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chive

레이블이 Live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Live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08-28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 시험 후기

지난 번에 Google Cloud Certified Cloud Digital Leader 시험을 치르고 나니, 아무래도 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를 무시할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험만 계속 봐야 하나 고민하다, 결국 AWS의 가장 기본 자격증인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C01) 시험을 준비하였고, 8월28일 월요일 오전 8시에 오늘 시험을 치르고, 그 자리에서 합격(Pass)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CLF-C01 시험을 준비하면서 느꼈던 몇 가지 소회들을 정리해봅니다. 

출제 범위


Google Cloud Certified Digital Leader와 비교


구글 클라우드 디지털 리더는 확실히 "리더" 계층에 맞추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은 구체적인 클라우드 기술에 앞서, 모든 종류의 혁신과 디지털 혁신, 데이터 혁신, 혁신 마인드셋 등을 말합니다. 반면 아마존은 클라우드로 인한 비즈니스 혁신 이야기가 맨 끝에 조금 나옵니다. 대신 조금 더 구체적인 서비스와 기능에 대한 질문이 많이 나옵니다. 
GCP 주제 영역 출제 비율 CLF-01 주제 영역 출제 비율
Digital Transformation with Google Cloud ~10% Cloud Concepts 26%
Innovating with data and Google Cloud ~30% Security and Compliance 25%
Infrastructure and application modernization ~30% Technology 33%
Google Cloud security and operations ~30% Billing and Pricing 16%
합계 100% 합계 100%

업데이트되는 버전과 비교


현재의 CLF-C01 시험은 2023년 9월 18일자로 종료되고, 9월19일부터는 업데이트된 버전인 CLF-02 시험이 나옵니다. 그러나, 제가 봤을 때, 두 개의 차이는 크지 않아 보입니다.
CLF-C01 주제 영역 출제 비율 CLF-C02 주제 영역 출제 비율
Cloud Concepts 26% Cloud Concepts 24%
Security and Compliance 25% Security and Compliance 30%
Technology 33% Cloud Technology and Services 34%
Billing and Pricing 16% Billing Pricing and Support 12%
합계 100%   100%

AWS에는 서비스의 종류가 200가지가 넘는데, 그 이름과 특징을 다 외우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시험 준비 자료에서도 어떤 서비스까지, 어느 수준에서 나오는지가 애매하게 안내되어 있어서, 계속 공부하면서, 새로운 서비스를 익혀나가다 보니, 범위가 점점 넓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시험 준비 자료  


자료의 종류가 너무 많아 상당히 혼란스러웠습니다. 제 생각에 꼭 봐야 하는 자료는 중요라고 표시했습니다. 그리고 유료 서비스는 이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시험을 CLF-C01로 보았지만, 앞으로 시험 보실 분들을 위해 CLF-C02 자료가 있는 경우 새로운 링크를 걸었습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자료들


AWS Skill Builder의 My courses 화면
AWS Skill Builder의 My courses 화면

  • 종합 시험 준비 안내서 PDF (CLF-C02 기준) (중요)

    자세한 시험 범위, 시험 형식, 범위 안에 들어가는 기술과 범위에 안 들어가는 기술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CLF-C01 시험 안내서에는 범위에 안 들어간다고 명시적으로 나열된 것이 없어서 공부할 때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제 좀 명확해졌네요.

  • 공식 시험 준비 표준 동영상 과정 (CLF-C01 기준)

    도대체 이런 과정을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시험 보는 요령과, 수박 겉핥기 식의 내용 설명이 있는데, 시간 낭비라고 느껴졌습니다. 


  • 공식 시험 준비 향상 동영상 과정 (CLF-C01 기준) (유료)

    이건 월 29달러 구독을 해야 수강 가능한 유료 프로그램입니다. 저는 이런 것 듣지 않아도 충분히 시험 준비가 가능했습니다. 


  • 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 과정 (매우 중요)

    이게 핵심입니다. 반드시 들어야 합니다! 11개의 모듈과 무려 80개의 레슨으로 구성되어 있고, 1회의 마지막 종합 시험이 들어있습니다. 4시간 과정이라고 안내되어 있는데, 4시간으로는 택도 없습니다. 저는 과정 보면서, 노트 정리 하면서, 퀴즈 풀면서 공부하니 최소 2주 정도는 걸린 것 같습니다. 


  • 공식 연습문제 세트(CLF-C02 기준) (중요)

    이것도 반드시 해봐야 합니다. 연습문제를 풀어보면, 내가 잘 모르거나 애매하게 알았던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달랑 20문제밖에 안 됩니다.


  • 공식 연습 시험(CLF-C02 기준) (유료)

    위에 연습문제 세트는 무료인데, 연습 시험은 또 구독이 필요한 유료 서비스입니다! 아쉽지만 저는 하지 않았습니다. 


  • Cloud Essentials Knowledge Readiness Path (옵션. 도움이 됨)

    짧은 8개의 온라인 과정을 묶어서 러닝 패쓰를 만들어놓은 것입니다. 이 중에 저는 Billing and Cost, Job Roles, Getting Started, 그리고 아래에 나오는 Assessment를 공부했습니다. 


  • Cloud Essentials Knowledge Badge Assessment (중요)

    8개의 온라인 과정을 묶은 것에 대한 종합 평가 50문제입니다. 문제는 비즈니스 사용 예제(use case) 위주로 되어 있어, 실제 시험보다는 난이도가 약간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문제를 풀어보는 것은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 Cloud Quest 롤플레잉 게임

    비즈니스 과제들을 AWS 서비스로 어떻게 해결하는지 솔루션을 찾아가는 게임입니다. 조금 해보다가, 너무 시간이 많이 소요되서, 그만 두었습니다. 시험 준비 과정에서 하기에는 너무 과한 서비스인 것 같습니다. 


  • AWS 화이트페이퍼 PDF (나름 도움됨)

    다 읽어볼 필요는 없습니다. 서비스 목록과 각 서비스의 내용들을 한 번 정리할 때, 읽어볼 필요는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전체 서비스 목록이 다 나온 건 아닙니다.

외부에서 제공하는 자료들

  • 외부 문제 은행: Exam Topics (많이 도움됨)

    지난 번 구글 시험 때에는 Exam Pro를 봤는데 이번에는 Exam Topics를 봤습니다. 문제 은행에 900개가 넘는 문제가 있는데, 무료로 볼 때에는 한 페이지에 10개씩만 보입니다. 저는 이걸 늦게 알아서 대략 60개 문제만 풀어보고 갔습니다. 그런데 거의 똑같은 문제가 시험에 꽤 나왔습니다. 미리 알았더라면 많이 풀어보고 갔을텐데...


  • 그 밖에 Exam Pro, Udemy 등등 

    인터넷에 정말 많은 유료 강좌와 자료가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그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위의 무료 자료들만으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시험 접수와 응시


시험 접수


Pearson VUE라는 시험 대행 기관을 통해 접수합니다. 한국에서 시험 볼 수 있는 장소들이 몇 개 있는데, 날짜 선택지는 많지 않습니다. 미리미리 접수해야 합니다. 저는 시간 선택권이 없어서 아침 8시 시험을 봤습니다.

이번에도 집에서 온라인 감독관을 통해 시험보는 방법을 하지 않고, 직접 시험 장소(안양 범계역 앤아버 어학원)로 가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시험 응시 / 결과 통보


2시간이 주어지는데, 특별한 일이 없으면, 다 풀고, 따로 플래그 표시한 문제들만 한 번 더 풀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합니다.

답이 애매한 문제가 분명히 몇 개가 있습니다. 저는 대략 15개 정도가 약간 애매하게 느껴졌는데, 채점이 되지 않는 문제(unscored content)가 15개 출제된다고 합니다. 대략 그 정도 비율의 문제를 다 틀린다고 쳐도, 시험 통과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시험 결과는 끝나자마자 화면에 "Grade: Pass" 라고 뜹니다! 공식적인 결과는 업무일 기준 5일 이내에 이메일로 통보된다고 합니다. 



2023-07-18

Google Cloud Certified Cloud Digital Leader 자격 시험 후기

Lead the digital revolution with Google Cloud
Google Cloud Digital Leader 관련해서 Microsoft Designer가 만들어준 이미지: Lead the digital revolution with Google Cloud

운전 면허증 빼고는 자격증이라고는 없는 제가, 처음으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GCP)의 클라우드 디지털 리더(Cloud Digital Leader)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고, 다행히 시험에 통과했습니다. 

이 자격증 시험은 GCP의 모든 자격증 중에 가장 기본 자격증이고, 저같이 엔지니어나 개발자가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와, 구글 클라우드 제품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도를 테스트합니다. 그리고 조직에서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하기 위해, 리더가 알아야 할 기본적인 디지털 안목을 갖추고, 기술자들과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자는 목적이 있습니다. 

왜 더 널리 알려진 아마존 클라우드(AWS)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관련 자격증 대신 구글 클라우드를 선택했냐구요? AWS와 MS에서는 "리더"를 위한 자격증이 없습니다. AWS에는 비기술자를 위한 클라우드 프랙티셔너(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가 있고, MS에는 애저 펀더멘털스(Microsoft Certified: Azure Fundamentals)가 있습니다만, 이름에서도 암시하듯이 비기술직군 실무자를 위한 자격증에 가깝습니다. 반면에 구글의 자격증은 의사결정을 하고, 조직을 리드하는 "리더"를 위한 소양을 기르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어서, 냅다 지르게 되었습니다.


시험 접수


시험을 봐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몇 달 전이었는데, 공부를 슬렁슬렁 대충 하다 말다 하면서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서 일단 시험 응시 접수부터 먼저 했습니다. 약 1주일 남겨놓고 시험 접수를 했습니다. 등록 비용 $99라고 나와 있는데, 이유를 모르겠는데 저는 $59.4을 결제했습니다. 그리고, 일주일 정도 바짝 준비를 했습니다. 준비하면서, 진작에 좀 더 알았으면 좋았을 걸 하는 점들을 정리해봅니다. 

시험 접수 확인 메일
접수가 되면 위와 같은 내용의 확인 메일이 옵니다.

시험은 집에서 온라인으로 치르는 방법과 테스트 센터에 가서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집에서 보더라도, 책상도 깨끗이 치우고, 방도 완전히 비우고, 감독관에게 모든 것을 카메라로 검증받아야 하는데 요구조건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차라리 테스트 센터(우리 나라에 하나밖에 없어요!)에 가는 게 깔끔하겠다 싶어서 선정릉역에 있는 SRTC로 가서 시험을 보았습니다. 

기본 학습 자료 및 학습 방법


구글 제공 학습 자료


가장 중요한 학습 자료는 구글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총 4개의 온라인 과정으로 이루어진 추천 학습 경로(Cloud Digital Leader Learning Path)가 있습니다. 시험을 보고 나서 느낀 건데, 대부분의 문제는 여기에서 제공된 동영상과 자료의 범위를 거의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다시 말해, "교과서"를 중심으로 충실하게 준비하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수준의 문제들입니다. 비디오를 하나하나 보면서 메모도 하고, 자료도 찾아보고 해야 하니까, 최소한 한 과정당 하루 이상, 총 4일은 걸립니다. 

Learning path activities of Google Cloud Digital Leader.
디지털 전환, 데이터, 인프라와 앱의 현대화, 보안과 운영에 관한 주제로 총 4개의 학습 과정이 있습니다.

4개의 동영상 과정에는 학습자용 슬라이드(Student Slides)를 PDF 파일로 제공합니다. 이 파일들은 과정에 등록한 사용자에게만 배포되고, 배포 금지가 걸려 있어서 링크를 걸지는 못했습니다만, 가장 중요한 학습 자료입니다. 사실상 시험 문제는 이 슬라이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PDF 파일을 적당한 크기로 축소 인쇄하여, 4개의 세트를 먼저 만들어놓고, 모든 학습 노트를 여기에 정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구글이 제공하는 스터디 가이드라는 것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용어 사전과 구글 제품 목록이 있어서 정리용으로 괜찮습니다. 저는 시험 보고 나서 이 자료가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제3자가 제공하는 학습 자료


ExamPro에서는 무료 비디오 강좌와 1회 모의고사를 제공합니다. 24달러를 결제하면, 추가 모의고사를 볼 수 있고, 치트시트와 플래시 카드 형태의 학습 자료를 제공합니다.
ExamPro에서는 무료로 비디오 강좌와 1회 모의 고사를 제공합니다.

구글의 슬라이드들은 그림은 많고, 텍스트는 그다지 많지 않아, 이것만 봐도 되는지 약간 불안하긴 합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좀 더 찾아서 익잼프로(ExamPro.co)라는 곳에 있는 무료 강의와 무료 연습 시험(1회)를 이용했습니다. 이 내용을 사라 워커 렙티치(Sarah Walker-Leptich)가 상세하게 구글 독스로 정리한 문서도 있습니다. 이것도 인쇄해놓고 공부하면 좋습니다. 내용은 구글 공식 학습 자료보다 난이도가 더 높습니다. 익잼프로 연습 시험 난이도도 실제 시험보다 높았습니다. 그러나, 익잼프로가 도움이 된 이유는, 피상적으로 시험을 위해 소량의 지식만을 암기하는 것보다는, 풍부한 주변 지식을 공부하는 것이 오히려 더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 밖에 유데미의 유료 강좌도 있고, 유료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들이 꽤 있습니다만 그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시험은 통과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생성형 AI 활용


준비하다 보면 명확히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정확히 Cloud Run과 Cloud Functions의 용도 차이가 잘 와닿지 않아서, 생성형 AI에게 질문을 해보니 자세히 설명해주었습니다. 
구글 바드에게 App Engine, Cloud Runn, Cloud Functions의 차이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생성형 AI에게 궁금한 점들을 물어보니, 상당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당일 시험 응시


시험장에는 공식 신분증과 본인 명의 신용카드를 지참하고 가야 합니다. SRTC에는 30분 정도 전에 도착했고, 주머니에 있는 소지품, 목걸이, 귀걸이, 시계, 휴대폰은 맡기고, 신발, 안경까지 다 검사한 다음 시험장에 들어가게 됩니다. 일찍 가면 예약한 시간보다 일찍 시작할 수 있습니다. 총 90분간 영어 (또는 일본어로) 진행되는 시험이고, 총 50~60문제가 컴퓨터로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시간은 부족하지 않고, 대략 30~40분이면 다 풀 수 있습니다. 좀 애매한 문제는 나중에 다시 확인하겠다는 표시(Mark for later review 였던가?)를 해놓으면 전체 문제 번호를 열람할 때 별표가 떠서, 그 문제들만 다시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전체 문제를 다시 풀어도 시간이 남아서, 그냥 대략 1시간 10분 정도 되는 시점에서 최종 제출했습니다. 

결과 통보


공식 결과는 구글 클라우드 측에서 상세 조사(당일 부정 행위 여부 등?)가 끝난 뒤, 7일~10일 후에 이메일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결과는 점수 없이 합격 여부만 알려줍니다. 그러나 당일, 웹어세서(webassessor.com)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일차 결과가 아래와 같이 조그맣게 나옵니다.

종료된 시험에 대한 결과 확인
시험 종료시 확인 가능한 1차 결과

주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SaaS) 위주로만 써왔던 저같은 사람에게 인프라스트럭처나 개발 환경, 플랫폼을 클라우드로 꾸민다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였습니다. 디지털 전환에서도 가장 핵심 키워드 중에 하나가 "클라우드"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각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들이 제공하는 무료 등급(free tier) 또는 무료 체험(free trial) 서비스를 활용해서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2023년 7월 26일 추가: 시험 보고 9일만에 합격 통보 이메일이 왔습니다!

Google Cloud Certified Cloud Digital Leader 자격증 (신승식)

2021-06-11

마스크에 대한 잡생각

마스크를 쓴 남자


얼마 전에 보험 상품을 팔러 나에게 온 사람이 있었다. 상당히 매력적인 상품이었다. 그런데 그 사람이 자꾸 가까이에서 마스크를 대충 쓰거나, 내리고 이야기하는 것이 나는 위협적으로 느껴졌고, 고객을 똥같이 생각한다고 느껴졌다. 물론 그런 사람에게서는 상품을 구매하지 않았다.  

하루 8시간 내외로 마스크를 쓰는 것이 이제 이상하지 않은 일상이다. 그런데, 누구는 마스크를 되도록 벗지 않고 종일 답답하게 코와 입을 완전히 가리고 그 상태를 몇 시간씩 유지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수시로 마스크를 내리고, 툭하면 벗어버리고, 아예 대놓고 벗고 지내는 사람도 있다.

확률적으로 내가 감염되었을 가능성, 또는 같은 공간을 쓰는 내 옆에 있는 동료가 감염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우리 나라 인구 5천만 중에 하루 5백명씩 신규 감염자가 나온다고 하면 고작 10만명 중 1명 꼴이다. 그런 적은 수의 일일 신규 확진자들 가운데 설마 나는 들어가지 않겠지라는 생각은 한편 아주 합리적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렇게 드물고 드물지만 만에 하나 내가 감염자인데 마스크를 쓰지 않아 생길 수 있는 주변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답답하고 덥고, 냄새나는 마스크를 하루 종일 쓰고 있는 것이다.

나는 사람에 대해 쉽게 판단하지 않으려고 애쓰는 편이다. 그런데 요즘에 나만의 휴리스틱이 생겼다. 바로 마스크를 잘 쓰는 사람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람을 구분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상대방이 혹시 감염자일 경우 나를 지키는 수단이라기보다, 내가 혹시 감염자일 경우, 상대방을 지키는 수단에 가깝다. 그래서 나는 마스크를 잘 안 쓰는 사람들은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없는 사람으로 간주한다. 지하철, 버스와 같은 공간에서 이야기가 아니다. 일상적인 사무실, 밥 먹는 식당 등에서 주로 차이가 난다.

나는 마스크를 잘 안 쓰는 주변 사람들에 대해 이렇게 생각한다.

  • 상대방을 배려할 줄 모르는구나!
  • 매사에 철저하지 못하구나!
  • 예의가 없구나!
  • 공동체와 규칙을 존중하지 않는구나!
  • 옆에 있는 사람(특히 그 사람이 자기보다 직급, 지위, 사회적인 위치가 낮다고 생각하는 경우)을 무시하는구나!
  • 매사가 대충대충이구나!
  • 본인은 항상 옳고, 틀릴 일이 없고, 깨끗하다는 오만에 빠져 있구나!
  • 모든 안 좋은 일에서 본인은 특수한 예외라는 착각에 빠져 있구나!

반면 고지식하게 마스크를 벗지 않는 사람을 보며 이렇게 생각한다.

  • 매사에 철저하구나!
  • 공동체와 규범을 존중하는 사람이구나!
  • 다른 일에도 철두철미하겠구나!
  • 지위가 높거나, 낮거나 옆에 있는 사람을 똑같이 배려하고 존중하는구나!
  • 나도 예외가 아니고, 나도 틀릴 수 있고, 나도 똑같이 감염자일 수 있고, 나도 똑같이 더러울 수 있다는 유연한 생각을 하는구나!
마스크 하나 가지고 너무 많이 나갔나? 그런 것 같긴 하다. 

대중적으로 유명한 사람들 중에 매체에 등장할 때마다 절대 마스크를 벗지 않고 인터뷰하고, 발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본인이 발표자일 때는 마스크를 벗는 게 발표자에게 주어지는 권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방역 수칙은 포스터에나 나오는 것이고, 자기는 절대 감염자일 리 없으니, 5인 이상이고 뭐고 가볍게 무시하다 딱 걸린 사람들,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말은 사실 매우 위험하다. 사람의 열 가지 속성이 일관성 있게 다 좋고, 다 나쁘고 그렇지 않으니까. 그러나 요즘, 나는 마스크 착용하는 것 하나를 보고, 그 사람에 대한 온갖 추측과 예단이 생기는 것을 어찌할 수가 없다. 

2021-05-09

프로젝트 관리와 간트 차트

간트 차트 예시: 영화 제작 프로젝트
간트 차트 예시: 영화 제작 프로젝트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프로젝트 관리를 하면서 소위 간트 차트(Gantt Chart)가 한 번도 제대로 작동한 것을 본 적이 없다. 20세기 초에 건설 프로젝트처럼 터 닦고, 벽 세우고, 지붕 올리는 순서로 작업들이 종속적이고, 순서가 정해지고 별로 변하지 않는 경우는 어느 정도 소용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요즘 대부분의 사무직/지식 근로자들이 하는 업무가 어디 그런가?

간트 차트의 시각적인 문제점 중에 하나는, 한 행에 하나의 태스크와 하나의 막대(bar)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사실 엄청나게 많은 공간(가로 시간축으로도, 세로 작업 목록축으로도!)  또는 종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간트 차트가 원래 의도대로 한 눈에 프로젝트 전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


일반 사무직들은 아직도 파워포인트로 간트 차트 비슷한 모양을 만들어 보고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그런데, 간트 차트의 결정적인 약점(?)을 알아서 잘 보완(?)하는 것을 봤다. 즉, 대충 한 행의 타임라인에 여러 개의 후속 과제 또는 하위 과제 막대를 연속해서 표현해서 오히려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이다.

나는 간트 차트로 표현되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가 
  1. 내가 일했던 회사들이 한국적인/동양적인 정서가 강해서, 명시적인 프로젝트 일정과 계획의 이면에 암묵적으로 "유연성"에 대한 동의가 있어서인지  [회사/조직 특성]
  2. 아니면, 내가 일했던 업무가 소프트웨어 제작이나, 공학적 개발과 달리, 비교적 손에 잡히도록 구체화하기 힘든 소프트한(?) 업무여서 그런 것인지 매우 궁금하다. [업무 특성]

소위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 또는 크리티컬 패스 방법론(critical path method)을 정교하게 적용해서 프로젝트 일정을 예측한다는 것도, 사실 프로젝트 초기에 디자인 단계에서 하는 대부분의 어림치나 추측(guessing)이 맞다는 가정 하에 작동하는 것이지만, 그것도 현실적으로 그런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다.

어디 현실에서 하나의 작업이 깔끔하게 끝나서 다시 뒤돌아볼 필요 없이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경우가 얼마나 있는가? 계속 반복하고, 검증하고, 돌아가고, 피드백 받고, 보완하고, 그것에 따라 다음 작업이 바뀌고, 건너뛰고, 목표가 바뀌고, 예측하지 못한 혁신도 일어나고, 돌발 사고도 생기기 마련인데... 과연 간트 차트가 그런 것들을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일까?

간트 차트를 쉽게 생성해준다는 Wrike의 광고를 보고 문득 든 생각이었다.

2018-12-14

공간에 눈을 뜨다: 어디서 살 것인가(유현준 저)를 읽고

유현준 저. 어디서 살 것인가 책 표지

유현준의 <어디서 살 것인가>를 참 재미있게 보았다. 나는 심한 길치이고, 공간 감각도 둔해서 건축의 세계는 나와는 참 인연이 없는 먼 나라 이야기였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면, 살아오면서 기억에 남는 주요 장면들은 사실 공간과 얽혀 있는 것들이 많았다. 비가 오면 걸레로 물이 나가는 입구를 틀어막아 물놀이했던 한옥집의 마당, 따사한 햇볕과 함께 기억되는 한옥집의 마루, 동네 친구들과 자치기하고 구슬치기 하던 흙바닥 골목길, 초여름날 동네 한 바퀴를 돌며 산책했던 주택가, 그리고 서울의 자취집에 가는 정다운 숲길과 같이 공간에 대한 기억과 정서가 깊게 남아있다.

왜 그럴까? 그만큼 삶과 얽혀 있는 공간이 그만큼 영향력이 크다는 것인가? 이 책에서는 우리 주변의 공간과 도시, 인간의 삶, 과거의 역사, 미래, 기후, 기술의 발전, 사회와 정치 이야기를 버무려서 재미있게 풀어낸다.

처음에 학교 건물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우리 나라 학교 건물들은 영락없이 교도소와 비슷하고, 학교 운동장은 사실 군대의 연병장과 비슷하다는 저자의 지적에 아하 하는 감탄사가 나왔다. 학교는 획일화된 건물에서 똑같은 공부만 하거나, 아니면 흙먼지 날리는 연병장 같은 운동장에서 축구만 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학생들이 도란도란 모여서 이야기하고, 어울리고, 산책하고, 작은 놀이를 하려 해도, 지금의 학교 건물과 운동장은 오직 획일화된 교실 수업과 몇몇 남자들에게만 즐거운 축구 외에는 다른 것을 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것이다. 나는 축구를 잘 못 했다. 아니 심하게 못했다. 그래서 초등학교 시절 생일날에 친구들이 나를 즐겁게 해준다고 학교 운동장에서 축구 하자고 했을 때 너무 싫었다. 군대에서도, 회사에서도 남자이니 어쩔 수 없이 축구를 해야 할 때가 가장 괴로웠고, 그런 전체주의적 상황이 폭력적이라고 느껴졌다.

점과 선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었다. 공적인 정주 공간(머무르는 공간)이 줄어든 요즘 아이들은 야외에서 시간을 보낼 일이 거의 없다. 낮은 천정의 아파트와 천정 높이가 정해진 학교를 벗어나면, 학원에 가기 위해 머리가 닿을 듯한 봉고차를 타고, 다시 천정으로 막힌 학원에서 시간을 보내고, 다시 봉고차를 타고, 아파트에 와서 꽉막힌 엘리베이터를 타고, 아파트로 들어가면 4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가 없다. 이런 변화하지 않는 실내에서의 시간들로 꽉 차 있는 상태에서 어떤 공간이 과연 의미있는 경험과 기억으로 남겠는가? 그들에게 변화하는 것이란 오로지 TV와 컴퓨터, 스마트폰 속의 화면 뿐이다. 그러니 변화하지 않는 답답한 여러 실내들(점)들의 단편적인 경험 속에서 신나고 재미있는 변화의 경험은 스크린 속에서만 얻을 수 있다.

요즘에 아이를 데리고 어딘가를 가도 주로 실내 공간이다. 대형 쇼핑몰, 식당, 키즈 카페 등등등. 그런데 그런 곳에 가기까지는 자동차를 이용한다. 아이에게는 아파트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주차장에 가서, 꽉 막힌 차를 타고, 모든 것이 끊긴 채 갑자기 대형 쇼핑몰의 비슷비슷한 주차장으로 장면이 바뀐 것만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비슷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서, 조금씩만 다른 키즈 카페 실내 놀이터에서 시간을 보낸다. 요즘 아이들은 놀이터에 가기까지, 엄마, 아빠와 함께 걸어가며, 주변의 나무가 바뀌고, 풍경이 서서히 바뀌고, 다양한 모습의 상점들이 있고, 넓거나 좁은 길들이 있다가, 어디를 돌아, 어디를 지나 드디어 놀이터에 도착한다는 그런 연속적인 경험을 하기 어렵다. 단지 집, 차, 실내 키즈카페와 같은 불연속적인 공간들만 있을 뿐이다. 그래서 나도 차를 타고 어딘가를 가면 항상 무언가 아쉽다. 연속적인 경험이 끊기기 때문이다. 길이란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 나는 정말 길을 좋아한다. 길을 걸으며 서서히 바뀌는 풍경과 그 길의 고유한 정서를 느끼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다면 나도 그렇게 공간 감각이 둔한 것은 아닐 지도 모르겠다. 나에게 의미있게 다가오는 공간이 별로 없어서 내가 공간에 대해 둔해진 것은 아닌지…

뉴욕에 갔을 때 인상적이었던 것이 있다. 개인적으로 뉴욕과 같은 대도시를 그리 좋아하진 않는다. 그러나 뉴욕에서 놀란 것은 서울처럼 넓은 대로가 별로 없다는 것이었다! 건물은 높은데, 8차선, 16차선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서울과 달리 뉴욕의 길은 2차선 길이 상당히 많았다. 한편으론 답답했다. 그런데 묘하게도 그 2차선 길들을 따라 풍경이 참 많이 변했다. 길거리 음식이나 기념품을 파는 크고 작은 가게, 센트럴 파크, 뮤지컬 극장, 아리랑을 연주하는 거리의 악사, 초상화를 그려주는 거리의 화가와 같이 8차선 대로에서는 시끄럽고, 바빠서 존재하기 어려운 그런 아기자기한 모습들이 펼쳐졌다. 그래서 비록 도심지의 거리이지만 거리의 모습과 연관되어 그 때의 경험들이 뇌리에 박혀있다.

건축물과 도시는 인간이 만든 것이지만, 건축과 도시는 다시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주는 것 같다. 책의 저자는 화목한 세상을 꿈꾸며 건축을 한다고 한다. 사람들이 행복하도록 설계된 공간(작게는 주택에서부터 크게는 도시, 공원, 큰 집합 건물, 도로, 다리 등을 포함)의 중요성을 생각해보고, 나같이 둔한 사람에게도 공간을 바라보는 눈을 조금 더 뜨게 해 준 좋은 경험을 선물해준 책이었다.

덧붙이는 말: 요즘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함께 걸어 좋은 길”이라는 노래가 있다. 문구점을 지나서, 장난감집 지나서 학교 가는 길, 너랑 함께 가서 좋은 길… 과 같이 시작되는 가사가 인상적이다. 요즘 아이들이 과연 이런 길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할 거리가 있을까?

2018-06-13

그랜드 피아노 음량 줄이기

아내가 운영하는 학원의 그랜드 피아노 소리가 너무 시끄러워서, 여러 가지 음량 감소 방법을 알아보았다. 좋은 피아노일 수록 쨍쨍거리는 소리가 나지 않고, 깊고 맑은 소리가 나는데, 그런 소리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운 피아노에서 어떻게 하면 좀 더 정제된, 그리고 단정한 소리를 얻을까 고민하였다.

  1. 가장 간단하게는 윗뚜껑(리드)을 덮는다. 가장 확실한 방법인데, 보면대를 피아노 안쪽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어쩔 수 없이 윗뚜껑을 열어야 한다. 뚜껑을 덮고 보면대를 설치하면 보면대가 너무 높아져서 키가 작은 사람들이 악보를 보는 데에 어려움이 생긴다.

  2. 바닥에 매트를 까는 방법이 있다. 바닥에 양탄자를 깔았는데, 그랜드 피아노는 향판이 아래쪽에 있으므로, 아래로 내려가는 소리가 단단한 바닥에 난반사되는 소리를 조금 잡아줄 수 있다. 그런데 바닥에 양탄자를 깔면 먼지와 때를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3. 피아노 바퀴에 진동을 흡수하는 고정 받침대, 소위 말하는 insulated caster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피아노 내부 진동이 바퀴를 통해 바닥면에 퍼지는 것을 줄여 주는 것이다. 이것은 아랫집에서 피아노 소리가 시끄럽다고 할 경우에 밑으로 퍼져나가는 소리를 어느 정도 잡아줄 수 있다고 하는데, 연주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다시 말해 연주자가 느끼는 음량 감소는 거의 없다.
    바퀴에 진동을 흡수하는 고정 받침대를 설치한 모습

  4. 해머와 현 사이에 머플러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도 상당한 음량 감소를 가져오지만, 해머가 현을 직접 치는 것과 가운데 천이 있는 것과는 터치감과 음색에 치명적인 변화를 가져오므로 썩 내키지 않는 방법이다. 업라이트 피아노의 경우 가운데 약음 페달이 따로 있지만, 그랜드 피아노는 그렇지 않으므로, 따로 설치를 할 수 있다.

  5. 현 위에다 천을 덮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간단하게 얇은 이불이나 천을 현 위에 살짝 덮어주는 방법인데, 소음 감소는 상당히 된다. 그러나 역시 음색의 변화를 가져온다. 피아노 소리가 조금 더 멜로우(mellow)해지는데, 음색의 변화는 필수적으로 피아노 연주시 연주자가 터치하는 방법에 변화를 가져오므로 썩 유쾌한 상황이 안 된다.

  6. 사일런트 모듈을 다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해머가 현을 때리지 못하게 지지대가 잡고, 전자적인 센서가 터치를 감지하여 부가적으로 장착한 미디 음원에서 소리를 대신 내주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래의 목적인 쨍쨍거리는 소리를 잡아주는 목적과는 다른 방향으로 너무 흘러간 것 같다. 헤드폰을 쓸 수도 있고, 디지털과 어쿠스틱 피아노를 함께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나름 장점이 있지만, 우리의 목적에는 잘 안 맞았다. 요즘 디지털 피아노의 경우, 보통 1번 패치인 그랜드 피아노 사운드에 온갖 기술을 다 쏟아부어, 엄청나게 큰 샘플링 사이즈가 배정된다. 통상 야마하, 커즈와일, 카와이, 코르그 등 하드웨어 업체 뿐 아니라 Synthogy등 가상악기로 피아노를 만드는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피아노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해 대부분의 자원을 쏟는다. 또는 완전히 피지컬 모델링(physical modelling) 방식으로 피아노의 온갖 변수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한 사운드를 내주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는 것 같다. 대표 주자로는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롤랜드의 상위 기종(V-Piano나 LX 시리즈)이나 피아노텍(Pianoteq) 등이 있는데, 샘플링 음색보다 다이나믹 레인지가 상당히 넓은 게 특징이다. 그런 반면, 사일런트 모듈들은 피아노 사운드가 그리 만족스러운 경우가 흔치 않은 것 같다.

  7. 좀 돈이 들고 번거롭긴 하지만, 쓸데없는 잔향을 제거하고 정숙한 소리를 얻기 위해서는 방에 방음/흡음 공사를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에도 외부에 음이 세어나가지 않는 목적의 방음인지, 또는 내부에서 잔향을 줄이고 정갈한 소리를 얻기 위한 흡음이 목적인지에 따라 조금 다른 재료의 방음/흡음 공사를 해야 한다.

  8. 국내 한 업체(오케이피아노)가 광고하는 방법으로 밑으로 향해 있는 그랜드 피아노의 향판을 덮는 방법이 있다. 업라이트 피아노는 향판이 뒷쪽에 있으므로, 향판을 막는 것이 비교적 쉽다. 적당한 흡음재를 사서 뒤쪽을 대충 막거나, 또는 흡음재로 대고 벽에 피아노를 붙여버려도 된다. 그런데 그랜드 피아노의 향판을 덮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쓰거나, 양면 테이프를 쓰거나, 못질을 해야 한다. 그리고 향판을 막는다고 해도, 피아노 윗쪽으로 나오는 소리를 효과적으로 잡지 못한다.

흡음재를 붙인 한 쪽 벽면

우선 벽면에 흡음재(7번 방법)를 붙여 보았다. 한쪽은 조금 두껍고 부드러워 흡음 효과가 조금 더 뛰어나다고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재를 붙였다. 소재가 가벼워서 글루건을 적당히 바르고 붙여도 되고, 실리콘을 발라 붙여도 된다. 붙이는 것은 매우 쉬운데, 어려운 것은 자르는 것이다. 아무리 자를 대고 반듯하게 자르려고 해도, 반듯하게 잘라지지가 않았고, 자를 때 먼지도 꽤 많이 나왔다. 다른 한 쪽은 소위 아트보드라고 좀 더 압축된 폴리에스테를 판을 붙였다. 이것은 무게가 좀 나가므로 타카로 박아주거나 실리콘을 사용해서 붙여야 한다. 글루건에서 쏘는 글루만으로는 좀 약한 것 같았다. 또 다른 면에는 방염 폴리계란판을 붙였는데, 이것도 가벼워서 붙이기는 매우 쉽다. 다만, 가볍고 부드러운 것들은 역시 자르기가 힘들다. 몇 가지 조건에서 약식으로 실험해본 바로는 흡음 효과는 폴리 계란판이 제일 좋고, 그 다음이 일반 흡음재, 마지막이 압축된 아트보드 순이었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가장 좋은 것은 아트보드, 일반 흡음재, 그리고 마지막이 계란판이다. 계란판 모양은 무슨 색을 넣어도 예쁘지가 않았다. 그러나 업라이트 피아노가 있는 방이라면 향판 뒷쪽 벽면에 계란판을 붙여주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아트보드를 붙이고 있는 벽면

그래도 그랜드 피아노 소리가 불만스럽다. 그래서 오늘 오케이피아노에 부탁해서 피아노 조율을 하고, 그랜드 피아노 밑바닥을 막았다 (8번 방법). 그리고 하는 김에 바퀴에 절연 받침대도 설치했다. 그리고는 짠, 잔뜩 기대를 하고 피아노를 쳐보았는데... 결과는 대실망이다. 오케이피아노 쇼핑몰에 소비자가 솔직한 사용 후기를 다는 곳이 마땅치 않아 블로그에 적어본다.

우선, 대부분의 중소 업체들이 왜 세금계산서나 카드 결제 해달라고 하면, 가격을 올린다. 거꾸로 말하면, 거래의 증빙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매출을 누락시키고, 세금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율비가 10만원인데 카드 결제나 현금 영수증, 세금계산서 되냐고 했더니 곤란해한다. 그리고 10%를 추가로 더 내라고 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10%를 더 주었다. 오신 조율사분은 매우 친절하긴 했지만, 조율의 질은 별로였다. 조율이라는 것이 단순 튜닝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음의 밸런스를 잡아주고, 음색과 터치의 상관관계 등도 약간 조정해주는 것이어야 하는데, 정말 정말 단순 튜닝 그 이상이 아니었다. 피아노 밑에 설치된 방음판과 바퀴에 설치한 절연 받침대의 효과는 정말 의심스러웠다. 방음이 목적이 아니고, 깨끗하고 정제된 소리를 얻기 위한 목적이 더 컸는데, 방음도 거의 안 되었고, 피아노 소리는 여전히 시끄럽고 쨍쨍거렸다.

지금까지의 잠정 결론이다. 그랜드 피아노 소리가 시끄럽고 쨍쨍거린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좀 더 크고 좋은 피아노로 바꾸는 것이다. 두 번째는 방에 방음/흡음 공사를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쨍쨍거리는 소리가 조금은 준다. 세 번째, 그냥 뚜껑을 덮는다. 그래도 시끄러우면, 이불 하나 구해서 현을 덮어준다.

2018-02-27

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in disguise는 무슨 뜻일까

구름 사이의 햇빛
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in disguise.

이 말은 미국의 두 번째 대통령이었던 존 아담스(John Adams)가 한 말이라고 한다. 이와 비슷한 말로 헨리 카이저(Henry Kaiser)가 한 말이 있다.

Problems are only opportunities in work clothes.

어떤 비디오를 보다가 강사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을 들었는데, 앞뒤 맥락을 고려하면 문제를 피하지 말고 기회로 여겨라. 그리고 문제를 피하는 것보다는 그것을 뚫고 나가는 것이 훨씬 현명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방법이다는 대략 이런 뉘앙스인 것 같은데, 그래도 왜 in disguise이고, 왜 in work clothes인지가 잘 이해되지 않았다. 그래서 몇 가지 구글링을 해보니, something in disguise는 말 그대로 뭐가 가면 뒤에 숨은 상태라는 뜻이다. 위키셔너리 사전에 예시로 나온 숙어는 blessing in disguise, 즉 축복이 가면 뒤에 숨었다라는 뜻인데, 결국은 겉으로 보기에는 불행 같지만, 사실 가면 뒤에 커다란 축복, 또는 큰 행운, 좋은 것이 숨겨져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다음 사전에는 불행해보이지만 사실은 행복한 것이라고 해석이 되어 있다. 또 어떤 곳에는 전화위복, 새옹지마라고 해석이 되어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제 조금 이해가 된다.


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in disguise. 즉, 모든 문제는 겉으로 보기에는 문제이고, 골치거리이지만, 알고 보면 가면 뒤에 기회가 있다. 즉, 문제를 피하려고 하지 말고, 숨어있는 도전 기회를 찾으라는 뜻이 숨어 있다.


여기까지는 알겠는데, 두 번째 인용문에서는 in disguise 대신에 작업복, 즉 in work clothes라는 표현을 썼다. 아마도 비슷한 뜻일 것 같긴 한데 왜 하필이면 작업복일까가 와닿지 않았다. 그래서 또 검색을 해보니 쿼라(Quora)에 상당히 그럴듯한 답변이 올라온 게 있었다. 답변자의 해석에 따르면, 작업복은 일할 때 입는 옷 또는 회사에서 입는 정장 옷인데, 일반적으로 그 옷을 입은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끼지는 않는다. 작업복을 입은 상태에서는 계속 일을 해야 하고, 일이 끝나면 우리는 더 편안한 옷으로 갈아입고 싶어한다. 다시 말해서, 작업복은 불편함을 비유적으로 나타냈다고 봐야 한다. 사람들은 문제가 생기면 일단 불편함을 느끼고, 불편함은 일단 피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문제는 불편함 뒤에 숨은 기회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편안한 영역(comfort zone)으로 가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 결국 문제가 생기면 그것이 불편하게 보이고, 피하고 싶은 것이더라도 그 안에 숨어있는 기회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2018-01-28

윤동주의 별 헤는 밤을 갔다 오다

윤동주 별 헤는 밤 전시회 포스터 (2017년 12월 27일에서 2018년 1월 27일까지 용인 포은아트홀 갤러리)
내가 사는 동네에는 포은아트홀이라는 큰 예술 공연장이 있다. 가까운 곳에 이런 곳이 있다는 것이 참 행복한 일인데, 막상 포은아트홀에서 하는 공연이나 갤러리에서 하는 전시를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다. 그러다 이 곳 갤러리에서 전시하는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그림전, 별 헤는 밤"를 보게 되었다. 윤동주는 시인인데 왜 미술 전시회일까라는 약간의 궁금증으로 전시장에 들어가서 그림들을 한 두 개 보고 있을 무렵, 누가 다가와 책을 한 권 준다. 2017년에 출간된 별 헤는 밤(책)은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그림집이다. 윤동주의 시 작품 하나하나를 모티브로 하여 6명의 화가들이 시를 각자의 방식으로 그림으로 탄생시킨 그림과 윤동주의 시를 엮어서 시그림집으로 만든 책이었다. 전시회는 미술 전시회지만, 당연히 시를 모르고 그림만 보는 것은 의미가 없었다. 그래서 책을 펼치고, 그림과 짝지어진 원본 시를 하나씩 읽어나가면서 그림 감상을 하였다. 처음에는 약간 건성으로 시와 그림을 보았는데, 두 세 작품을 보다 보니 건성으로 넘길 수가 없었다. 시가 너무 깊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내가 미술 전시회에 와서 이렇게 오랜 시간 한 작품 한 작품을 감상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사실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윤동주의 시를 한 폭의 그림으로 담아내는 것은 너무 힘든 일이다. 상상을 해보았다. 이 시를 읽고 어떤 그림이 떠오르는지. 내가 상상한 시의 이미지와 화가들이 표현해낸 그림이 비슷한 것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매우 달랐다. 다시 말해, 흔히 아름다운 시에 투명하고 화사한 수채화 배경 그림이 입혀진 그런 시화전이 아니었다. 20세기의 위대한 시인의 문학 작품을 소재로, 21세기 현대 미술가들의 회화가 탄생했지만, 둘은 또 독립적으로 각자의 영역에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전시장에서 책의 뒷편에 있는 윤동주 시인에 대한 소개와 작품 해설 부분을 마저 읽었다.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시대에 태어나 일본 군국주의 광기가 극에 달하던 1945년 2월에 끝내 광복을 보지 못하고, 27세의 젊은 나이에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생을 마감한 윤동주! 그는 작품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일제에 저항했다기보다, 어두운 야만의 시대에 나는 어떤 모습인가,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하며, 부끄러워하고 괴로워하는 젊은 지식인이었다. 그렇지만 동시에 그가 바라는 이상의 세계, 도달할 수 없을 것 같은 그 곳을 그리워하며 노래하였다. 그 이상 세계의 집약체가 "별"로 나타나고, 때로는 "고향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불행한 시대에 한 나약한 학생에게 요구하는 광폭한 도전들에 대해 그는 아침을 기다리는 절대적인 의지와 맑은 영혼을 유지하고자 저항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런 그의 삶과 작품들에 대한 해설을 정독하고, 다시 작품들을 읽어보았다. 시인은 "쉽게 씌어진 시"에서 시가 이렇게 쉽게 쓰여지는 것이 부끄럽다고 고백했지만, 그의 시는 결코 마술같은 언어의 유희가 아니라, 깊은 내면의 성찰이 그의 삶에 투영되고, 다시 그것이 압축되고 조탁되어 탄생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실 나는 시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학교 다닐 때에 나의 짝꿍이 졸업할 때에 자기가 좋아하는 시 여러 편을 노트에 적어서 나에게 선물로 준 적이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고마운 친구인데, 그 때에는 나와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시에 심취한 사람들도 있구나 정도의 생각밖에 없었다. 그런데 시에 조금 관심을 가지게 된 두 가지 계기가 있었다. 하나는 밥 딜런(Bob Dylan)이 노벨상을 받으면서 그의 노래 Blowin' in the Wind를 비롯한 노래들은 도대체 무슨 가사였을까를 다시 보게 되었다. 영어라는 핑계로 노랫말을 대충 흘려듣고, 노래만 듣기에는 너무 아까운 가사들이 많았다. 그래서 노래에 가사들을 더 관심있게 보게 되었다. 또다른 계기가 있었다. 최근에 나의 아버지가 나이 일흔이 훨씬 넘어서 시인으로 등단하셨다! 아버지가 시 한 편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이 공부하고, 연구하고, 관찰하고, 경험하고, 습작하는지를 대략 옆에서 바라보면서 깜짝 놀랐다. 아버지는 꾸준히 연구하고, 공부하고, 스케치한 내용을 수 백 페이지의 노트에 정리하고 계셨다. 그리고 집에 가면 나에게 작품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해주고, 평을 해달라고 요청하신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현대 국어의 맞춤법에 비추어 이 부분은 이렇게 고치는 것이 좋겠다는 정도의 조언과, 아주 표면적인 감상평 정도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시들을 보면서, 나도 조금씩 시를 감상하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 매우 큰 변화였다.
이번 시그림전에서 불행한 시대를 살다가 안타깝게 젊은 나이에 요절한 윤동주 시인과 그의 작품에 대해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었던 것도 소득이었고, 그런 문학 작품을 화가들은 어떻게 그림으로 표현했는지를 엿보는 것도 새로운 재미였다. 왜 전시회장 벽면에 시를 직접 써붙이지 않고, 불편하게 시집을 따로 책으로 나누어주었을까 생각해보았는데, 책으로 나누어주지 않았으면 이렇게 시와 해설을 정독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책은 하나 사서 아버지에게 선물로 보내드려야겠다.

2016-06-01

웹호스팅 서비스를 바꾸고 있습니다.

웹호스팅 일러스트레이션

오랫동안 블로그 관리를 하지 않았습니다. 관리를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웹호스팅 서비스가 마음에 들지 않은 부분들이 많이 있었지만 그냥 그럭저럭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동안은 아사달 이라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호스팅 서비스를 쓰고 있었는데 몇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 언제부턴가 구글 검색 로봇이 들어오질 못했습니다. 호스팅 업체에 물어보니 트래픽이 과하게 들어와서 기본적으로 검색을 막았다고 했습니다. 아니 검색을 못 하게 할 거면, 웹 페이지를 만들고 존재할 이유가 없어서 강하게 항의해서 겨우 검색 로봇이 다시 접근하긴 했는데 간간히 또 막히기도 했습니다. 물론 robots.txt에서는 검색봇을 차단하지 않았습니다.
  • 제공되는 DB 용량이 너무 작았습니다. 기본 50MB였던 것을 추가 요금을 내고 100MB로 늘렸는데, 101MB가 되자마자 바로 서비스가 중단되었습니다. phpMyAdmin을 통해 필요없는 스팸 테이블을 지우고 용량을 80MB 정도로 돌리고 나서, 다시 서비스 재개 신청을 해서 서비스가 복구되었습니다. 그러나 DB 용량이 99% 정도 되었을 때 사전 경고도 없었었고, 앞으로도 100MB 이내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너무 느렸습니다. 물론 호스팅은 여러 사람이 쓰는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소프트웨어를 확 바꿀 수는 없다고 하지만, 이미 보안 결함이 발견되고 유지보수 기간이 지난 소프트웨어들이 계속 바뀌지 않아서 계속 머물러있고 싶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2016년 5월 31일 현재 최신 php 안정화 버전은 7.0.7인데 호스팅 서비스는 버전 5.2.12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 버전은 이미 오래 전에 보안 결함 지원 기간이 지났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WordPress Mobile Pack과 같은 일부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은 구 버전 PHP에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모바일에서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없었습니다. MySQL, phpMyAdmin, Apache와 같은 다른 소프트웨어도 너무 옛날 버전이었습니다.
  • 관리 방법에도 문제가 있었습니다. 저는 보안 전문가가 아니지만, 그래도 웹 페이지를 관리하기 위해 암호화되지 않은 ftp위험한 telnet을 쓰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문제점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주로 게시판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면, 주말이든, 새벽 시간이든 번개같은 속도로, 비교적 성실하게 답변이 달렸습니다.

이런 호스팅 서비스의 문제 외에도, 제 개인의 관리 소흘로 인한 문제도 있었습니다. 예전 홈페이지 데이터를 유지 보관(archive)하는 용도로 Express Engine (XE)을 쓰고 있었는데, 이게 아주 오래 전에 제로보드(Zero Board)부터 시작해 몇 번 해킹 사고를 당했었습니다. 우여곡절로 겨우 복구는 했는데, 뭐가 꼬였는지 관리자 로그인도 잘 안 되고, 그냥 버리고 싶지만 버리지는 못하는 상태로 질질 끌어왔습니다.

그래서 몇 군데 국내외 호스팅 업체를 알아보고, 아예 가상적인 서버 관리 환경을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도 알아보았습니다. 많이 시장 조사를 한 것은 아니고, 그냥 눈에 띄는 몇 군데만 알아봤습니다. 서비스 결정에 몇 가지를 고려했습니다.

  • 그동안 취미로(?) 해왔던 기본적인 시스템 관리나 간단한 코딩, 퍼블리싱에서 오랫동안 손을 놓았기 때문에, 다시 복잡한 서버 관리를 할 자신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현석님이 최근에 옮겼다는 디지털오션과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갈 자신이 없었습니다.
  • 국내 업체가 아닌 해외 업체도 알아봤는데, 워드프레스 호스팅으로 유명하다는 블루호스트는 서비스 신청 막판에 한국이 지원 국가로 수용이 안 되었습니다. 제가 무언가를 잘 못 했을 수도 있습니다.
  • 국내 업체들을 보니 가격 면에서 일단 카페24가 (특히 개인 사용자에게는) 꽤 저렴했습니다.

결국 카페24의 “10G 광아우토반 Full SSD” “일반형”(월 사용료 1,100원)으로 옮겼는데 이전 호스팅 업체에 비해 불편한 점 몇 가지가 있습니다.

  • 호스팅 요금 결재를 하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결재용 액티브엑스 플러그인을 깔아야 합니다. 최종 결재는 무통장 입금으로 했는데 이것도 생각보다 까다로웠습니다.
  •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찾는 데, 실명확인, 휴대전화번호 확인 등이 너무 복잡하고 반복적이어서 짜증이 났습니다.
  • 기본 하드디스크 용량이 500MB로 좀 작습니다. 대신 스트리밍 (주로 비디오, 오디오 파일 공간)과 CDN 디스크 공간 (주로 이미지와 기타 파일 공간)을 따로 제공해준다고 하는데, 신청을 해야 하고, 개인 사용자가 별도의 서버를 통해 그렇게 관리하는 게 아직은 더 복잡하게만 느껴집니다.

물론 이전 호스팅 업체보다 좋은 점도 있습니다.

  • 우선 SFTPSSH 를 쓸 수 있습니다.
  • 구 버전 MySQL 대신에 성능이 더 좋다는 MariaDB 10.1 로 갈아탔습니다.
  • php도 7.0 대로 올라간 덕택에 워드프레스에서 모바일 페이지 지원이 무난하게 됩니다.
  • DB 용량이 무한대이므로 용량이 넘칠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렇게 이사를 하니 집정리가 아직 좀 남았습니다.

  • 옮기면서 기술적으로 서툴기도 하고, 약간 바꾸고 싶은 것도 있고 해서, 게시물 데이터 DB는 옮겼지만, 이전 서버에서 사용하던 디자인, 플러그인, 기타 여러 가지 조정해놓은 환경은 옮기지 않았습니다. 워드프레스와 XE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굳이 많은 플러그인을 쓰지 않고, 굳이 프로그램 소스를 거의 수정하지 않아도 예전과 비슷하거나 좀 더 나은 퍼블리싱 결과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디자인과 환경 설정을 더 해야 하는데 아직 못했습니다.
  • 그리고 아직 기존 도메인 gregshin.pe.kr 을 새 서버로 연동하지 않았습니다. 당분간 새 호스팅 환경에서 문제가 될 만한 것들을 다 수정하면 최종적으로 도메인을 연동할 생각입니다.
  • 도메인 연동 후에 소위 말하는 제 수준에서 손발로 하는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o Engine Optimization)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들을 좀 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새 집에 담을 살림, 즉 콘텐츠와 글인데 얼마나 예전처럼 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오랜 공백을 메울 수 있을지, 서서히 조금씩 가동을 해보겠습니다.

2015-05-26

'주님의 기도'를 바치기 전에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나오는 길에 이젤 패드에 붙어있는 '주님의 기도'를 바치기 전에... 라는 글을 보았습니다. 주님의 기도는 일상적으로 많이 드리는 기도이기 때문에 이제 기계적으로 아무런 감흥 없이 반복해왔었는데, 이 글을 보면서 앞으로 단 한 번 기도를 하더라도, 그 뜻을 생각하고 나의 생각과 말과 행위를 성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주님의 기도'를 바치기 전에...


당신이 만약 세상의 것들만 생각하고 있다면
'하늘에 계신'이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당신이 이기주의 속에서 혼자 떨어져 살고 있다면
'우리'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당신이 매일 아들로서 처신하지 않는다면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당신이 그분과 물질적인 성취를 혼동하고 있다면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그분의 뜻을 고통스러울 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소서.'라고 기도하지 마십시오.


약도, 집도, 직장도, 미래도 없이 굶주리는 사람들을 걱정하지 않는다면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당신의 형제에 대하여 한을 품고 있다면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당신이 죄짓기를 계속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단호하게 악을 반대하는 편에 서지 않는다면
'악에서 구하소서.'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주님의 기도의 말씀들을 진지하게 생활하고 있지 않다면
'아멘'이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2011-01-25

Changing blog design theme

blog screenshot with the old Gila theme
blog screenshot with the new Suffusion theme

I just replaced my old Gila theme with a new Suffusion theme. I did not thoroughly search for a perfect theme, but I just briefly looked at several themes. I may change to another theme if the Suffusion is not my taste after playing with it for a few days. My own preference, anyway, in selecting a blog design includes:

  • It must be fluid width. I don’t want to be fixed with a specific browsing environment, and the width of the site must be flexible as users have different screen resolutions and browser widths. Try to resize your browser window while you keep looking at this page, you will see that the text will reflow and some graphics will be resized.
  • I like strong contrast between foreground text and background. I hate faintly colored text or text with similar background color. The purpose of text is to deliver message, then I believe it must be clear at any case. If you print, copy or capture any parts of the text, the strong contrast will benefit more.
  • Large fonts: Likewise I prefer large sized fonts by default although most of modern browsers provide some mechanisms to enlarge text or magnify the whole page.
  • Standing out links: The link is the very basic but most important element in a hyperlinked web. I prefer to make the link prominent against non-link text in a widely used way: differently colored and underlined.
  • Self-clear, descriptive text: A string of numbers such as “010-1234-5678” in Korea could imply a cellphone number. However, without any explicit description of “what it is”, readers are probably disoriented. Expression like “Mobile phone number: 010-1234-5678” is self-clear and context independent information. I try to avoid “implied” expression in the context but pursue direct and self-disclosing information at every part of my blog.

I did not finalized retouching the new blog design yet, it will take time. I will keep the above principles as I fine-tune the new theme. Give me any suggestions on better themes or better ideas to improve readability.

2009-12-07

Firefox and Internet Explorer user style sheet for better keyboardnavigation

When you tab through a web page with your keyboard, a visual focus will move through all the links and form controls in the page. Modern browsers such as Opera, Safari, and Google Chrome and most of mobile browsers provide a visually distinctive focus. This clear focus dramatically enhances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keyboard users (eg. people of visually impaired or low vision) as well as general convenience for majority of users. However two widely used browsers, Internet Explorer and Firefox stick to the traditional, not very conspicuous visual focus of gray dotted outline. This faint outline focus often makes me get lost when I use my keyboard for the within-page navigation. Compare the following default visual focus of each browser (for Windows):

Prominent visual focus of three modern browsers
Apple Safari Google Chrome Opera
bluish rounded thick focus of Apple Safari yellow rounded focus of Chrome browser thick and rounded bluish focus of Opera browser
Marginally distinguishable visual focus of two major browsers
Firefox Internet Explorer 8
gray dotted focus of Firefox gray dotted focus of Internet Explorer 8

To get a clearer visual cue of where I am in a web page, I set the following user style sheet for Firefox and Internet Explorer.

:active, :focus {
	outline-width: 2px !important; 
	/* outline (unlike border) property does not take the space */
	outline-style: solid !important;
	-moz-outline-radius: 4px;
	/* this affects Firefox only, it makes the outline rounded  */
}

Refer to the articles below to get information about how to set your user style sheet in the two browsers:

Once you configured your user style sheet successfully, all the objects (including text links, image links, radio buttons, text input fields, image type buttons, etc) will be clearly outlined and stand out! Now enjoy your keyboard navigation and never get lost within a page!

Improved visual focus of two major browsers
Firefox Internet Explorer 8
rounded outline focus of Firefox thick outline focus of Internet Explorer 8

Be careful that the Internet Explorer version 6 and 7 do not support CSS outline property.

2009-05-27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서거를 애도합니다.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에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정치인으로서 실패가 빤히 보이는 길을 당당하게 선택하신 당신의 모습에 반해 정치적으로 당신과 조금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지만 당신에게 저의 한 표를 던졌습니다. 재직 기간동안 대통령으로서 스스로 근엄함과 엄숙함을 포기하고, 반대하는 사람들의 동네북이 되고, 수구 언론들에게 잘근잘근 씹히는 껌이 되셨으나 소통과 참여의 문을 열어놓은 당신의 모습이 좋아보였습니다. 퇴임 후 다른 전직 대통령들과 다르게 고향으로 돌아가 편안한 동네 이장으로, 옆집 아저씨가 되셔서, 농사를 짓는 당신의 웃는 모습이 참말로 감동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당신이 이렇게 갑작스럽게 가시다니요. 아직도 믿기지 않습니다, 당신의 살아있는 그 모습을 다시 볼 수 없다는 것이. 그러다 당신이 가셨을 마지막 순간까지 얼마나 외롭고, 고통스러웠을까를 생각하니 가슴이 저며옵니다.

당신의 영전에 가보고 명복을 비는 국화꽃 한 송이라도 바치고 싶지만 여전히 생업에 바쁜 저의 현실의 벽에 막혀있습니다. 당신이 말씀하신 것처럼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일지 몰라도 남은 자들에게 당신은 이제 너무나 먼 곳에 계십니다. 당신을 추모하며, 저의 어설픈 연주를 당신의 영전에 바치고, 저 세상에서나마 편안히 잠드시기를 빕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님이 퇴임 후 손녀와 자전거 타는 모습

노무현 전 대통령님께 바치는 추모곡 버전 0.8 (김동진님의 가곡 진달래꽃을 약간 편곡하여 연주했습니다.)

2009-03-19

PDF annotation software as an alternative to trainees' note taking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Many people misunderstand that PDF is Adobe System’s proprietary format while the truth is it was released as an open standard. Therefore we have dozens of and hundreds of PDF solutions from simple desktop readers to huge and complicated enterprise systems. Everybody agrees that Adobe Reader is definitely one of the most popular PDF readers on various platforms? Actually we have dozens of other simple PDF readers (such as Foxit Reader), of course.

PDF creation

However, it is another common misconception that Adobe Acrobat is the only commercial software which can produce PDF files. I have used several different applications to create PDF in my workplace and home: CutePDF, doPDF, PDFCreator, OpenOffice.org, and our company’s own EDMS. Most of the free software apps have some limitations in accessibility (most of them do not support tagged PDF) but still they are good enough to make a quick PDF file.

PDF editing

It is a bit difficult to find an easy-to-use free PDF editing software app. But we do have. PDFescape, PDFfiller and PDFVue are wonderful but free web based PDF editing, form-filling, and commenting platforms. You don’t need to install any software to edit your PDF files.

Annotation on PDF

Here is my issue as a trainer: I wanted to distribute my presentation materials or trainees’ workbook with an electronic format such as PDF. I fully agree that it is not a good idea to use only electronic format in a typical classroom, for I am not sure if learners are focusing on the training materials and not distracted. People will suffer from pain in their eyes while gazing into the screen for a long time. The biggest problem, however is they cannot enjoy adding their personal notes and writings on the electronic file in a convenient way. I googled and found two free apps: PDF-Xchange viewer and Jarnal. My choice was PDF-Xchagne viewer since Jarnal is too big and requires a tablet PC for easy use. Free version of PDF-Xchange supports most of commenting options: highlighting, typewriting, underlining, sticky note, line drawing, polygon drawing and so much. Moreover, this personalized file can be securely saved, shared, referred, searched and re-distributed thanks to the EDMS in my company.

Commenting tools in PDF-Xchange viewer

PDF workbook in the classroom

I have not tested this (PDF annotating) in a real classroom. I expect lots of obstacles, stiff resistance, repeated trials and errors from my coworkers and trainees. This is not a problem of technology but a problem of people’s habit, behavior, and tradition. I never saw any successful case in e-book business except Amazon’s Kindle. I’ll have to be very careful to practice this in the real classroom. At best, it might work in some very limited conditions.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is also testing e-textbook (or digital textbook) for K12 education. We might need smarter hardware and software supporting natural viewing and writing based on intensive human behavior research.

2009-02-14

오랜만에 인터넷 세계에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써본다. 그동안은 결혼하고 새로운 생활을 꾸려나가느라고 온라인 세상에서 멀어지기도 했었고, 회사 안에서 블로그, 게시판, 위키, 파일 공유, 회의실 예약 시스템 등을 작은 조직에 맞게 만들고, 다듬고, 전파하는 재미에 빠지기도 했었고, 보수적인 대기업의 벽을 실감하기도 했었다. 그러는 동안 개인적인 블로그 활동에 잠시 흥미를 잃었기도 하고, 블로그에 올릴만한 가치있는 아이디어들을 만들어내지도 못했다. RSS 리더에 들어가니 글이 엄청나게 많이 쌓여 있어서, 즐거움 반, 한숨 반이 나온다. 게다가 TV나 신문도 잘 접하지 않아서 오랜만에 들어가본 뉴스에는 분노를 자아내는 것들이 많다. 그러니 뉴스를 보지 않고 살아온 최근 얼마 동안이 참 행복했던 시절이었음이 분명하다. 개인적으로 결혼을 하면서 새로운 빛의 삶이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우리는 화려한 전과 기록을 자랑하는 2MB가 한 나라의 대통령인 어두운 현실에 놓여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사람이 주인장 노릇하는 청와대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짓을 하고 있다는 것도...

2009-01-07

옛날 제로보드 홈페이지가 해킹을 당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블로그를 쓰기 전에 2006년 초까지 제로보드라는 PHP 게시판을 썼습니다. 그런데 그게 상당히 옛날 버전이어서 보안이 매우 취약합니다. 그래서 스팸에 대한 대처도 거의 전무하고, 더욱 문제인 것은 해킹 위협에 그냥 노출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옛날 홈페이지에 악성 코드가 iframe으로 계속 삽입되어 생성되고, 이게 파일에서도 DB에서도 지워지질 않습니다. 한국 정보 보호 진흥원 인터넷 침해 사고 대응 지원 센터(http://www.krcert.or.kr)가 알려준 바로는 이 악성 코드가 홈페이지 방문자의 개인 정보를 가져갈 것으로 의심이 된다고 하는군요. 게시판의 관리자 기능도 먹통이 되어 버렸고, 대략 난감입니다. 어딘가 백도어가 설치되어 보안 취약점이 계속 노출되고 있는 것 같은데... 아무튼 옛날 버전의 게시판을 그냥 그 상태로 남겨놓은 것이 큰 실수였던 것 같습니다. 옛날 버전의 웹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 때에 보안 취약점 패치를 하는 것과 평소 보안 관리를 잘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큰 댓가를 치르고 알게 되었습니다.

어쨌든 문제 해결까지 상당히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흑흑...

2008-12-20

제가 결혼을 합니다.

오랫동안 혼자 살았던 인생의 긴 전반기를 마치고 이제 둘이서 나머지 삶을 살기로 하였습니다. 짧은 연애 기간 탓에 추억을 만들기도 전에,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결혼 준비를 하려니 참 갈팡질팡 정신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저의 부족함을 잘 이해해주고 따뜻한 사랑의 마음으로 감싸주는 1월의 신부가 있어서 즐겁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2009년 기축년 새해의 첫 달, 행복한 예식에 소중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Wedding Invitation

삼성동 코엑스몰 앞에서 예비 신랑과 신부아름다운 꽃이 피기까지 가꾼 이의 정성과 물과 바람과 흙과 햇볕이 있었듯이, 인생의 기쁜 순간을 맞이하는 저희 두 사람의 곁에는 많은 분들의 보살핌과 배려와 우정이 숨어 있었습니다. 언제나 이러한 분들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고 서로 사랑하며, 바르게 살겠다는 소중한 맹세의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함께 새출발하는 저희 두 사람의 모습을 부디 오셔서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신현년
하명강
의 차남 승식 (그레고리오)

김덕수
이순자
의 장녀 희진 (힐데가르트)

혼배 미사 (결혼식 + 피로연)

  • 일시: 2009년 1월 17일 토요일 정오(12시) iCAL 결혼식 일정을 구글 캘린더에 추가하기
  • 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132 요한 성당 [요한 성당 교통편▼]
    지하철로 오실 때

    분당선 서현역 → 2번 출구쪽 에스컬레이터 이용 → 삼성프라자 백화점 2층 → 마을 버스 3-2번 → 요한 성당 앞 정류장에서 내립니다.

    버스로 오실 때
    효자촌 우성 프라자 앞 정류장에 하차하는 버스
    • 광역 버스: 303, 1001, 1005-1, 9000, 9001, 9401, 9402, 9403, 9407, 9408, 9409, 9414
    • 시내 버스: 2, 33-1, 51, 77-1, 720, 820, 1116 (하차하여 정류장에서 택시 이용 3분 소요)
    요한 성당 앞 정류장에 하차하는 버스
    • 광역 버스: 8151, 1500, 1500-2
    • 시내 버스: 17, 33, 119, 442, 520, 520-1
    • 마을 버스: 3, 3-1, 3-2
    • 공항 버스 이용시 – 분당 서현역 정류장에서 하차 후 택시 이용 (7분 소요)
    주차

    성당 지하 주차장(180대) 및 율동 공원 주차장 (무료)

  • 분당행 버스: 예식 당일 분당행 버스 1대가 광주역 앞에서 아침 7시에 출발합니다.
  • 화환은 일체 사절합니다. 이를 대신하여 사랑의 쌀▼을 이웃에게 기증할 수 있습니다.
    사랑의 쌀

    신랑 신승식과 신부 김희진의 혼배를 축하해주시는 분께 알려드립니다. 우리 성당에서는 혼배가 있을 때 축하 화환의 반입이나 진열을 일체 불허합니다. 이를 대신하여 “사랑의 쌀”을 어려운 이웃에게 기증하실 수 있습니다. 예식 1일 전까지 성당 사무실에 문의한 후 현물 또는 현금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기증하신 분의 성함을 혼배 당일 식장 앞에 전시해 드리며, 보내주신 쌀은 불우한 이웃에게 신랑 신부의 이름으로 보내드립니다.

    신랑 신부의 혼배도 축하해 주시고, 어려운 이웃에게 도움을 주실 수 있습니다.

    축하받으실 분
    혼배 일시 2008년 1월 17일 12시
    신랑 이름 신승식 그레고리오
    신부 이름 김희진 힐데가르트
    보내주시는 분
    성명
    기관명
    연락처
    입금 계좌:
    국민은행 270937-04-001046 (예금주: 천주교수원교구유지재단)
    문의:
    분당요한성당 사무실 전화 031-780-1112, FAX 031-780-1109

    분당요한성당 귀중

피로연 (광주)

  • 일시: 2009년 1월 9일 금요일 정오(12시) ~ 오후 3시 iCAL 피로연 일정을 구글 캘린더에 추가
  • 장소: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80-1 웨딩홀 오페라하우스 [오페라하우스 교통편▼]
    고속도로 이용시

    동광주 IC로 들어와서 사거리에서 우회전 → 서방 사거리에서 좌회전 → 지산 사거리에서 200미터 앞 오른쪽

    버스 이용시
    • 백운동 방향에서 오실 때 → 조대 입구 → 살레시오 여고 승강장에서 내립니다. → 맞은편
    • 산수동 방향에서 오실 때 → 지산 사거리 → 살레시오 여고 승강장에서 내립니다.
    공항에서 오실 때

    공항에서 1000번을 타고 살레시오 여고 승강장에서 내립니다.

    시내 버스

    01, 15, 17, 27, 28, 35, 55, 80, 1000(공항 버스)

2008-12-08

웹 접근성 품질 마크 심사 끝

지난 몇 달동안 나를 최대한 괴롭혔던 것이라면, 단연코, 웹 접근성 품질 마크 심사였다. 웹 접근성 품질 마크는 이번이 4회째인데 대상 웹 사이트가 갈수록 늘어나 열 댓 명의 심사위원 한 사람에게 배정된 양이 만만치 않았다. 한 사이트에 대해 세 사람이 심사하고, 세 사람의 의견을 모아서 마지막으로 다시 한 사람이 보고서를 정리한다. 주말이나 저녁에 쉬는 시간이면 품질 마크 귀신이 나를 따라다니며 "네가 지금 이러고 있을 시간이 있어?"라며 괴롭혔다. 평가 기간동안 개선이 일어나면 다시 심사를 반복해야 했는데, 접근성이 개선된 것은 참 반가운 일이지만, 평가하는 사람들에겐 노동이 더 늘어나므로 반가운 소식만은 아니었다. 스물 여섯 개의 지표를 수십 개의 페이지에서 확인하는 일은 상당한 중노동이다. 그런 수십 아니 수백 수천 개의 페이지를 만든 사람의 노고에 비하면 별 것 아니겠지만.

웹 접근성은 모로 가거나 홀로 가도 대충, 빨리 앞으로만 가면 된다는 기술 지상주의나 성장 제일주의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합의된 규칙을 지키며, 다같이 함께 가지 않으면 진보하지 않는 것"이라고 딴지를 거는 제동 장치이며, 기술과 디자인의 바른 길을 제시해주는 항법 장치이다. 다행히 이런 제도 때문인지 거의 바닥에서 출발한 한국 공공 기관의 웹 접근성은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일반 기업들의 웹 사이트는 아직도 세계 최하위 수준이지만.

나중에 시간이 나면, 여러 사이트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나오는 문제점들을 모아서 사례집으로 만들어도 좋을 것 같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강제로 설치하도록 우기는 사이트들(개인적으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야말로 과장된 보안 위협에 기반한 사기성 프로그램의 극치라고 생각한다.), 아직도 기본 중의 기본인 URI를 감추거나 페이지 제목을 제대로 안 쓰는 사이트, 뻔한 HTML을 놔두고 정말로 희한한 자바스크립트를 개발하여 적용한 사례 등등... 아무튼 오늘로 나에게 주어진 모든 사이트에 대한 보고서까지 다 마쳤다. 제발 다시 재심이 들어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연말을 편하게 보낼 수 있게...

2008-10-02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건우

베토벤 바이러스라는 드라마 재미있네요. 처음에 나왔다는 실제 지휘 장면을 못 봐서 아쉽지만, 오늘(10월 1일) 나온 장면도 충분히 흥미로웠습니다. 드라마에서 천재로 나온 강건우의 음악적 능력에 대해 음악 심리학의 기본 이론에 비추어 개인적인 해설(?)을 덧붙여 보려고 합니다. 강마에가 강건우를 천재라고 판단한 몇 가지 재미있는 상황이 나왔습니다.

베토벤 바이러스 월페이퍼

채보 (듣고 악보로 적기)

첫째는, 모짜르트가 단 한 번 듣고 채보했다는 곡을 강건우도 비슷하게 했다는 것입니다. 채보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능력이 필요합니다. 음감(sense of pitch), 박자감(sense of rhythm/time), 사보(scoring)에 대한 지식, 기억력(memory) 등이 반드시 좋아야 합니다. 모짜르트가 단 한 번 듣고 채보했다는 곡은 고전 시대 곡의 특징상 아주 고도의 음감이나 박자감이 없어도 채보하기에 특별히 어려운 곡은 아닙니다. 다만, 단 한 번 듣고 그것을 다 외워서 받아적었다는 것이 더 놀라운 것이죠. 그만큼 무궁무진한 음악의 어법이 커다란 기억의 덩어리(청크, chunk)로 들어가 있어서 보통 사람이라면 수 십, 수 백 개의 청크를 조합해야 하는 음악이 천재들에게는 단 하나의 청크로 기억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건 음악에 대한 경험, 노출, 훈련을 많이 함으로써 상당히 발전시킬 수 있는 전문성(expertise)의 한 부분입니다. 이것만 가지고 아주! 놀랍다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이죠.

청음 시험

다음에는, 피아노 앞에서 강마에가 몇 가지 화음을 치며 강건우가 얼마나 잘 분간하는지 시험을 해보지요.

  1. 처음 쳤던 화음이 도(C)와 솔(G), 즉 완전5도였는데 이 정도는 음악 하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알 수 있는 매우 쉬운 화음입니다.
  2. 그 다음에는 도(C)와 미(E), 즉 장3도였구요, 이것은 고전적인 합창, 합주에서 가장 기본적인 화음이므로 이 정도도 사실 아주 쉬운 화음이지요. 그래서 이 정도를 들었다고 천재라고 하는 것은 난센스입니다.
  3. 마지막으로 강마에가 화를 내며 피아노를 세게 치면서 우연히 눌렀던 음이 시(B), 도(C), 레(D), 미 플랫(Eb), 파 샾(F#), 라 플랫(Ab)인데요, 이 정도 되면 알아듣기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그 이유는 일단 동시에 울리는 음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이유는 음들의 간격(음정)이 매우 좁아서 협화음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음악 대학 입학 시험에는 2성부 또는 4성부 정도까지 청음(hearing) 시험을 봅니다. 협화음을 이룬 경우, 4성부가 그리 어렵지 않을 수 있지만, 위의 경우처럼 6개의 음이 불협화음으로 동시에 한 번에 울리는데 그것을 맞추는 것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런데 그 어려운 이유는 음악적인 청음 능력이 떨어져서라기 보다는, 음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6개의 음이 구분이 잘 안 되기 때문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훌륭한 음높이 지각(pitch recognition) 시스템이 있다고 하더라도 (아직 없지만), 이런 음들은 수학적으로 분리해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공 지능의 연구 과제이기도 합니다.

    물론, 아주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음향적인 분해능(resolution)도 뛰어납니다. 특히 지휘자의 경우에는 이런 분해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야 동시에 울리는 수많은 악기의 음들을 구분할 수가 있지요. 그러나 이런 분해능도 보통은 음악적인 맥락(context)을 이용해 더 향상된 결과를 낼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들의 관계와 개별음 높이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강마에는 완전5도, 장3도와 같은 화음 이름을 대라고 했고, 강건우는 그에 대해 개별음의 이름으로 대답을 했습니다. 강마에가 요구한 것은 음들의 관계, 즉 음악적인 맥락 판단을 요구했고, 강건우는 개별음 높이에 주의를 주어 대답했습니다. 실제 음악에서 더 가치있는 것은 강마에가 요구한 음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보통 훈련에 의해서 발달하는 것은 음들의 관계를 지각하는 능력(소위 말하는 상대 음감(relative pitch))입니다. 그러나 조기 음악 교육을 받았으나 성인이 되어 충분한 음악 교육을 받지 못한 소수 절대 음감자(absolute pitch) 중에는 음들의 관계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음악적으로 더 유용한 것은 음들의 관계입니다.

천재의 필요 충분 조건

위의 두 가지 경우, 채보 능력과 청음 능력만 가지고 "음악의" 천재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강마에는 강건우의 음악성을 평소에 여러 가지 면에서 관찰해왔기 때문에 내린 결론이겠지요. 데생과 스케치를 매우 정확하게 잘 한다고 해서 천재 미술가라고 하지는 않는 것처럼, 뛰어난 음감이나 분해능을 가졌다고 천재 음악가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기본적인 필요 조건을 갖춘 것 뿐이지요. 그런 기본 자질에 그 사람의 예술적인 감성, 또는 그 사람의 고유한 색깔, 창조성이 더해져야 훌륭한 음악을 만들어낼(작곡이든, 연주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유한 자신의 예술 세계를 가진 사람은 역사에 남아 후대의 사람들에게도 감동을 줍니다. 우리는 모짜르트의 천재성에 감동하는 것이 아니고, 모짜르트의 음악에 감동하고 있습니다.

2008-08-19

긍정적인 전염, 유머가 인생을 바꾼다


유머가 인생을 바꾼다 책표지유머가 인생을 바꾼다 - 10점 만점에 5.7 김진배 지음/다산북스

요즘 여러 권의 책을 아주 조금씩 조금씩 보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유머가 인생을 바꾼다"는 책인데, 권해준 분은 바로 우리 어머니! 강의를 종종 하니까, 유머를 많이 익혀놓으면 좋지 않겠냐면서 읽어보라고 주셨다. 사실 이런 종류의 책을 그닥~ 좋아하진 않지만, 그냥 가볍게 보기로 했다. (웃찾사 같은 코미디 프로그램도 내가 가장 싫어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 하나이다. 코미디 영화나 드라마는 무척 좋아하지만...) 목적이 좀 애매했었다. 유머를 발휘하는 기법을 소개한 책인지, 아니면, 써먹을 수 있는 유머의 모음집인지, 유머 예찬론인지, 아니면, 긍정적인 삶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인지... 모두 조금씩 들어가 있었다.

웃음과 긍정적인 기대, 자세가 자신은 물론이고 주위 사람들에게도 훨씬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실제 심리학의 연구 결과는 꽤 있다. 잘 알려진 피그말리온 효과부터 코미디 프로를 보고 난 후에 수학 문제를 더 잘 푼다든지 하는 그런 연구 결과들. 그러니 긍정적이고 밝은 삶의 자세를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결코 손해볼 일은 없는 것 같다.

책에 나온 많은 내용중에 가장 공감이 갔던 부분은,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는 "무표정 = 정상적 표정"이라는 등식이 있다는 것이다. 내가 처음 외국(호주)에 갔을 때 호주 사람들은 눈만 살짝 마주쳐도 미소를 지어 보이거나, 윙크를 하던 것을 잊을 수 없다. 그래 기왕 마주칠 거면, 살짝 웃어주고, 또는 가볍게 인사도 나눠주는 게 얼마나 기분 좋은 일인데. 엘리베이터에 같이 타는 사람과 시선을 마주치지 않으려고 층번호만 쳐다보거나, 땅바닥만 보거나, 괜히 신호도 못 받는 휴대 전화 꺼내서 문자 체크하는 척 하거나, 심지어 그냥 눈을 감을 필요 있을까? 다른 사람들과 마주칠 때 무표정은 때로는 정상적인 것이 아니고, 화나거나 못마땅하다는 뜻을 전달하는 것일 때도 있다. 먼저 웃고, 먼저 인사하면 기분도 훨씬 좋을텐데...

몇 주 전에 중동, 아프리카에서 온 사람들과 수업을 했던 적이 있다. 그들이 그렇게 낙천적이고, 긍정적이고, 배움에 대해 열정적이고, 다양성과 다른 문화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인지 몰랐다. 여유있고 유머가 넘치는 사람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그렇게 즐겁고 유쾌할 수가 없었다. 이런 것을 긍정적인 전염(positive epidemic)이라고 해야 할까? 나도 다른 사람들에게 행복과 유쾌함을 전염시키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