어떻게 변화해갈지 궁금해진다.

2007-03-20

'ㅔ' 발음과 'ㅣ' 발음

우리 나라 말에서 급격하게 차이가 희미해지고 있는 발음이 'ㅐ'와 'ㅔ'이다. 사실 'ㅐ'와 'ㅔ'를 틀리게 발음하는 것은 그렇게 치명적이지 않다. 그것을 듣고 구별하는 것도 매우 어렵고, 또 정확하게 발음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게 음성 언어로 구분이 안 되니 문자로 기록할 때에도 'ㅐ'와 'ㅔ'를 바꿔서 쓰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이다.

그런데 오늘 느낀 것은 재미있게도 영어의 '엑스' 발음이나 '에' 발음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익스'나 '이' 발음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represent'라는 영어 단어는 '레프리젠트'로 발음해야 하고 'representation'도 '레프리젠테이션'으로 발음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리프리젠테이션'으로 발음한다. 거꾸로 'ㅣ'를 써야 하는데 'ㅔ'를 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리포트'를 '레포트'라고 발음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정도는 듣기에 별 거북함이 없다. 왜냐하면 한국어를 말하는 맥락에서는 충분히 한국화된 발음을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예전에 어떤 교수님이 수업 시간에 'database'라는 영어 단어를 한국어 맥락에서도 '데이러베이스'라고 말하는 것이 어찌나 어색하게 들렸던가. 그런 맥락에서는 그냥 '데이타베이스'라고 하는 것이 훨씬 듣기가 좋다. 재미있는 것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이라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말하는 상황에서도 'excel'을 '익셀'이라고 하지 않고 '엑셀'이라고 잘못 발음한다는 것이다.

요즘 뼈저리게 느끼는 것 중에 하나는, 발음은 영어나 외국어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덜 중요하다는 것. 즉, 억양(액센트)에 너무 목매달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 보통의 경우 한국 사람은 한국식, 이탈리아 사람은 이탈리아식, 중국 사람은 중국식, 필리핀 사람은 필리핀식, 인도네시아 사람은 인도네시아식 억양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 사람들에게 미국식 또는 영국식 억양을 쓰지 않는다고 영어를 못한다고 할 수는 절대 없다. 그러나 정확한 강세(stress)와 모음 발음은 여전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빠른 말을 들을 때에는 종종 강세와 모음만 대충 들어도 의미 파악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냥 내 개인적인 경험으로... 근거는 없다. 어떤 언어 심리학자가 이런 것들을 검증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실험을 했을 지도 모른다.)


아무튼 다음 단어들에 나온 'e' 모음이 'ㅔ'인지 'ㅣ'인지 한 번 확인해보자.


  • represent (레프리젠트)

  • representation (레프리젠테이션)

  • report (리포트)

  • execute (엑시큐트)

  • executable (엑시큐터블)

  • excel (익셀)

  • excellence (엑설런스)

  • expert (엑스퍼트)

  • reference (레퍼런스)

  • refer (리퍼)

  • resume (리쥼)

  • export (익스포트)

  • explanation (엑스플러네이션)

  • explain (익스플레인)

  • designate (데지그네이트)

  • prefer (프리퍼)

  • preference (프레퍼런스)

2007-03-10

"공유하기 싫은 사람은 인터넷을 떠나라"에 대한 답글

커서님의 글에 부분적으로 공감합니다만 약간 다른 관점에서 "공유"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인터넷은 잘 모르겠고, 웹의 시작은 서로 다른, 멀리 떨어진 기종간의 자료를 자유롭게 교환하기 위해 탄생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목적의 상당 부분은 "하이퍼링크"라는 아주 간단하지만 대단한 기술을 통해 구현되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있는 모든 글들이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되어서, 사람들은 어디에서 출발하더라도 관련된 지식과 정보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우리 나라에서 벌어지는 인터넷의 문화는 참 이상한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누구나 완전히 새로운 창작은 없겠지만, 남이 써놓은 글을 "스크랩"하기 또는 "담기", "퍼가기"와 같은 그럴듯한 말로 포장해서 자신의 공간에 담아두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을 갖게 된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자신의 블로그나 미니 홈피가 풍부해지면 결국 방문자들에게 이득을 주는 것일까요? 그것은 단편적인 생각일 수 있습니다. 그렇게 퍼가기와 스크랩을 통해 복사된 글들이 인터넷에 많아지면, 인터넷의 꽃인 검색은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좋은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 자료가 얼마나 검색 목적에 적합한지 기계가 판단을 해야 합니다. 이 때의 판단 기준으로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봤는가, 글 내용과 제목, 키워드 등이 얼마나 적합한가, 그 글을 참조하고 있는 링크가 얼마나 많은가, 얼마나 많은 추천을 받았는가, 얼마나 많은 사람이 북마크를 했는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우리 나라에서 최고의 검색 포털인 네이버에서 무엇을 검색해보면 똑같은 내용의 글들이 블로그, 카페, 지식인 등에 몇 번씩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고, 도대체 그 "지식", "글"을 쓴 원 저작자가 누구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반복해서 나타나면 노출의 기회가 많아져서 접근성이 높아진 것일까요? 결코 아닙니다. 왜냐하면, 반복해서 나타나지 않고, 원본 글이 가장 적합한 글이었다면, 그 글은 검색 엔진에 의해 가중치가 점점 더 높아져야 합니다. 그런데 복사본이 많아지니까 원본 글의 가중치는 실제 그 글이 가지는 중요도, 적합성보다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해 뭐가 중요하고, 뭐가 적합한지를 기계적으로, 또는 사람이 판단할 기준이 애매해진다는 것이지요. 이것은 결국 인터넷 검색의 품질을 극적으로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우리 나라의 웹 검색 수준이 구글과 야후같은 세계적인 기업에 비해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초보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런 퍼가기와 같은 기형적인 웹 데이터들에 의해 웹이 쓰레기로 오염되었기 때문에 포털들은 웹 검색의 필요성을 못 느꼈을 것입니다. 단지 포털 내부에 갇힌 자료들만 잘 보여주면 되었지요. 인터넷의 세계는 국경을 넘어 무한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인데도 우리 나라는 정확하지도 않은, 그리고 온통 퍼가기로 여기 저기 반복되는 "네이버" 지식인 수준의 공유 "지식"에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경을 넘어 세계 사람들은 "공유된" "공공의 지적 자산"을 키워가며 자신들의 지적인 창작물들을 키우는 동안 우리는 갇힌 우리들만의 좁은 세계에서 서로 퍼가고, 나르고, 복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좀 극단적으로 말하면 다른 나라의 개개인들이 기존의 가치에 자신만의 부가 가치를 더해서 지식을 키워가는 동안 우리는 아무런 새로운 가치도 창출하지 못하는 복사하기에 열광하고 있는 것이지요.


인터넷에서 좋은 정보를 발견했다면 퍼가지 말고, 링크를 걸면 됩니다. 그렇게 해서 외부에서 링크가 많이 걸린 정보는 중요한 정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외부에서 걸린 "링크의 텍스트 제목"을 통해, 원본 자료의 내용을 대표하는 제목이 무엇인지, 어떤 자료가 담겨 있는지를 기계적으로 결정하기가 더 좋아집니다. 이렇게 해서 내가 검색 엔진을 통해 찾든, 아니면 링크를 따라가면서 찾든, 나의 목적에 더 쉽고 빠르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있는 많은 자원들이 이렇게 해서 "공공성"을 가져야 합니다. 서로 베껴서 널리 퍼뜨리는 것이 아니고, 내가 만든 저작물을 링크로 인용하여 다른 사람이 연관된 새로운 저작물을 만들면서 우리의 공공 자산은 점점 더 커지는 것입니다.


언제부터인가 "조선닷컴" 사이트에 "퍼가기"라는 주황색 버튼이 생겼더군요. 아니 신문사에서, 그것도 조선일보와 같은 극우 신문이 공개적으로 자신의 기사를 퍼가도록 할리가 있나 싶어서 눌러봤더니, 아니나 다를까 그것은 "RSS" 구독 버튼이었습니다. RSS 구독은 퍼가기와는 전혀 다른 개념인데 어떻게 이것을 "퍼가기"라고 표현했을까 생각해보니, 우리 나라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에 "퍼가기"라는 말이 원 저작자의 글의 인기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단어로 인식되기 때문에 아마 뜻을 왜곡하면서도 그런 명칭을 붙였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퍼가기는 결코 원 저작자의 인기도를 높여주지도 않고, 퍼가기로 복사된 글들이 많아지면서 그 내용의 중요도가 높아지지도 않습니다. 한 마디로 인터넷 세상의 엔트로피가 증가할 뿐입니다.


건전한 "링크"를 원천적으로 막고, 이상한 "공유" 개념에 기반해서 "퍼가기"를 조장하는 우리 나라의 포털, 블로그, 언론 매체, 심지어 정부 기관의 잘못된 관행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째는, 원본 글에 대한 정확한 링크, 즉 딥 링크(deep link)를 막는 인터넷 주소(URI) 감추기입니다. 비교적 진보적인 인터넷 매체인 프레시안만 봐도, 어떤 기사를 들어가도 주소창에는 항상 똑같은 "http://www.pressian.com" 주소만 나옵니다. 프레임을 사용하여 주소를 감춰버린 것이지요. 가장 공공성이 강한 정부나 공공 기관의 웹 사이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지어 정보 접근성을 보장해야 하는 한국 정보 문화 진흥원이나, 우리 나라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콘텐츠 기술의 발전 정책을 집행하는 한국 소프트웨어 진흥원도 그런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주소가 나타나질 않으니, 기본적으로 해당 페이지에 링크를 걸 수가 없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필요하면 그냥 복사하든가 아니면 말든가 하라는 것이지요. 주소 감추기는 또 다른 폐해도 있습니다. 시각 장애인들과 같이 비시각적으로 인터넷을 보는 사람들에게는 문서의 제목과 주소가 매우 중요한 이해의 단서가 됩니다. 그런데 인터넷 주소 감추기를 통해 그 사이트 안에 담긴 수없이 다른 문서가 똑같은 제목과 똑같은 주소만을 가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문서들을 변별할 수 있는 문서의 "독특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지요. 그나마 문서 안에서의 "제목"과 내용이라도 충실하게 HTML 규격에 맞추어 작성했으면 불행중 다행인데 우리 나라 웹 페이지들은 "제목"을 표준에 맞추어 표현한 경우도 매우 드뭅니다. 그냥 글자만 굵고 크게 하면 제목인 것은 아닙니다.


둘째는, "스크랩", "퍼가기", "블로그에 담기", "클리핑", "나르기", "담아가기", 콜백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하는 "복사하기" 기능입니다. 아예 공개적으로 복사를 권장하지만, 인터넷 주소는 안 보이게 함으로써, "링크"는 불허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지요. 복사로 얼룩진 대표적인 사이트가 아마 싸이월드, 네이버 블로그지식인, 다음 카페이겠지요. 그 "복사"라는 것도 자신들의 포털 안에서는 무제한 허용하면서, 포털 밖의 인터넷 세상으로는 무제한 금지하려고 별 짓을 다하고 있지요. 그것중에 대표적인 예가 "마우스 오른쪽 버튼 막기"와 같은 별 효용도 없는 기능을 쓰는 것입니다. 어쩌면 다행인지도 모릅니다. 어차피 "그네들의" 포털에서는 복사된 쓰레기만 넘쳐나니, 그 쓰레기를 다른 인터넷 세상으로 무단 투하하는 것을 막아주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러면서 열린 공간인 인터넷에 있는 귀중한 정보는 다시 그들만의 닫힌 세상인 포털 안으로 복사해다 부지런히 나르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세째는, 포털에 일반 사용자들이 올려놓은 자료가 열린 세상에 널리 퍼지지 못하도록 "robots.txt"를 이용해 검색을 막아놓는 행위입니다. 다시 말해, 나는 공개된 인터넷이라고 생각해서 다음 카페, 네이버 지식인에 올려놓은 자료들은 다음 안에서 또는, 네이버 안에서만 검색이 가능합니다. 이것은 21세기 인터넷 세상에서 20세기 PC통신 방식을 고집하겠다는 것과 별로 다를 바 없는 것입니다. 다른 검색 엔진들이 검색을 못하도록 철저히 자신들의 포털 안에 사용자들을 가둬놓은 것이지요. 그것에 반기를 들고 나온 것이 바로 엠파스의 소위 "열린 검색"입니다. 그러나 엠파스의 접근 방식도 잘못 되어 있습니다. 어쨌든 네이버, 다음에서 검색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국제적으로 약속된 표준에 따라 장치해놓은 검색 거부 선언을 엠파스는 의도적으로 무시해버렸기 때문입니다. 이거 누구 편을 들어야 좋을지 모를 정도로 진흙탕 다툼 같지 않습니까?


네째는, 더 엽기적인 것입니다. 네이버에서는 설사 엠파스 같은 곳에서 자신의 지식인 자료를 검색을 했다 하더라도, 그것이 쓸모없도록 무력화시키기 위해, 며칠 지나면 지식인에 올라온 자료의 인터넷 주소가 자동으로 바뀌도록 해놓았습니다. 이것은 상대의 악행을 막기 위해 자신은 더 큰 악행을 저지르는 행위이지요. 다시 말해, 네이버 지식인에 올라온 자료를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내가 오늘 즐겨찾기(또는 북마크)에 등록했다고 해도, 내일이면 쓸모없어질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내일이면 없어질 페이지에 링크를 걸 수도 없고, 결국에는 그냥 복사해다가 내 홈페이지에 붙이고, 게시판에 붙이고, 열심히 "퍼가는" 길밖에 없습니다. 그러는 동안 세계 7위를 차지하는 한국어 인터넷 사용자들이 공공 재산의 하나인 "위키피디아"에 등록한 한국어 문서 등록률은 세계 30위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미 서구 문화권에서 상당히 널리 퍼지고 있고, 혁명적이라 할만한 콘텐츠의 유통 방법인 RSS가 아직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유도 아마 "퍼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개인 블로그는 물론이고, 기업, 대학, 정부, 공공 기관 할 것 없이 RSS를 통해 자신들의 소식을 사용자들에게 쉽게 전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빨리 우리 나라 웹 사이트들도 퍼가기를 조장하는 지금까지의 잘못된 관행을 버리고, 공공재로서의 인터넷 사용을 더 편하게 만드는 작업에 뛰어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그 전에 인터넷 사용자들 스스로도 "퍼가지 않기" 운동이라도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쨌든 저는 제 사이트에 있는 글을 사람들이 "퍼가기"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 싫습니다.

2007-03-03

오라클이 접근성 때문에 고소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현준호님 블로그에서 글로벌 기업인 오라클이 접근성 위배로 고소당했다는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기사 원본이 어디 나와있을까 한참 찾다보니 현준호님 글 맨 끝에 Oracle sued for failing blind users라는 기사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우리 회사도 오라클에서 만든 교육 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을 비롯해 인적 자원 관리를 온통 오라클로 하고 있기 때문에 관심이 갔습니다. 처음에 오라클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주로 ERP 류의 소프트웨어)를 접해본 느낌은 아주 복잡하고 난해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정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기술적인 배경이 강한 사람들은 오라클을 쓰면서 점점 감탄하게 됩니다. 그 복잡한 세상을 이렇게 일관성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축해놓은 것에 놀라게 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도대체 이걸 누가 쓰라고 만들어 놓은 것인가 다시 묻게 합니다. 일반적인 우리 나라의 학습 관리 시스템이라면 현황 자료를 뽑을 때에 그냥 버튼 하나 누르면 간편하게 엑셀로 다운받아 줍니다. 그런데 오라클에서는 그런 현황 자료 하나 뽑을려면, 일일이 SQL 만들어서 돌리고, 다시 템플릿을 XML이나 XSLT로 만들어서 리포트를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그것도 정말 불편하고 느린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지요. 다시 말해, 사용자가 SQL, XML 따위를 모르면 아무 것도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설사 SQL을 안다고 해도 그 거대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기술적으로 파악하고, 또 운영을 해봐야 이게 실제 어떻게 연관된 것인지 자세히 알 수 있기 때문에 현업에서 SQL 만들어서 실제로 써먹으려면 하세월이 걸립니다. 그래도 저는 그런 오라클의 방법이 그냥 단순하게 엑셀 파일에 서식까지 잔뜩 입혀서 다운로드받게 해주는 국산 프로그램들보다 어떤 면에서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면 엑셀 형식은 적어도 보편적인 형식이 아닌 특정한 업체의(proprietary)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또 우리 나라 업체의 제품 같으면 웹에서 트리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이상한 액티브 엑스(Active X) 깔아서 클라이언트에서 트리를 펼쳤다 닫았다 할 수 있게 만들었을 것입니다. 실제 그런 경우가 매우 많지요. 모두가 윈도우즈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쓰고, 자기 컴퓨터에 그런 프로그램 수십 수백 개 깔리는 것 신경 안쓰는 사람들은 그게 훨씬 편한 방법일 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오라클은 정말 느리고 불편하게 서버에서 트리를 완전히 다시 갱신하는 방법을 쓰고 있었습니다. 사실 요즘 같으면 아마 에이잭스(AJAX)를 써서 훨씬 빠르게 만들 수도 있었겠지요. 그런데 그 불편한 서버 갱신 방식을 채택한 것도 어찌 보면 이유가 있었습니다. 트리를 펼치는 것과 줄이는 것은 물론이고, 트리의 특정 노드로 점프하는 것 등이 모두 키보드로 작동 가능하고, 시각 장애인이 쓸 수 있게 해놓았더군요.

국내 학습 관리 시스템 같으면, 특정 과정을 개설할 때 강사를 지정하는 것 정도는 아무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만 오라클 시스템에서 그것은 무지무지하게 어려운 일에 속합니다. 시스템을 아무리 뒤져봐도 강사(instructor)라는 말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것을 한 번 하려면 오라클 권한 부여 모형(Oracle permission model)과 역할(role), 권한(privilege)을 이해해야 하고, 또 사이트(site), 자원(resource), 자원 유형(resource type)이라는 개념과 자원 예약(booking), 확인(confirmation) 개념에 대해서도 알아야 합니다. 한 마디로 한 방에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강사 지정한다고 해서 강사 권한이 바로 부여되는 것도 아니구요.


아무튼 오라클 소프트웨어를 쓰면서 한편으로는 방대하고 어마어마한 구조에 감탄하게 되고, 한편으로는 전혀 무신경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불만을 갖게 됩니다. 오라클의 웹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은 제가 써본 바로는 별로입니다. 엔지니어들에게는 많은 자유를 줄 수 있지만 기술과는 거리가 먼 업무 전문가들 입장에서는 꽝이라고 할 수도 있지요. 그런데 웹 인터페이스는 그나마 낫습니다. 재활법 508조가 있기 때문이겠지요.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대체 텍스트, 키보드 접근성 등을 대부분 지켜서 나옵니다. 그렇다고 웹 표준을 지키지는 않았습니다. 웹에 있어서는 아주 구닥다리 코드들을 사용하고 있지요. 그런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사람이 과연 이렇게 복잡한 시스템을 머릿속에 담아서 직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보니, 상당히 무리이겠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우리 나라에서 만든 웹처럼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아예 화면이 안 뜨고, 화면 레이아웃이 깨지고, 작동도 안 하고 그런 일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고소를 당한 소프트웨어는 아마 자바 애플릿 기반의 소프트웨어쪽이 대상이 된 것 같습니다. 오라클이 만든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써보면 정말 가관입니다. 처음 보면 도대체 어디에서부터 무엇을 하라는 것인지 감이 오질 않습니다. 그리고 자바 애플리케이션들은 접근성을 거의 고려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실 자바의 접근성이 아주 나쁜 것은 아닙니다. 100% 자바로만 만든 넷지(NETg)의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나 스킬소프트의 온라인 콘텐츠는 접근성이 아주 좋습니다. 우리 나라 이러닝 콘텐츠들의 경우는 기본적인 웹 표준과 웹 접근성, 상호 운용성, 최소한의 사용성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고 오로지 서로 다른 학습 시스템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해준다는 스콤(SCORM)에만 신경을 쓰고 있지요. 기본적인 데이터로서 가치가 낮고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콘텐츠를 아무리 스콤 표준에 맞추어봤자 무슨 소용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오라클은 아주 거대한 회사입니다. 그래서 제 주관적인 느낌으로는 움직임도 상당히 느리더군요. 그리고 워낙 제품군이 많고 방대하기 때문에 고액 연봉을 받는 오라클의 전문 컨설턴트들도 자기가 전문성을 가진 특정 분야 제품이 아니면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자세히 모르는 것 같습니다. 재활법 508조 때문에 오라클은 형식적으로만 접근성을 지켜왔던 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 그나마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는 신경을 덜 써왔던 것이고. 이제 그런 형식적인 접근성을 지켰다고 해도, 실제 장애인 사용자의 "원활한"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이번 사건이 드러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사건에서 장애인 사용자가 인사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항상 비장애인 사용자의 도움을 받아야 해서, 자신의 개인 정보를 남에게 다 노출할 수 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를 참아 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접근성을 지키는 것은 어찌 보면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그리고 단순해보이는) 접근성 규칙들 이면에 숨어있는 사용자 편의성(usability)이라는 측면이 너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사용자 편의성, 접근성 문제에 상대적으로 둔감함을 보여왔던 오라클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07-02-26

7th KWAG Workshop

I attended the 7th KWAG workshop held at one of NHN's training centers. KWAG is a voluntarily gathered non-profit, and non-government group of people who share the interest i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in Korea, and this workshop is a kind-of unconference which has no fixed form but the content of the meeting is freely created by voluntary individuals.

KWAG launched several small groups, that is TF's at this 7th workshop. I was involved in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F and newly participated in Caption and Audio Description TF which consists of only three members (Gyu-yeon Hwang, Jiae Mun and me) now. We had a short discussion regarding the plan for this TF and picked out three initiating topics:


  1. Accessibility of multimedia players (whether they are embedded in a Web or run as an independent application)

  2. Field research for captioning applications

  3. Effective caption(or subtitle) design

Have a quick look at the following photos to get how the workshop worked:


2007-02-22

단일 문화 사회를 넘어

중고교 시절에 강조해서 듣던 말이 있다. 우리 민족은 단일 민족, 백의 민족이라는 것이다. 민족이라는 단어는 항상 핏줄의 계보를 따진다. 그리고 그 핏줄, 또는 혈통은 자기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기 핏줄에 대한 묘한 집착, 또 빠져나오기 힘든 편견을 가지기 마련이다. 그런 사람들의 심리를 가장 잘 이용해먹었던 자가 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히틀러, 무솔리니같은 사람들이다. 우리 나라는 긴 세월동안 다른 나라를 부당하게 침략하지 않고 평화를 옹호했던 자랑스러운 전통이 있다. (최근에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침략 전쟁을 일으킨 미국에 협조해 군대를 파견한 불명예스러운 역사도 있지만.) 거기에 어물쩡하게 덧붙여 우리 나라가 단일 민족 국가라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해야 하는 것으로 교육받아왔다. 그런데 성장하면서 그것이 그렇게 자랑스러운 것인지 점점 의문을 갖게 되었다.

얼마 전에 여수에 있는 외국인 보호 시설에서 화재가 나 외국인들에 대한 부당한 인권 침해에 대해서 사회적인 각성의 계기가 있었다. 박노자 칼럼 (이민 받아들이기를 왜 거부하는가?)에서 지적했듯이 이제 다양한 종족이 함께 공존하는 "정상적인 나라"의 대열로 들어가야 한다.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사는 것이 우리 나라에 여러 가지로 이득이 된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블로거 젠 카나이가 지적한 THE COST OF MONOCULTURE는 힘 있는 사람들의 문화와 다수의 문화가 그냥 우리 사회의 단일한 문화로 둔갑해버리는 우울한 현실의 일부분일 뿐이다. 단일한 종으로 구성된 식물 군락은 특정한 바이러스나 병충해에 한 번 취약점이 노출되면 전체가 무너진다. 우리도 2003년 전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단일한 IT 환경으로 인해 인터넷 대란을 겪은 적이 있다. 이제 다양한 특성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살아가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한국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것이 우리가 그렇게 비난하는 유일 사상 체제인 북한보다 확실하게 우월한 점이 아닐까.

네덜란드 법인을 방문했을 때 들었던 이야기가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한 물류 창고 직원 26명의 국적을 조사해보았더니 18개의 다른 국적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하던 직원의 이야기.

2007-02-20

이러닝? e러닝?

기술의 발달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고, 많은 기술들이 서양 문화권(특히 영어 문화권)에서 들여오다 보니 외래어와 외국어 단어 수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단어들을 (북한처럼) 일일이 우리말로 바꾸면서도 그 뜻을 잘 전달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불행하게도 그렇게 하기에는 어휘가 발달, 변천해가는 속도가 너무 빨라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대체 가능한 우리말이 확실하게 있다면 대체 가능한 우리말을 되도록 쓰는 것이 좋겠지요. 그것은 단순히 수세적으로 우리말을 지키자는 의미에서라기보단, 영어가 우리의 주류 언어가 되어버리고 우리말 단어가 씨가 말라서 그것이 오히려 문화의 다양성을 해칠지도 모른다는 우려에서입니다. 다시 말해, 영어의 어휘가 풍부해져서 우리의 삶이 풍부해지는만큼 우리말의 어휘도 풍부해지고, 다양한 사상과 새로운 기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풍성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영어 단어가 많아지면서 그것을 한국어로 바르게 쓰는 일도 중요한 일입니다. 얼마 전에 모 건설 회사에서 e 편한 세상이라는 문구를 사용하면서 e라는 영어 알파벳을 중의적으로 쓰는 일이 참 많아졌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소위 말하는 온라인 학습 즉, 이러닝(e-learning)이라는 것인데, 이것을 정부 부처 일부에서 e러닝으로 쓰고 있습니다. 우리말 문장을 쓸 때에는 모든 단어를 우리말을 표기하는 한글로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즉 여러 문자를 한 문장에 섞어쓰지 않습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제대로 된) 신문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부시 대통령을 만났다.가 맞지 노무현 대통령이 Bush 대통령을 만났다.라고 쓰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표기하기에 어려운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영어 알파벳 한 자 한 자를 발음해야 하는 약자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UCC 열풍이 불고 있다. 이렇게 쓰는 것과 유씨씨 열풍이 불고 있다. 이렇게 쓰는 것과 어떤 것이 맞는 것일까요? 이런 경우도 원칙은 뒤의 문장이 맞지만 편의상 대부분의 신문에서 앞의 문장처럼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는 통상적으로 첫 번째 문장처럼 쓰는 것이 이미 굳어진 관행이 된 것 같습니다. 이것까지 꼭 유씨씨라고 써야 한다고 우기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럼 이런 경우는 뭐가 맞을까요? LG전자엘지전자? 제 생각엔 당연히 후자가 맞습니다. (칼 맞을 소리인지도 모르겠지만) 불행히도 우리 회사는 이런 혼란을 일찌감치 초래하고 우리말의 오염에 일조한 회사 중에 하나입니다. 에스케이 텔레콤, 케이티에프, 케이티엔지, 케이티엑스 등도 모두 마찬가지이지요. 자,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러닝인지 e러닝인지는 명확합니다. 이러닝은 국어 사전에 올라갈 수 있는 단어이지만, e러닝은 국어 사전에도 올릴 수 없고 영어 사전에도 올릴 수 없는 엉터리 단어입니다. 한 문장에서 표기 언어 문자 코드를 바꾸는 것도 조심해야 하는데 심지어 한 단어 내에서 표기 언어 문자를 막 바꾸려는 시도는 정말 잘못된 것입니다. 처음 e 편한 세상을 사용했던 건설 회사가 원죄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전에도 비슷한 예가 있었을 수도 있지요), 그것은 어디까지나 상업적인 광고 목적으로 소비자를 현혹하기 위해 사용한 것입니다. 이런 엉터리 표기법을 공공 기관이나 정부에서 공식적인 용어에도, 그것도 한 단어 내에서 두 개의 표기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차라리 용어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이러닝(e-learning) 이렇게 처음에는 써주는 것이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더욱 가관인 것도 있습니다. 아래 항목 等에 대해 F/up 바랍니다. 이런 문장을 접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하고 싶은 말은 아래 항목들에 대해 조사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도였겠지요. 영어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한자를 한글 속에 섞어쓰는 것도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쓸데없는, 그리고 잘못된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입니다. 한글로만 적었을 때 정말로 의미가 모호하다면 괄호 안에 한자어를 같이 써주면 되겠지요. 그런 경우는 흔하지도 않지만. 또 사선(슬래시, slash, /)을 이용해서 줄임말을 쓰는 것도 조심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라고 쓰면 명확한데 "S/W", "H/W", "N/W"라고 이상한 단어를 씀으로써 의사 소통을 애매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까? 그런 잘못된 습관이 다른 단어와 구문에까지 일반화되어 영어로 "팔로우 업(follow up)"을 쓰고 싶은 자리에 "F/up"이라는 정말 희한한 표기법이 나왔겠지요.

자, 이제부터는 "e러닝"이라는 이상한 단어 대신에 "이러닝"이라는 올바른 단어를 사용합시다.

2007-02-12

파리와 파타야 여행

여기는 태국의 파타야입니다. 아마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겠지요. 프랑스 파리에서 다른 모임을 마치고 오늘 태국에 도착했습니다. 파리에선 사실 호텔과 회사밖에 안 가봤기 때문에 파리에 가봤다고 하기는 참 거시기하게 되었습니다. 뭐 원래 개인적으론 여기저기 구경하면서 돌아다니는 것보다는 현지인들을 만나서 이야기하는 것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아주 나쁘진 않았습니다. 며칠간 하루 죙~일 원없이 떠들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좀 재미있었는데 나중에는 이제 좀 편하고 느긋하게 우리말을 쓰고 싶더군요. 영어를 쓰려면 아주 편한 자리에서도 계속 귀를 쫑긋 세우고 상대방이 무슨 말 하는지 들어야 하니까요. 어쨌든 파리에서의 마지막날 저녁에 호텔 일정이 맞는 포르투갈 직원 두 사람과 각각의 배우자까지 해서 네 사람과 저녁을 먹었는데 그 사람들이 한국 사람과 이렇게 오랫동안 잡담을 하면서 편하게 저녁을 먹어본 적이 없다고 매우 좋아하더군요. 저녁은 프랑스 식당에서 8시 반에 주문을 했는데 주문하고 나서 음식 나오는데 한 시간 걸리고, 밥 먹는데는 한 30분, 그리고 계산서를 각자 계산서로 끊어달라고 했더니 종업원이 계산서를 발행할 줄 몰라, 여기저기 물어보고 최종 계산서 나와서 서명하기까지 무려 한 시간 반이 걸렸습니다. 그래서 11시 반에 저녁 식사를 마쳤는데 종업원이 미안하다는 말은 한 마디도 안 하더군요. 프랑스 사람들 또는 유럽 사람들은 그런 거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태국에서는 며칠 전까지 러닝센터에서 근무하셨던 주재원이 점심과 저녁을 근사하게 대접해주어서 아주 즐거운 일요일 하루를 보냈습니다. 프랑스 음식은 기대했던 것보다 별로였습니다. 아무리 봐도 한국 음식만큼 건강식도 아닌 것 같고. 그런데 태국 음식은 한국 사람 입맛에 착 달라붙을 정도로 맛있었습니다. 음식 이름은 모르겠고, 한국식으로 치면 일종의 샤브샤브 비슷한 것인데 아주 담백하고 소스도 한국의 된장, 쌈장과 매우 비슷합니다. 파타야의 날씨도 지금이 제일 좋은 때라고 하는군요. 주재원이 계신 곳은 바닷가에 있는 한 콘도인데 콘도 바로 앞으로 수영장과 콘도 사람들만을 위한 멋진 해수욕장이 펼쳐져 있습니다. 서양 사람들이 참 많은데, 일요일이라 그런지 축 늘어져서 책 보는 사람, 자는 사람 등 한가하게 일요일을 즐기는 사람들이 참 부럽더군요. 내일부터는 아침부터 또 강행군입니다. 동남 아시아에서는 유럽에서보다 저에게 더 많은 시간이 할당되어 있어서 준비를 철저하게 해야 하는데... 걱정이 앞서는군요. 그럼 인터넷 접속 요금을 아끼기 위해 오늘은 이제 그만...

2007-01-23

한국 웹 접근성 그룹 KWAG 모임 후기

지난 토요일 다음 커머스 회의실에서 한국 웹 접근성 그룹, KWAG의 6번째 모임을 가졌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 빼놓고 그동안 주욱~ 게으름 피우다가 오랜만에 게으른 몸을 이끌고 모임에 나갔는데 정말 많은 분들이 오셨습니다. 개인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이런 모임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 항상 놀랍습니다. 회사에서도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지식을 공유하게 할 것인지 한참 고민하는데, 이런 류의 모임에서 많은 시사점을 얻습니다.


장애의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웹의 기본 정신에 공감하고 어떻게든 그것을 현실에서 구현하려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니 정말 감동이었습니다. 게다가 메이저 업체라고 할 수 있는 다음, 네이버, 야후, KT 등에서도 개발자와 디자이너 분들이 참여하셔서 이제 큰 업체들도 움직이기 시작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하였습니다. 한국 정보문화 진흥원의 현준호님이 오셔서 한국의 접근성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해주셨는데 드디어 블로그를 만드셨더군요. 축하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인상적이었던 것은, 제가 가장 늦게 와서 맨 뒷자리에 앉았었는데, 뒤에서 보니 맥북을 쓰시는 분들이 정말 많더군요. 웹 표준이나 웹 접근성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맥을 쓰시는 분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현준호님이 W3C 발표장에 가면 자신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맥을 쓴다고 전하시던데... 소수자인 맥 사용자가 우리 나라 인터넷을 제대로 쓸 수 있도록 우리 나라 웹이 좋아진다면 아주 좋겠죠. 제 생각엔 그러려면 맥이 지금보다 훨씬 시장 점유율이 높아져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세상에는 윈도우즈만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사람들도 지금보다 훨씬 보편적인 방식의 웹을 제작하는 데에 신경을 많이 쓰겠지요.


본 모임이 끝나고 별도의 평가 TF 모임에 처음 참석하였습니다. 열띤 토론을 하며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온라인에서 가끔씩 글은 보았지만 얼굴은 잘 익숙하지 않았던 윤좌진님, 김요한님, 홍윤표님, 신현석님, 조훈님, 조현진님, 정찬명님이 많은 고생을 하셔서 이미 진행이 많이 되었더군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직 공개되지 않은(?) 또 하나의 모임에 갔습니다. 웹 표준 관련 책을 하나 번역해서 내기 위해 몇몇 사람이 일을 하다가 1차 마무리가 되는 시점에서 한 번 모인 것이었습니다. 그곳에서 편집자(?) 한 분과 웹 표준, 웹 접근성 관련해서 비참한 우리 나라의 현실에 대해 술자리에서 한참동안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다리 걸친 게 너무 많아 몇 개는 좀 털어내고 싶은 욕구가 항상 따라다니는데, 지난 토요일은 그런 생각을 잠시 잊어버렸던 것 같습니다.

2007-01-21

아웃룩 2007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버리다니...

오늘 좀 쇼킹한 뉴스를 접하게 되었다. 새로 출시되는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Microsoft Outlook) 2007 버전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를 HTML 렌더링 엔진으로 쓰지 않고, 대신 워드(Word) 2007을 사용한다고 한다. 몰리(Molly)에 따르면, HTML 형식의 이메일을 작성할 때와 읽을 때 같은 엔진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일관성을 주려는 목적으로 그런 짓을 한 것 같다. 당연히 예상되었겠지만 워드 2007의 렌더링 엔진은 매우 조악하다고 한다. 특히나 CSS의 float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니, CSS 포지셔닝 기능을 이용해 HTML 형식의 이메일을 보내던 많은 기업 이메일 발송자들에게는 치명적인 문제가 생길 것 같다. 사이트 포인트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시끄럽고, 캠페인 모니터 블로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메일 디자인을 5년은 후퇴시켰다고 비난하고 있다.


사실 불필요하게 HTML 이메일을 남용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특히나 우리 나라 기업들이 보내는 수많은 엽기적인 HTML 이메일은 아무런 대체 수단 없이 통째로 하나의 이미지로 되어 있다. 오페라(Opera)에 내장된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는 그래서 HTML 이메일 작성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다. 물론 읽는 것은 지원하지만. 그러나 걱정이다. 이메일 클라이언트로서 아웃룩의 시장 점유율이 세계적으로 70%가 넘는다고 하는데, (아마 우리 나라에서는 90%가 훨씬 넘지 않을까) 그러면 이메일을 보내는 기업으로서는 수신자의 프로그램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CSS 포지셔닝을 사용하지 않고 무조건 테이블 기반의 디자인으로 돌아가거나 아니면 많은 생각 없는 디자이너들이 선호하는 통짜의 그래픽 이미지로 메일을 보내는 사례가 늘어나지 않을까 싶어서이다. 개인적으로야 뭐 HTML 메일을 보낼 일은 거의 없지만, HTML 메일로만 캠페인을 하는 많은 사업자들은 아마 상당히 난감할 것 같다. 물론 약삭빠른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자기들 렌더링 엔진에 맞도록 작성자가 HTML을 썼는지 검사하는 프로그램을 무슨 정말 표준 검사 도구인 것처럼 내놓고 있다.


안 그래도 우리 회사에서 아웃룩 쓰는 사람들이 자꾸 RTF(Rich Text Format, 워드에서 사용하는 포맷)로 메일을 보내는 통에 첨부 파일이 winmail.dat로 읽지 못하게 와서 매번 다시 보내달라고 하는 법석을 떨고 있다. 이게 독점의 폐해가 아닌가 싶다. 아웃룩이라는 고유 명사는 알지만 메일 클라이언트라는 단어는 모르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라는 단어는 알지만 브라우저라는 단어를 모르는 사람들로 꽉찬 곳에서 독점 소프트웨어의 의사 결정은 시장 전체와 다른 제품 사용자, 기존에 합의된 표준 등 여러 곳에 매우 큰 파급 효과를 미친다. 무서운 것은 그런 독점 사업자가 독점 제품을 통해 자신들의 이상한 방식을 모두에게 강요함으로써 기술 발전을 후퇴시키거나 정체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2007-01-08

한국 웹 접근성 그룹 웹 사이트

드디어 Hooney님이 일을 저질렀군요. 한국 웹 접근성 그룹 웹 사이트를 여셨습니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을 잘 지키고, 디자인도 멋지고, 위키 기반으로 되어있어서 사람들이 참여하기도 편하고, 내용도 여러 사람들이 참여해서 계속 보강해나간다면 아주 멋진 사이트가 될 것 같습니다. 처음엔 그냥 재미로 시작하는 모임이었는데 이제 책임감이 어느 정도 따르는, 그리고 우리 나라에서 웹 접근성 관련해서 유일한 스터디, 활동 모임이 되었군요. Hooney님! 정말 멋져요.

2007-01-01

새해의 다짐을 어디에 적을까?

웹 프랭클린 플래너 스크린샷

나는 개인의 일정 관리, 정보 관리를 어떻게 하면 최적으로 할 수 있을까를 정말 오랫동안 고민했다. 그래서 그 해답도 아주 많이 바뀌어왔다. 대학 시절에는 조그마한 대학 수첩에 생각나는 대로 휘갈겨썼는데 전혀 정리된 느낌이 들지 않았다. 그러다 한국 리더십 센터를 첫 직장으로 얻으면서 프랭클린 플래너를 썼었고, 이어서 그 플래너를 피디에이(PDA)에 옮겨놓은 소프트웨어를 썼었다. 1999년 당시에 정가 72만원 하던 흑백 Palm Vx 기종을 구입하여 아마 5년은 넘게 썼었다. 그런데 팜에서 제공하는 팜 데스크탑(Palm Desktop) 대신에 아웃룩(Outlook)을 데스크탑에서 사용하게 되면서 아웃룩과 팜과의 데이터 교환이 아쉬워졌다. 그래서 퓨전원(FusionOne)이라는 솔루션을 알게 되었고, 회사와 집에 있는 두 개의 아웃룩과 한 개의 팜 사이의 데이터 동기화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무료로 잘 제공되던 퓨전원 서비스가 어느 날부턴가 안 되더니 완전히 서비스 내용이 바뀌고 유료로 전환되었다. 할 수 없이 다른 방법을 찾다가 포켓 미러 프로(Pocket Mirror Pro)라는 전통적인 팜용 써드 파티 소프트웨어로 간단히 팜과 아웃룩 데이터 교환을 시작하였다. 그래도 두 개의 아웃룩과 한 개의 팜에 완전히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그러던 중 마이 야후!(My Yahoo!)라는 웹에 있는 개인 일정 관리 기능이 상당히 괜찮은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게 웬 일인가, 야후 코리아에서도 링크가 걸려 있지 않지만 사실 야후는 인텔리싱크(IntelliSync)라는 매우 훌륭한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었다! 그 프로그램을 이용해 회사를 옮겼을 때에도 천 명에 이르는 주소록을 그대로 가지고 올 수 있었다. 그런데 시대가 바뀌어 팜을 쓰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게다가 기대하던 소니마저 클리에라는 멋진 팜 클론 PDA를 포기하고, 우리 나라에는 온통 포켓 피씨를 쓰는 사람들만 넘쳐났다. 팜에 스크래치가 생겨서 필기감과 버튼의 감도도 떨어지고 아무래도 수명이 다해가는 것 같았다. 게다가 미국 제품이기 때문에 110볼트만 지원하고 옛날 제품이라 USB도 아닌 시리얼 포트로만 연결이 가능한 팜이 싫어졌다. 그래서 어떻게 일정 관리를 할까 갈팡질팡 하면서 날짜가 없는 회사 수첩을 얼마동안 써보았는데 역시 완전히 혼돈의 시기였다. 예전처럼 팜 없이 그냥 아웃룩으로 돌아갈까 싶었는데 아웃룩은 느린 속도와 아주 형편없는 스팸 필터 때문에 다시는 쓰고 싶지 않았다. 그러던 중 오픈 소스인 썬더버드(Thunderbird)를 알게 되면서 나의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완전히 썬더버드로 성공적으로 바꾸게 되었다. 문제는 일정 및 정보 관리였다. 썬더버드에 몇 가지 애드온을 넣으면 주소록과 일정, 할 일 등을 관리할 수도 있고, 아니면 썬버드(Sunbird)라는 전용 캘린더도 깔아서 써보았다. 그러나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웃룩만큼 일정 관리를 매끄럽게 하기는 힘들었다. 아마 그 때 즈음 해서 리눅스(페도라)를 윈도우즈와 거의 비등한 데스크탑으로 쓰면서 에볼루션(Evolution)이 리눅스에서는 아웃룩에 대적할만한 훌륭한 개인 정보 관리 프로그램임을 알게 되어 조금 사용해보았는데, 한글 입출력이 원활하지 못해서 그냥 포기하고 말았다. 그래서 다시 마이 야후로 잠시 돌아갔다가 아주 전통적인 방법인 종이 프랭클린 플래너를 2006년 4월에 구입하였다. 현재까지 일정 관리는 여기에 주로 하고, 주소록과 메모의 일부는 마이 야후!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2006년 초였던가, 회사에서는 별도의 공용 작업/일정 관리 시스템인 제이 플래너(J-Planner)라는 것이 생겨서 회사 일과 일정은 종이로 된 프랭클린 플래너와 웹으로 된 제이 플래너를 같이 써서 관리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순수한 개인적인 일기는 대학 시절 때부터 종이에 적어왔는데 한 3년 전부터 데스크톱 소프트웨어인 마이 퍼스널 다이어리(My Personal Diary)를 구입하여 쓰고 있다. 디자인이 안 예뻐서 그런지 아니면 종이에 적었던 추억이 그리워서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부터 일기 쓰는 재미도 없어지고 쓰는 빈도도 줄어들었다. 그래서 잠시 디자인이 정말 깜찍한 블루 노트에 잠깐 관심을 가지기도 했었지만 돈 주고 산 게 아까워 마이 퍼스널 다이어리를 그냥 쓰고 있다.

이제 새해가 오고 있다. 새해의 다짐을 하면서 예전처럼 머릿속으로만 하지 말고 어디엔가 적어놓고 생각날 때마다 다시 보고 싶었다. 프랭클린 플래너가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은 맞는데, 웬지 어디엔가 전자적인 문서로 만들어놓고 싶었다. 그래서 그것을 어디에다 적어놓을까 한참 고민을 했다. 그러다가 예전에 잠깐 웹 기반의 프랭클린 플래너를 썼던 기억이 나서 다시 그 사이트를 방문해보았다. 흠, 내가 안 가본 사이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초창기에 7 days라는 이름으로 시작했던 웹 기반의 플래너가 아주 멋진 모습으로 변해 있었다. 게다가 무료이다! 흠, 그렇다면 프랭클린 코비사에서 제공하던 프랭클린플래너닷컴(franklinplanner.com)이라는 서비스는 어떻게 되었을까 궁금해졌다. 플랜 플러스 온라인(Plan Plus Online)이라는 이름으로 변신하고 상당히 세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같다. 문제는 한국에서 만든 웹 플래너가 무료인 반면, 미국의 플랜 플러스 온라인은 한 달에 25달러라는 적지 않은 돈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 자 결론은 났다. 새해의 다짐과 목표 등을 웹 프랭클린 플래너에 적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들어가려는 순간, 이런! 파이어폭스와 오페라에서 제대로 작동이 안 된다. 왜 그럴까 싶어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다시 들어가보니 몇 개의 액티브 엑스를 깔고서야 제대로 화면이 뜨는 것이다. 우~씨~. 텍스트 입력하는 거 외에 별 기능도 아닌 것 같구만 왜 액티브 엑스를 썼는지 잘 모르겠다. 투덜투덜... 어쨌든 그렇게 해서 새해의 다짐을 입력했다.

아직도 나는 개인 정보 관리를 정말 매끄럽게 할 수 있는 완전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웹에 입력하는 것이 자리를 옮기더라도 내용을 참조할 수 있어서 나름대로 편하기는 하지만 길거리에서 웹에 접속하는 문제, 속도 문제, 네트워크에 장애가 있을 때의 문제 등이 있어서 완벽한 답이 되지 못한다. 그리고 아웃룩을 포기했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웹과 동기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 아무튼 새해 멋지게 시작하기 참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