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chive

2006-12-28

그래도 우리 나라에 여성가족부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세계로 가는 여성부 - BBC와 CNN 해외토픽에 대한 트랙백입니다.

여성가족부에서 캠페인 한 번 잘 못 했다가 완전히 여론의 방망이를 흠씬 두들겨 맞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본 대부분의 블로그와 답글들도 그런 부정적인 반응들밖에 없군요. 아마 부정적이라기보다는 상당히 감정적인, 그리고 단순한 이 이벤트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단, 평소에 여성가족부의 존재 자체가 못마땅하니 이 기회에 없애버리자는 투의 글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마치 노무현 대통령은 무슨 말을 해도 다 밉고, 무슨 일이든 좋지 않은 일이 생기면 다 대통령 탓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져서 참 아쉽습니다.

여성가족부가 정부 기관의 하나로 생긴 것은 국가 인권 위원회의 탄생과 함께 우리 나라의 민주화에 큰 획을 긋는 역사적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에서 이런 업무를 전담한 유사한 국가 기관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 오히려 자랑스러워할 일이지요. 여성가족부와 인권위는 국가 기관이기 때문에 시민 단체에서 하기 힘든 인권 신장 노력을 정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국가 기관이기 때문에 정말 자연인으로서의 개인의 인권보다는 국가의 통치 이데올로기에 손들어줄 수 밖에 없는 한계도 같이 지니고 있습니다. 물론 인권위는 아직도 의결을 하지 못하고 권고만 할 수 밖에 없지만. 여러 가지 비판과 내외부의 때로는 심각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이런 두 기관이 있음으로 해서 통제를 본업으로 하는 정부라는 거대한 기관에 다른 목소리를 내는 부서가 생겼지요. 이것을 보고 조선일보와 같은 황색 신문에서는 정부 기관들이 의견 조율 못하고 딴소리한다고 비판하겠지만요.

이번 캠페인은 여성가족부도 시인했듯이 방법적으로는 호되게 비판받을 구석이 있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것을 근거로 보도 블럭을 다시 까는 것이 차라리 낫다느니, 여성가족부는 없어져야 할 존재라고 말하는 것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신문 기사에서도 나왔듯이 아직도 100만명 이상이 성매매에 종사하고 있다는 것을 어떤 식으로 합리화할 수 있을까요? 돈으로 사람의 몸과 성을 사는 행위를 하룻밤에도 수많은 남성들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우리 아이들에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아니 그런 심각한 예를 들지 않아도 문제는 많습니다. 몸담고 있는 회사에서, 학교, 친구들 사이에서 성차별이 없어졌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성차별이 없다고 하는데 왜 회사에 여성 임원, 아니 임원까지 가지 않아도 여성 부장님은 가뭄에 콩나듯이 발견되는 것일까요? 왜 아직도 의사는 대부분 남자이고 간호사는 대부분 여자일까요? 왜 미팅을 하면 남자가 주로 돈을 지불해야 할까요? 왜 주부하면 여성만 떠올리게 되고, 남자가 직장에 나가지 않고 집에서 일한다고 하면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고 추측하게 될까요? 왜 성폭력 범죄가 끊이지 않고, 여자들은 밤길을 조심해야 할까요?

저는 여성가족부가 할 일이 아직은 매우매우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성매매는 여성가족부가 해결해야 할 수많은 문제들 가운데 아주 심각하고 극단적인 것입니다. 그런 목적 의식이 너무 강해서 이번과 같이 많은 남성들에게 조롱거리가 되어버린 캠페인을 만들었겠지요. 사실 궁금합니다. 왜 성매매에 대해 적극적인 거부감과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이번 사건에 대해서 큰 소리를 내지 않는지. 해외 언론에 이런 소식이 소개되는 것이 그렇게 부끄러운 일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태국에 성매매가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주로 한국 남성들이 태국에 성매매를 하려고 관광을 한다는 이야기), 네덜란드에는 아예 합법화되어 있다고 들었지만, 저는 한 번도 제가 개인적으로 만난 태국 남성들과 네덜란드의 남성들을 이상하게 바라본 적이 없었습니다. 집단 내의 모든 사람을 싸잡아 어떻다라고 말하는 것은 대부분 틀린 이야기이고 개인은 다 다르니까요. 자신이 속한 나라에서 성매매가 횡행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비판적으로 말하는 남성들을 보면, 오히려 그 사람과 그 나라가 부럽기까지 합니다. 자기가 속한 집단, 특히 나라, 민족, 가족처럼 핏줄과 연관되어 쉽게 바꾸기 힘든 것들을 스스로 비판하기는 여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성매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면, 우리는 그것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바꾸어야 합니다. 알려진 사실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고 아직도 돈으로 사는 성폭력인 성매매가 널리 횡행되고 있다는 것이 훨씬 부끄러운 일입니다.

2006-12-19

어떤 형태의 펌질과 스크랩도 모두 반대합니다.

블로그 글의 무단 도용: 네이버 vs. 독립 블로거 라는 글을 읽고 다시 열불이 나서 한 마디 씁니다.


불법이고 합법이고를 떠나서 저는 펌질, 스크랩을 적극 반대합니다. 펌질, 스크랩을 통해 복사된 글들이 인터넷을 어지럽혀 결국 검색 엔진이 사용자가 원하는 글을 찾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제목만 살짝 다르지만 결국에는 똑같이 복사된 글만 검색 결과에 올려놓는 어처구니 없는 현상을 양산해냅니다. 그래서 펌질에 의해 오염된 네이버 블로그, 싸이월드 미니홈피는 검색하면 원본 글은 누가 쓴 지도 모르겠고, 복사하고 또 복사한 쓰레기만 나오죠. 그나마 네이버와 싸이월드가 자신의 서비스들을 robots.txt로 검색을 막아놓은 게 어찌보면 다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 않았으면 우리 나라 인터넷은 온통 복사된 쓰레기로 가득 찼을 지도 모르니까요.

웹의 기본은 스크랩이나 복사가 아니라 링크입니다. 그리고 그 링크에 의해서 검색의 중요도도 결정되어야 합니다. 펌질과 스크랩을 통해 데이터의 웹은 더욱 요원해져 갑니다. 사용자들이 올려놓은 지식 정보와 블로그, 카페는 마치 자기 자산인양 검색도 막아놓고, 다른 곳에서 링크를 걸려고 하면 매일 링크 주소를 바꿔버리는 네이버를 비롯한 국내 포털들의 행태가 어쩔 수 없이 펌질과 스크랩을 양산했고, 인터넷 세상을 오염시켜온 주범입니다. 그런 세상에서 파란과 같은 후발 주자가 어떻게든 트래픽을 모아보려고 타 블로그의 스크랩 기능을 넣었다는 것은 어찌 보면 이미 예상되어 온 일이라고 보입니다. 그나마 뺐으니 천만 다행이군요.

2006-12-16

금호 OB 합창단 송년 모임

지난 9월에 시작해 12월 9일 올해 마지막 합창 연습을 마치고, 조촐한 송년 모임을 하였다. 뒷줄 왼쪽에서부터 영택이(단장), 성욱이(지휘), 하성이, 대중이, 앞줄은 나(반주), 사진 찍은 사람은 광익이다. 연습에는 참가하지 못했지만 뒷풀이 모임에 몇 명이 더 왔다. 다들 바쁘고 멀기 때문에 올해는 연습을 시작한 것만으로 크게 한 발을 내딘 것 같다.

금호OB합창단 송년 모임

2006-12-14

His first job at Google

오산역에서 형(신정식)

My brother, Jungshik leaves Korea tomorrow, December 14. He visited Osan today to say goodbye. He will stay in San Francisco working at Google as an i18n expert. I will miss him for I won't be able to see him boarding a plane tomorrow. Wish him a Merry Christmas and happy life in the States!

2006-12-08

즐거운 불편 24

집앞에 성당에서 온 재미있는 전단지가 놓여있었다. 제목은 즐거운 불편 24! 대림절 기간에 24가지 불편 사항을 실천하고, 그것을 성공할 때마다 성공 축하금을 조금씩 모아 아프리카나 제3세계 생명 기금으로 보내는 운동이다. 많이 쓰고, 많이 소비하고, 빨리빨리, 편하게 사는 것이 장려되는 사회에서 즐거운 불편이라는 발상이 참 신선하다. 자 이제 이 즐거운 불편을 통한 성공 축하금을 좀 모아봐야겠다. 중간에 재미있는 항목도 있다.


  1. 반찬 가지 수를 한 개 더 줄이고 음식물은 남기지 말기

  2. 가까운 거리는 자동차 이용 대신 한 번 더 걷기

  3.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대신 계단을 한 번 더 이용하기

  4. 운전할 때 교통 질서를 한 번 더 지키기

  5. 전등 한 개 더 끄기

  6. 새 자동차 구입을 한 번 더 미루기

  7. 새 핸드폰이나 컴퓨터 구입을 한 번 더 미루기

  8. 새 가전제품(TV, 냉장고 등)의 구입을 한 번 더 미루기

  9. 1회용 티슈 대신 손수건을 한 번 더 사용하기

  10. 1회용 컵 대신 개인 컵을 한 번 더 사용하기

  11. 1회용 기저귀 대신 헝겊 기저귀를 한 번 더 사용하기

  12. 시판 생리대 대신 헝겊 생리대 사용하기

  13. (지갑처럼 접을 수 있는) 장바구니를 한 번 더 가지고 다니기

  14. 상대방의 말을 한 번 더 들어주기

  15. 가족과 대화 한 번 더 하기

  16. 가족과 같은 이불에서 한 번 더 자기

  17. 가족이 같은 시간에 기도 한 번 더 하기

  18. 대형 백화점과 대형 마트 대신 지역 상점 1번 더 이용하기

  19. 가능한 재활용품(재생지 등) 한 번만 더 구매하기

  20. 패스트 푸드 대신 밥 한 번 더 먹기

  21. 세탁기 한 번 덜 돌리고 대신 세탁 비누로 손빨래하기

  22. TV를 한 시간 덜 보고, 컴퓨터 한 시간 덜 쓰기

  23. 휴대폰 문자 다섯 통 덜 보내기

  24. 휴대폰 통화요금 10% 줄여보기

  25. 마지막은... 각자가 해보기로 정한 위의 24가지와 다른 불편

2006-11-30

이해의 용이성: 웹 접근성 준수 실무 세미나 발표 자료

오늘 (2006년 11월 29일) 웹 접근성 준수 실무 세미나에서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중 세 번째 원칙인 이해의 용이성 부분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원칙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보다는 짧은 시간에 실제 일어날 법한 사례를 다루려고 욕심을 부리다 보니 이도저도 아니게 약간 어중간하게 된 것 같습니다. 아무튼 파워포인트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PDF로 변환한 파일은 나중에 올리겠습니다.

발표 자료: Understandable Content and Controls

2006-11-13

이보다 더 행복한 이혼은 없다

이보다 더 행복한 이혼은 없다, 한겨레 21의 도발적인 표지 이야기 제목이다. 자동차가 집보다 더 중요한 필수품이 된 우리 사회에서 꽤 큰 회사에 다니는 내가 자동차도 없다고 하면, 그러니까 장가를 못 갔다고 하거나, 아직 철이 들지 않았다고 하거나, 왜 아직 차를 사지 않았냐고 매우 의외라는 반응들을 보인다. 사실 나는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주범인 자동차 문명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 때문에 나라도 자동차를 거부해보자는 심리로 버텨왔었다. 자동차가 없었기에 나는 걷는 것을 좋아했다. 그것은 더운 여름날이나 추운 겨울날도 마찬가지였다. 사람들은 회사 정문에서 사무실까지 꽤 거리가 있어서 걷는 것을 별로 달가와하지 않았지만 나는 그 걷는 시간만큼 주변의 경치를 즐길 수 있었고,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사색에 잠길 수도 있었다. 그리고 시내에서도 가끔씩은 아주 먼 거리를 일부러 걸어다니며 시내 구경을 하는 것이 나름대로 재미있었다. 그러다 지난 6월에 구입한 자전거는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었다. 발로 굴리는 두 바퀴 위에서 바라본 세상은 두 발로 걷는 세상과 또 달랐다.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더 많은 거리를 달릴 수 있는 인류의 훌륭한 발명품, 자전거를 타며 가보지 못한 곳들을 찾아가는 재미를 마음껏 즐겼다.


그러나 세상은 나 혼자만 만족하며 살아가는 곳이 아니었다. 자동차가 없는 내가 가끔씩은 초라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이상한 눈으로 쳐다보는 사람들 눈이 따갑게 느껴졌다. 그래서 나도 자동차를 사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지구에게 해를 덜 주고 싶은 마음에서 새로 생산된 차가 아닌 중고차를, 그리고 가장 작은 경차를 샀다. 물론 차를 사기 전에 잘 아는 사람들에게 물어보았지만 열 명이면 열 명 모두 경차는 사지 말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고민 끝에 나는 경차를 사고 말았고,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몇몇 사람들이 이상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사실 따갑기도 했다. 사람들은 나보고 일 년만 타다가 새 차로 바꾸라고 했다. 그 때마다 나는 대충 얼버무리며 넘어갔지만 몇 년 안에 차를 바꿀 생각은 전혀 없다.


차를 사고 나서 비상시에 차를 타고 출근할 수 있다는 게으른 믿음 때문에 늦잠을 자기도 하고, 차를 타고 가면 될 것이라는 게으른 믿음 때문에 성당에도 늦게 출발한다. 차가 없었으면 최소한 사무실에서 회사 정문까지 걷고, 버스 정류장에서 집까지 걸었겠지만 차츰 그나마의 걷는 일도 귀찮아하게 되어간다. 차를 타면서 자연의 맑은 공기와 쏴한 바람과 깊은 하늘을 바라볼 여유를 잃어버린다. 나만의 좁은 공간에서 추울 때는 따뜻한 바람이 나오고, 더울 때는 찬바람이 나오는 편안한 상태로 잽싸게 원하는 곳까지 쉽게 갈 수 있는 차를 타면서 움직이는 것, 땀흘리는 것, 시간이 늦어서 발바닥에 땀나게 뛰는 것 이런 것들을 혐오하게 된다. 이런 모습으로 내가 급격하게 변해가는 것이 두려워 차를 점점 멀리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새 차를 사면 여기도 가보고 싶고, 저기도 가보고 싶다고 하는데 나는 사실 딱히 어딘가 차로 움직이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차를 산지 이제 석 달이 되어가지만 사실상 차와 나는 별거 상태이다. 차를 사고 주유를 딱 한 번 했는데 아직도 기름은 반 이상이 남았다.


차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도 꽤 있었다. 영남대 박홍규 교수 같은 분은 잘 알려진 분이다. 그리고 한겨레 21 이번 기사에 나온 박영숙 한국 여성 재단 이사장도 날마다 베엠베(BMW, 버스(Bus), 지하철(Metro), 걷기(Walking))를 타는 분이다. 나보고 차와 이혼하라고 한다면? 사실 자신 없다. 왜냐면 차를 알게된지 이제 몇 달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주는 아니어도 거부할 수 없을만큼 차가 아쉬울 때가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아마 당분간 소원한 상태로 지낼 것 같다.


박 교수의 자전거에서는 생활의 냄새가 난다. 차체는 녹슬었고, 장바구니도 달렸다.평생 자동차를 사지 않은 박영숙 한국여성재단 이사장의 차는 베엠베(BMW)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거나 걸어다닌다.

2006-10-31

윤샘 초대

이화의 첫 발
토마토를 먹는 이화

일요일에 윤샘 내외를 초대하였다. 원래 나는 남의 집에 가는 것보다 우리집에 친구들을 초대하여 가볍게 점심 같이 먹는 것을 참 좋아한다. 그런데 오산으로 이사 오고 나서는 한 번도 그렇게 해보지 못했다. 윤샘 내외가 예쁜 아기 윤이화를 데리고 집에 왔다. 점심은 아니었지만 요구르트와 과일을 몇 가지 섞어 만들었던 쥬스가 맛있다고 해서 나도 기분이 좋았다. 이화는 우리집에서 첫 발을 내디뎠다고 한다.^^

제1회 CSS Design Korea 모임 다녀와서

웹 접근성 향상 캠페인을 소개하는 okoru군

제1회 CSS Design Korea 정식 모임에 갔다 왔다. 아마도 국내에서 웹 표준 한다는 사람들은 거의 다 오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다. 처음 모임이라 아마추어 냄새가 나고, 매끄럽지 못한 행사 진행이 곳곳에 눈에 띄었으나, 오히려 그것이 통제되고 잘 짜여진 행사보다 멋져 보였다. 어떤 곳의 후원도 받지 않고, 어떤 영리적인 목적도 없이 오로지 웹 표준과 웹 접근성에 대한 관심으로 젊은이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자원봉사자로 지원해 기념품도 만들고, 샌드위치도 나누고, 장소도 구하고, 서로 발표하고 토론하는 분위기가 좋았었다.

2006-10-17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 표준화 포럼 홈페이지 개편

요즘 회사 일이 무지하게 많아 주말이고 밤이고 없이 일만 하다가 너무 지겨워 우연히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 표준화 포럼' (이하 IABF)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았다. 앗, 언제 이렇게 깔끔하게 바뀌었지? 그동안 접근성에 관한 모든 지침, 교육, 소식을 전달하는 창구였던 IABF 홈페이지가 자신의 홈페이지의 접근성이 별로 좋지 않아 종종 비난(?)의 대상이 되어왔었는데, 이번에 아주 독하게(?) 고친 것 같다. 시간이 없어서 자세하게는 못 봤는데, 최소한 시맨틱(semantic)한 측면에서는 장족의 발전을 한 것 같다. 브라우저 호환성과 키보드 접근성을 고려한 동적인 메뉴, 키보드 포커스(focus)가 눈에 확 띄는 것도 마음에 든다. 접근성 지침의 예제도 참신한 것으로 들어가 있는 것 같고, 아마 앞으로 추가될 예정인 것 같다. 그동안 바라고 바랐던 RSS 구독 기능도 추가될 듯이 보인다.

얼핏 봐서 마음에 걸리는 것 한 가지는 첫 페이지에 아무래도 욕심을 많이 내다 보니 시각 장애인이나 인지적인 장애인에게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지지 않을까 생각도 든다. 그리고 아무래도 디자인을 고려하다 보니 크기 조절이 힘든 작은 크기의 그래픽 이미지들이 상당히 쓰인 것인데 이것도 아마 인터넷 익스플로러 7이나 오페라와 같이 화면 확대 기능이 있는 브라우저가 보편화되면 큰 문제가 안 될지도 모른다.

암튼 IABF 화이팅! 난 다시 회사일 해야함...

2006-10-15

영한 사전의 오류: condescending

얼마 전에 전자 사전을 하나 샀다. 엠피쓰리, 컴퓨터 연결, 발음 지원, 컬러 디스플레이, 일본어, 중국어 따위 기능 다 빼고 오로지 영어 사전의 기본 기능에 가장 충실한 사전을 찾아본 결과 카시오의 EW-D2700이라는 제품을 샀다. 평소에는 컴퓨터가 있어서 별로 쓸 일이 없지만 기차를 타고 이동할 때에는 참 요긴하였다. 이제까지 찾은 단어에 대한 기록이 남기 때문에 생각날 때 찾았던 것들을 복습하면 단어를 더 오랫동안 기억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찾은 단어 중에 영한 사전에 결정적인 오류가 있는 것을 하나 발견하였다. 영한 사전의 뜻으로는 아무래도 문장이 이해가 되질 않았다.

Allen perceived his tone toward the customer as being a bit condescending, as if Atul had a better solution in mind.

이 문장에서 condescending이라는 단어인데 영한 사전에는 겸손한, 공손한, 저자세의; (아랫 사람에 대해) 일부러 겸손한; 생색내는 듯한, 은혜라도 베푸는 듯한. 이렇게 설명이 되어있다. 겸손한 것과 생색내는 것은 아무래도 다른 뜻인 것 같고, 위 문장에서는 겸손하다는 것도 생색내는 것도 아닌 것 같아 의심스러워 영영 사전들을 찾아보았다. 옥스포드 대영영 사전에는

having or showing an attitude of patronizing superiority

이렇게 나와있고, 그냥 옥스포드 학습용 사전에는

behaving as though you are more important and more intelligent than other people

이렇게 나와있다. 내친 김에 콜린스 코빌드 사전도 찾아보았다.

If you say that someone is condescending , you are showing your disapproval of the fact that they talk or behave in a way which shows that they think they are superior to other people.

구글에서 단어를 검색해서 실제 쓰인 어떤 예문을 검색해봐도 '겸손한', '공손한' 이런 뜻은 아무 데에도 없다. 그런데 어째서 영한 사전에 이런 말도 안 되는 뜻풀이가 들어가게 되었을까? 시사 이포유 사전의 문제인가 싶어서 다른 영한 사전을 찾아보았다. 그런데 동아 프라임 영한 사전에도 전혀 다르지 않은 뜻풀이가 나와 있었다. 어이가 없는 일이었다. 이런 식의 오류가 영한 사전에 얼마나 더 될지 생각해보니 사전을 믿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condescend라는 동사를 영한 사전에서 검색해보았는데 역시나 엉뚱한 뜻풀이와 함께 말도 안 되는 엉터리 예문까지 나와 있었다.

He condescended to their intellectual level in order to be understood. 그는 그들이 이해하기 좋도록 그들의 지적 수준에 맞추었다.

이런 문장은 condescend라는 단어 뜻에 비추어볼 때 아예 만들어질 수 없는 엉터리 문장인데, 어떻게 떡하니 사전의 예문으로 등장할 수 있었을까? 혹시 국내의 사전들이 일본의 영일 사전을 일제히 똑같이 베끼면서 생겨난 것은 아닐까? 일본 야후에 제공된 일영 사전을 찾아보았으나 영한 사전에 나온 엉뚱한 예문은 없었다. 아무튼 어떻게 영한 사전에 그런 뜻풀이가 들어가있는지 미스테리이다.

2006-09-05

내 청춘에게 고함, 김영남 감독

내 청춘에게 고함 영화에 나오는 세 주인공

일요일이 종영일인 '내 청춘에게 고함'이라는 영화를 보기 위해 오산에서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며 낙원상가 내에 있는 조그마한 극장으로 갔다. 내가 예술 영화나 독립 영화에 조예가 있는 것도 아닌데 굳이 그 영화를 보게 된 이유는 바로 영화를 만든 감독이 초등학교 때 아주 친했던 영남이였기 때문이다. 영남이로부터 마지막 날이니 한 번 보러 오라는 전화 연락을 받고, 흔쾌히 가겠다고 했다. 초등학교 때의 기억 속에 영남이는 전형적인 모범생에 순진남이었다. 대학도 대학원도 모두 전산학 쪽으로 택했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대학원을 그만두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 들어갔다는 말을 들었다. 솔직히 잘 상상이 되지 않았다. 그 때까지 가지고 있었던 영남이의 이미지와 영화를 만드는 영남이가 잘 결합이 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는 '나는 날아가고…너는 마법에 걸려 있으니까'로 깐 영화제에서 주목받더니 이번에는 '내 청춘에게 고함'이라는 영화로 스위스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두 개 부문 수상을 했다.

일요일 영화가 시작되기 전과 영화가 끝난 후 영남이를 만나 잠깐 이야기를 나누었다. 예전에 처음 감독이 되었을 때에 만나서 사당에서 방배를 지나가는 버스 안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났다. 그 때나 지금이나, 그리고 초등학교 때나, 지금이나 영남이는 변함없이 짧고 단정한 머리의 수줍은 모범생 이미지였다. 나는 영화 감독이면 뭔가 튀어보일 줄 알았는데, 그는 겉으로 보기에 전혀 변하지 않아 보였다.

그의 영화 속에서 때론 혼란스럽고, 그러면서도 웬지 풋풋하고 동정심이 가는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삶의 모습을 보며, 아직도 청춘의 혼란을 겪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거울속에서 보는 것 같았다. 나는 영화에 대해 거의 모르지만, 어쨌든 좋은 영화였다. 대형 상업 영화가 아닌 이런 아기자기한 작은 영화를 보며 다양성을 즐길 수 있는 내 자신이 행복했다. 마치 휴대용 캠코더를 몰래 들이내민 듯한 자연스러운 영상 속에서도 적절한 영화적인 극적 전개와 절제된 언어는 영화를 보는 재미를 더해주었다. 더구나 그것을 내가 어렸을 때부터 잘 아는 사람이 만든 것이라고 생각하니...

First KWAG(?) Meeting

People at the First KWAG Meeting

People who have much interest in web accssiblity got together on Saturday, September 2, 2006 at TOZ, Gangnam, Seoul, Korea. Hooney, one of the participants proposed a name of this group: KWAG, Korea Web Accessibility Group. We will share and study together in the following fields (as far as I remember): history of web, the benefits of web standards, the components of web standards, multimedia accessibility, SMIL, multi-modality, usability, workflow, Flash accessibility, browser interoperability, coding techniques, authoring tools, e-learning accessibility, accessibility guidelines, assistive technologies, screen readers, plug-in problems, etc. We will have our second meeting on September 16.

2006-08-27

당신은 모르실거야

오랜만에 미디 음악을 하나 만들어보았다. 나는 몇 달 동안 특정한 멜로디가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요즈음에는 바로 이 노래가 계속 떠오른다. 욕심 같아선 그 멜로디에 여러 개의 변주를 만들고 싶지만, 그러려면 나로서는 몇 달, 또는 몇 년이 소요될지 모른다. 그래서 마음을 비우고, 간단하게 6시간만에 뚝딱 만들었다. 처음에는 멜로디와 스트링 화음만 나오고, 두 번째에는 피아노, 피치카토 스트링, 드럼, 보조 멜로디가 나온다. 혜은이가 노래했고 핑클이 리메이크한 것도 있는데, 이번에는 원곡은 전혀 들어보지 않고 순전히 내 마음대로 편집했다.

당신은 모르실거야 얼마나 사랑했는지
세월이 흘러가면은 그때서 뉘우칠거야

마음이 서글플 때나 초라해 보일 때에는
이름을 불러 주세요 나 거기 서 있을께요

두 눈에 넘쳐 흐르는 뜨거운 나의 눈물로
당신의 아픈 마음을 깨끗이 씻어 드릴께

당신은 모르실거야 얼마나 사모했는지
뒤돌아 보아 주세요 당신의 사랑은 나요

2006-08-23

웹 2.0 시대의 웹 접근성 평가 이벤트 (부산 광역시)

부산광역시에서 재미있는 이벤트를 하는군요. 시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오류를 많이 지적해준 사람에게 상품을 준다고 합니다. 이벤트 페이지부터 좀 고쳐야 겠다는 생각도 들고, 왜 이런 행사를 이왕이면 공개적인 게시판에서 열띤 토론이 되도록 하지 않고, 얌체같이 폼 메일로 보내도록 했는지 심히 아쉽습니다만... 어쨌든 이런 이벤트를 통해 따가울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들의 지적을 받겠다는 취지에는 박수를 보냅니다. 메인 페이지에는 아직 이벤트 소식이 걸려있지 않네요.

부산 광역시의 웹 접근성 평가 이벤트

2006-08-22

김용옥의 강좌에서 건진 두 가지

별 생각 없이 교육방송을 틀어보았다. 김용옥 선생의 논술 강의가 있었다. 특유의 입담으로 텔레비젼 앞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어서 끝날 때까지 보게 되었는데, 두 가지 배운 것이 기억에 남는다.


하나는, 우리가 외래어를 쓸 때에 한글과 외국 문자를 그냥 섞어서 쓰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Beethoven의 교향곡'이라고 쓸 것이 아니라 '베토벤의 교향곡' 또는 '베토벤(Beethoven)의 교향곡'이라고 써야 한다. 마찬가지로 회사에서 보고서 쓸 때 내가 정말 싫어하는 단어가 '추진(案)'이라고 쓰거나 '감독下에 진행中에 있음.' 과 같이 불필요하게 한자를 한글과 섞어서 표기하는 것이다. 한자어 대신에 우리말 단어를 찾아 쓰자는 것이 아니라 한자어를 표기할 때에 굳이 한글에 한자어를 섞어쓰는 것이 잘못 되었다는 것이다. 가만 생각해보니 대표적인 마크업 언어인 에이치티엠엘(HTML)에도 언어가 바뀌면 반드시 언어를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예를 들면,

<p lang="ko">
<span lang="en">remote control</span>을 줄여서
영어에서는 <span lang="en">remote</span>라고 하지만
리모컨이라고 줄여 쓰는 경우는 없다.</p>

이와 같이 언어 독해의 모드(mode)가 바뀌면 원칙적으로 한 단어이든, 문장이든, 단락이든, 아니면 통째로 파일 전체이든 해당 언어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나 검색 엔진과 같은 기계가 문서를 정확히 분류하고 해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일 것이다. 다행히 한국어와 영어는 완전히 문자가 달라서 보통 국내의 스크린 리더에서 알파벳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읽지 못하는 경우는 없지만, 표기 문자가 많이 겹치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섞어 쓰는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한자를 썼을 때에도 그것이 한국식으로 발음해야 하는지, 일본어식으로 발음해야 하는지, 중국어식으로 발음해야 하는지 컴퓨터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오늘의 결론은 되도록이면 한글로 글을 쓸 때에는 아주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한글이 아닌 다른 문자(한자나 영어)를 섞어서 쓰지 말자는 것이다. 그것은 보기 싫기도 하고, 한자나 알파벳을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글을 읽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영어 문화권에서도 글을 쓸 때에 다른 문자 표기를 섞어 쓰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고 한다. 글쓰기의 아주 중요한 원칙을 배웠다.

또 하나는 되도록 순 우리말을 써야 한다는 순화주의자들의 주장을 꼭 따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언어는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에 순 우리말이라는 것이 별로 없을 뿐만 아니라, 널리 쓰이는 한자어가 있는데 억지로 말이 안 되는 우리말 단어를 만들어 쓰는 것에 대해서도 웃기는 일이라고 지적하였다. 예로 든 것이, 먹거리라는 단어였다. 원래 우리 말 어법대로 하면 동사가 명사를 꾸미려면 관형어 형태로 먹을 거리가 되어야 하는데 어법에도 맞지 않게 먹거리라는 단어를 억지로 만들어 이것이 음식이라는 한자어보다 더 좋은 우리말인 것으로 퍼뜨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가끔씩 새로운 우리말 단어를 알게 되면 그 아름다움에 반해 꼭 쓰고싶어지다가도 실제 더 많이 쓰이는 한자어나 외래어가 일상화되어서 사실 생활에서 활용을 못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제 그것에 대해서 지나치게 스트레스 받을 필요는 없겠다.

2006-08-15

영어 듣기와 주의 집중

나는 아침에 일어나면 EBS 라디오를 틀어놓고 귀가 트이는 영어, 조오제의 토익 리스닝, 이보영의 포켓 잉글리시 등을 듣는다. 그러나 그렇게 듣는 것들은 모두 면도하면서, 샤워하면서, 옷 입으면서 흘려듣는 것들이므로 사실 건지는 것은 많지 않다. 그리고 정말 놀랍게도 그 많은 영어들 사이에 끼어있는 한국말들은 귀에 쏙쏙 잘 들어오는데 영어는 아주 집중하지 않으면 거의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복이 중요하다고 해서 주말에 재방송을 들어봐도 (그 때에도 딴 짓하면서 건성으로 듣는 편이라) 역시 한국말 해설은 두 번 반복하니 완전히 외우겠는데 외국어는 여전히 들리지 않는다.

오늘 해외에서 온 교육생들과 식사를 같이 하였다. 식사하는 도중에 CNN 뉴스가 나왔다. 나는 아주 주의집중해서 귀를 쫑긋 세우고 밥먹던 것을 잊고 들으면 겨우 몇 퍼센트 건질 수 있다. 그런데 미국 사람들은 밥 먹으면서 한 눈으로 힐끗힐끗 보고, 밥도 맛있게 먹으면서, 때로는 나와 잡담도 하면서 뉴스를 본 것 같던데 뉴스에서 방금 뭐라고 했냐고 물어보니까, 자세하게 설명을 해준다.

예전에 회사에서 그 회사 사장님이 영어에 한이 맺힌 이야기를 종종 하셨다. 그러면서 자기는 나이도 아주 많지만 아직도 영어 테이프를 잠잘 때에 틀어놓고 잔다는 것이다. 그러면 무의식중에 뭔가 머리 속에 들어가지 않겠냐고.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아침에 샤워하면서 듣는 영어, 밤에 잠잘 때 틀어놓는 영어, 낮에 길거리에서 딴생각 잔뜩 하면서 듣는 영어, 극성스러운 엄마들이 아이들에게 영어에 질리게 만들도록 항상 틀어놓는 영어 TV 방송, 이런 것들이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아침에 나오는 토익 방송 중에 간혹가다 문제는 건성으로 듣다가 답은 또렷이 들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답은 알쏭달쏭한데 알고 보면 정말 쉬운 문제였다. 그런데 왜 들리지 않았을까? 그것은 집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우리들에게는 주의 집중해서 영어를 듣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제1언어에 비해 외국어를 이해하려면 훨씬 많은 자원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의를 주지 않고 흘려서 듣는 영어는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특히 언어 발달의 결정적 시기가 훨씬 지난 성인들에게 말이다. 심리학적으로 실험해봐야 할 재미있는 주제일지도 모르지만... 나는 거의 효과가 없거나 또는 부정적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고 추측한다. 아직 주의를 주지 않고 자동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너무나 먼 외국어 듣기 영역에서 주의를 주지 않고 흘려듣기 시작하면, 외국어는 일반 잡음, 배경 소리로 처리하는 기제가 점점 발달하지는 않을까?

외국에 살다 온 사람들이 영어를 잘 하는 이유는, 생활 속에서 대화를 하려면 (그것은 생존에 필요하므로) 자연스럽게 주의를 집중해서 들어야 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처음 운전을 하는 사람은 주변에서 말을 시키거나 라디오를 틀어놓기만 해도 운전에 방해가 된다고 느끼며, 온 힘을 운전대에 집중해 꽉 쥐다보면 손에 땀이 나기도 하고 나중에 손바닥이 얼얼하게 되기도 한다. 그렇게 주의를 다 쏟아서 한 가지 과제를 반복하게 되면, 나중에는 점점 더 적은 주의를 쏟더라도 자동화되어 그 과제를 잘 할 수 있게 된다. 영어도 그런 것 같다. 그러니 주의를 쏟지 않고 그냥 틀어놓으면 잘 들릴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는 너무 순진한 희망 사항이 아닐까?

그래도 설마 부정적인 효과가 있겠어? 1%라도 뭔가 도움이 되겠지! 하면서 내일도 나는 똑같은 행동을 할지도 모르지만...

2006-08-14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기업 혁신의 8가지 함정과 8단계 성공법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저자 존 코터. 번역 한정곤. 출판사 김영사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존 코터 지음.

나는 어쩌면 회사원이 체질이 맞지 않을 것이라고 수도 없이 의심해왔다. 특히나 학교 졸업하고 처음 회사 들어갈 때의 그 두려움과 낯설음, 그리고 부적응적 태도는 아마 잊지 못할 것이다. 그런 내가 회사 생활을 한 지도 참 오랜 세월이 지났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기업 경영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책이나 리더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 책들은 대부분 별 근거없이 잘 꾸며진 틀에 자기 주장을 맞추어 늘어놓는 것들이어서 그런 책들을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했다.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기업 혁신의 8가지 함정과 8단계 성공법"이라는 책을 보게 된 이유는 관심이 있어서라기보다 순전히 필요에 의해서였다. 아직까지 조직 경험이 한참 부족한 내가 변화 관리를 강의할 일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것도 안 되는 영어로. 만약 그 내용이 e-learning에 관한 것이거나, 웹 접근성에 관한 것이거나, 우리 회사의 이러닝 시스템 사용법에 관한 것이라면 일주일을 하든 이주일을 하든 별 상관 없는데, 변화 관리라는 영역은 완전히 초짜중에 초짜인데 갑자기 영어로 8시간을 떠들어야(?) 한다는 것이 적잖이 부담으로 다가왔다. 회사에서 교육도 받고, 다시 영어로 된 e-learning 과정도 들었다. 그래도 미덥지 않아 다시 한국어로 된 책을 집어든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책은 참 쉽고 예제가 많이 있어서 쉽게 쉽게 넘어갔다.

물론 이 책을 읽고 경영 서적들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바뀐 것은 아니지만 몇 가지 깨달은 것이 있다. 기업에서 생겨난 혁신이라는 말이 요즈음은 공기관과 정부에서까지 사용한다고 한다. 이제 좋은 시절은 다 지나가고 모두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무한 경쟁의 장으로 내몰리고 있을지 모른다. 어쨌든 어제의 영광이 오늘, 내일 지속되리라는 보장은 아무 데도 없는 것이 사실인 것 같다. 그만큼 개인이건, 조직이건 빠르게 움직이는 열차 위에서 쉬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성장은 커녕 현상을 유지하기도 힘들어졌다. 회사에 들어와서 공부 끝인 줄 알았는데 사실은 굉장히 많은 것들을 배워야 하고 또 배우고 있는 것을 보면 이것은 분명 사실이다.

또 하나, 어떤 일이든 단숨에 우연하게 운좋게 되는 것은 별로 없다는 것을 알았다.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하려고 할 때, "그냥" 혼자 "샤샤삭" 해버리면 되지, 뭘 그리 복잡하게 사람들 만나서 의견 물어보고, 워크샵하고, 설문 조사도 하고, 인터뷰도 하고, 이메일로 보내고, 다시 만나서 간담회도 하고, 또 아주 복잡한 변화 관리 계획을 세울까라고 의아해했었다. 그러나 그게 얼마나 단순한 생각이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회사도 사람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집단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매우 다양하다. 새로운 정책이나 변화에 대해 어떤 사람들은 매우 환호하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회의적일 수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방관할 수도 있고, 주도적일 수도 있고, 끌려다닐 수도 있으며, 어떻게든 빠져나가려고 할 수도 있고, 위험을 피하려 할 수도 있고, 바빠서 관심을 못 갖을 수도 있고, 무관심할 수도 있다. 그래서 정교하고 단계적인 변화를 계획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실행이 안 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이 책에 있는 변화 관리 8단계가 저자의 주장인지 아니면 그 전에 다른 문헌에서 주장된 것인지는 모르지만 하나하나가 다 결코 쉽게 보고 지나쳐서는 안 될 소중한 단계인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흔히 배움에는 왕도가 없다고 한다. 기업이 원하는 혁신을 이루는 데 있어서도, 인생에서 어떤 목적을 이루는 데에도, 우리들이 부닥치는 많은 일들을 해결하는 데에도 왕도는 없는 것 같다. 차근차근 관계된 사람을 참여시키면서, 또는 관계된 자원을 모아가며 목표를 향해 성실하고 집요하게 단계를 밟아가야만 하는 것이다!

2006-08-07

Trip to Jeju Island

I had an unforgettable trip to Jeju Island on August 2nd through August 4th with my family: Dad, mom, Doo-shik(younger brother), and Jung-shik (elder brother) and his wife, Minhee. We stayed at a beatiful house for two nights with the ocean view and visited various places including Halim botanical garden, Cheonjiyeon waterfall, U-do, Sanbang-san, and so on.


Dad wearing a straw hat in Halim Botanical Garden, Jeju | Singing Greg with the playing statues | Dooshik spreading out his arm in front of Jesus statue | Mom on the swing | Jungshik and his wife with the Gwanbang Mountain as the background | My family (except me) at the Miniature Theme Park. Dooshik, Jungshik, Minhee (Andrew's wife), Dad, and Mom from the left | Dooshik and Greg riding a horse

2006-08-01

밤의 적막

낮과 밤 중에 어떤 것을 더 좋아하느냐고 묻는다면,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라는 질문만큼 대답하기 어렵다. 요즘 밤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어렸을 때에 몇 번의 이사를 다니면서 기억에 남는 집이 두 곳이다. 하나는 마당과 화단과 우물이 있었던 산수2동 한옥집, 다른 하나는 마당은 넓지 않지만 무등산 밑에 있어서 산에 놀러가기 쉬웠던 산수3동 양옥집. 5분만 나가면 초등학교가 나온다. 그리고 한겨울 운동장에서 별을 관찰한다고 싸구려 망원경을 들고 나와 추위에 떨며 하늘을 쳐다봤다. 그래도 그게 가능했던 것은 그만큼 밤이 어두웠기 때문이다.

얼마전까지 살았던 방배동 집에서 조금 걸어나가면 조그마한 뒷산이 나오고, 굳이 산으로 가지 않더라도, 밤에 서늘한 바람에 날려 들어오는 풀냄새와 꽃냄새를 따라 걸을 수 있는 호젓한 산책길이 있었다. 그러다가 다리가 좀 아프면 그냥 길가에 앉아 아무 생각 없이 쉬거나, 벤치에 앉아 그냥 어두운 산, 깊고 어두운 하늘을 바라본다.

오산으로 이사오고 나서 한 가지 확실하게 나빠진 것은 밤이 너무 밝아졌다는 것이다. 방에 불을 꺼도 주변에서 들어오는 형형색색의 불빛이 너무 밝아 눈가리개를 하고 잔다. 나는 한낮의 밝은 햇빛을 좋아하는만큼, 한밤중에 진한 어두움도 좋아한다. 그 진한 어두움에 잠겼을 때에만 낮의 피곤함이 가시고, 시각적인 자극에 묻혀 들리지 않던 풀벌레 소리가 들리고, 몸도 마음도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완전하진 않지만 시각적인 현란함에서 잠시 벗어나 주위의 소리에 귀기울일 수 있는 나만의 장소를 찾았다. 물론 벌써 앞반사판이 깨지는 상처를 입은 자전거 덕분에...^^

2006-07-25

깜박이는 것들은 가라!

우리 나라 웹 페이지들에서만 발견되는 좋지 않은 특징을 몇 가지 들어보라면 뭐가 있을까? 나는 여기 저기서 난무하는 깜박임과 움직임, 잘 보이지도, 예쁘지도 않은 흐릿한 텍스트, 플래시 메뉴 정도를 들고 싶다. 이런 것들이 정부, 국가 기관, 비영리 기관, 일반 기업, 포털, 대학 등을 가리지 않고 총체적으로 악명높은 한국적인 웹을 두드러지게 만드는 요소인 것 같다. 그 중에서 깜박임과 움직임의 문제는 W3C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서 중요도 1로 다룬 상당히 심각한 것인데, 국내에서는 접근성을 고려해 개편을 했다는 웹 페이지들도 깜박임과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만큼은 무한정의 관대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왜 서구의 웹 페이지들이 깜박임이나 움직임을 쓰지 말라고 지침을 만들었을까? (깜박임을 제한하는 W3C 지침, 미국 재활법 508조 규정 (h)와 (k), HP의 지침, IBM의 지침, BBC 지침)



  • 1초에 약 2회에서 59회 사이의 깜박임에 노출되는 것은 일부 사람들에게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 심각한 것은 1초에 약 20회 내외의 깜박임이다.

  • 움직이는 메뉴나 텍스트, 그림을 선택하는 것은 뇌병변 장애가 있거나, 마우스 사용이 서툰 초보 사용자, 노인, 키보드 사용자가 콘텐츠에 접근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제한된 시간 내에 사용자한테 무슨 동작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사용자를 전혀 배려하지 않는 제작자의 오만이다.

  • 텍스트나 그림이 움직이거나 깜박임을 유지하기 위해, 해당 영역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경우, 시각 장애인용 스크린 리더는 해당 영역만 반복적으로 읽어주면서 다른 영역으로 가지 못하는 현상이 생긴다.

  • 난독증이나 인지 장애가 있는 사람들, 글을 읽는 것이 서툰 외국인들은 빠르게 변하는 그림과 텍스트를 이해하기가 훨씬 어렵다.

  • 화면 확대기를 쓰는 사람들은 화면의 좁은 부분을 확대해서 봐야 하는데, 좁은 부분만 봐서는 깜박이거나 변해가는 내용을 이해할 수 없다. 확대할 영역을 이동해가면서 본다고 하더라도 이미 시간이 지나면서 내용이 바뀌어버렸으므로 이해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 첫 화면에 불필요한 플래시나 애니메이션을 넣음으로써 페이지 로딩 속도가 현저하게 늘어난다. 나는 펜티엄 3, 450Mhz와 PCI 방식의 16MB짜리 구형 S3 그래픽 카드, 그리고 리눅스(페도라 코어)와 오페라를 사용한다. 이 환경에서 첫 화면과 메뉴를 플래시로 도배한 국내 홈페이지들을 보거나 탐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내와 자비심, 평정심이 필요하다.

  • 화면 여러 군데에서 깜박임이 나타나게 되면, 사용자는 어디에 주목하고 시선을 둬야 할 지 혼란스럽다. 메뉴부터 시작해서 공지사항, 링크, 광고 모든 것이 깜박이니 도대체 뭘 주목하라는 것인지...

  • 화면이 온통 움직이는 사이트들은 (실험해보지는 않았지만) 어쩌면 사람들에게 덜 인상적이고 더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다. 내용과는 별 상관도 없는데 메뉴를 치장하느라고 무겁고 느린 플래시를 덕지덕지 붙여놓은 사이트들은 단 한 장의 강렬한 그래픽 이미지로 사이트 전체의 느낌과 메시지를 나타낸 사이트에 비해 인간에게나 기계에게나 처리해야 할 정보량은 많고, 그 사이트를 기억하게 만드는 특징점은 줄어들 수 있다.

  • 요즘에 잘 쓰이지 않지만 텍스트를 깜박이거나 움직이게 하는 <marquee>와 <blink>는 HTML 표준에 없는 것들이다. 모든 웹 표시장치들이 그것을 지원한다고 보장할 수 없다.


깜박임이나 움직임은 필요한 곳에 써야 한다. 왜 첫 화면부터 사용자는 원하지도 않았는데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지루하게 봐야 하는가? 깜박임과 움직임이 자주 쓰이는 곳들을 짚어보았다.



움직이는 뉴스
우리 나라 정부 사이트들은 국정 브리핑 자료나 뉴스를 나타내기 위해 좁디 좁은 화면에 텍스트들이 위로 흘러가거나 좌우로 흘러다닌다. 길거리 광고도 아니고 이게 무슨 짓인가? 그렇게 흘러가는 것 보면서 내가 원하는 것 나오면 잽싸게 마우스로 낚아채라고 마우스 훈련 시키는 것인가? 이런 경우는 그냥 화면을 넓게 쓰고 보여주고 싶은 것을 움직이지 말고 다 보여주면 된다. 그래도 좁다고? 그러면 가장 최신 것, 또는 가장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주고 나머지는 [전체 보기]를 눌러서 보도록 하면 된다.

첫 화면 플래시
정말 나쁜 추세인데 우리 나라 웹 페이지들이 첫 화면에 플래시 애니메이션, 광고를 넣는 것도 모자라 메뉴를 죄다 플래시로 만들어가고 있다. 플래시 메뉴도 점잖게 나오는 것이 아니고 온갖 불필요한 애니메이션을 다 집어넣어 만들고 있다. 선택하지 않은 애니메이션은 없어져야 한다. 정말 강조해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 우리 회사/우리 기관이 방문자에게 호소하고 싶은 구호를 보여주려면 정말 중요한 것 하나를 간결하게 골라서 정적으로 보여주면 된다. 사용자들에게 호소력있게 메시지를 만들고 내용을 담고, 시각적으로 배치하는 것은 기획자의 노력의 산물이다. 그런 고민을 하지 않고, 무작정 이것 저것 번갈아가면서 다 보여주려고 하는 것은 기획자의 게으름이 산물이다. 게다가 굳이 그런 구호를 글자가 춤을 추면서 나오도록 하고, 새가 날아다니고, 구름이 흘러가면서 보여주어야 겨우 사용자들의 시선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기획자의 게으름과 유치함을 드러내는 것일 뿐이다.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품 사용법을 소개하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쓰겠다고 하면 대찬성이다. 사용자가 제품 소개 플래시 애니메이션 보기와 같은 링크를 선택한다는 전제하에. 그리고 플래시를 볼 수 없는 사용자나 플래시보다 더 빨리 내용을 보고 싶은 사람, 내용을 인쇄해서 보고 싶은 사람을 위해 텍스트로 보기, PDF로 보기와 같은 대안적인 링크도 제공해주어야 한다.

플래시 비디오
요즈음은 플래시가 애니메이션 영역에서 벗어나 스트리밍 비디오로 많이 쓰이고 있다. 사실 반가운 일이다. 기존의 윈도우즈 미디어는 윈도우즈에서만 볼 수 있고, 퀵타임은 리눅스에서 볼 수 없고, 리얼 미디어는 리얼 플레이어 다운로드 받기가 너무 어렵다. 반면에 플래시 비디오는 플래시 플러그인을 깔아야 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OS와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으니 일단 훨씬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오디오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이나, 사운드 카드가 없는 사용자, 성질이 급해 텍스트만 빨리빨리 보면서 넘어가고 싶은 사용자, 외국인 등을 위해 캡션을 넣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재생, 멈춤,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음량 조절, 소거, 속도 조절, 화면 크기 조절, 캡션 표시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광고
국내에서 최근에 유행하는 모든 형태의 플래시 광고는 모든 사람에게 짜증을 유발하는 공공의 적인 것 같다. 게다가 화면의 주요한 내용을 가리면서 등장하는 플래시 광고는 아마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싫어할 것이다.


플래시나 깜박임을 쓰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강조하고자 하는 메시지만 간결하게 그래픽으로 나타낸 외국 사이트들은 매우 많다. 그리고 그와 대조적인 한국의 사이트들도 너무 많다. 2006년 7월 24일 현재 시점에서. 언제 바뀔지 모르므로...


  • 메인 이미지 하나로 시의적절한 key message를 전달하는 General Electric사의 홈페이지, 이와는 대조적인 한국의 삼성전자엘지전자

  • 전달하고자 하는 캠페인의 주요 포인트(What CEO wants. How the CIO delivers it.)를 아주 간단한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낸 IBM사의 홈페이지

  • 대학 캠퍼스의 자유로운 풍경을 한 장의 사진에 담아내고 첫 페이지에서부터 RSS에 대한 링크가 눈에 띄는 가보고 싶게 만드는 차분한 옥스포드 대학교 홈페이지

  • 기억에 남는 이미지는 거의 없는데, 메뉴를 선택하는데에 엄청나게 복잡한 플래시를 쓴 이유를 아무리 생각해도 알 수가 없는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 나는 정말 자동차에 대해 알아보려고 방문했는데 방문한 고객에게 총체적인 짜증을 유발하며 고객을 내쫓는 한국의 GM대우 홈페이지

  • 같은 GM인데도 한국과 미국의 홈페이지 문화 차이를 너무 극명하게 보여주는 미국의 GM사 홈페이지. 원하는 차에 대한 정보를 어떤 곳에서 더 빨리, 더 쉽게,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을까?

  • 비슷한 성격이지만 사이트 모든 곳이 다 깜박이고, 움직이고, 마우스 갖다 대면 요동을 치는 한국의 옥션과 오로지 가운데 작은 광고 하나만 약간 움직이다 마는 미국의 eBay

  • 한국에서 웹 접근성 캠페인을 벌이지만 깜박임, 플래시 메뉴, 흐르는 텍스트까지 스스로 만든 접근성 규칙을 지키지 않는 한국 정보문화 진흥원과 미국 유타 주립 대학 내에서 접근성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스스로 사이트를 매우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놓은 비영리 기관인 WebAIM

한국은 초고속 인터넷이 발달해서, 또는 한국 사용자들의 미적인 수준이 높아서 메뉴에서부터 플래시를 써야만 한다고 제발 우기지 말았으면 좋겠다. 정말 사용자의 주의를 끌고 싶고 멋지게 만들고 싶으면 무조건 깜박임을 쓸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 특성을 연구해서, 정교한 문구와 메시지에 걸맞는 인상적인 이미지, 그리고 내용물의 적절한 선택과 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 머리를 싸매고 연구해야 한다. 아무리 초초고속 인터넷이 발달한다고 하더라도 예측 불허의 움직임과 깜박임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장애인에게 좌절을 준다는 것을 결코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2006-07-21

Lebanese feel the world has left them to be slaughtered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관련된 충격적인 사진을 보았다. 미국의 든든한 지원에 힘입어 이스라엘은 마음껏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데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UN은 전쟁을 멈추지 못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레바논의 시민들은 세계가 자신들이 학살당하도록 내버려두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는데...

From Israel to Lebanon
Save the Lebanese Civilians Petition
We feel the world has left us to be slaughtered.

2006-06-19

투명 피아노 (transparent piano)

투명 피아노

친구 결혼식 갔다가 부산의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본 투명 피아노. 소리는 어떨까?

2006-06-17

자동차 대신 자전거, TV 대신 라디오

자전거를 사고 나서 며칠이 지났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삶이 더 상쾌해졌다. 주말에는 자전거를 몰고 시내 구석구석을 돌아다녔고, 그러다가 은계동 성당을 찾게 되어 주일 미사에 갈 수 있게 되었다. 밤에는 자전거를 몰고 시청앞을 빙글빙글 돌다가 야외에 시민들을 위해 놓여진 운동 기구를 발견하고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며 재미삼아 모든 운동 기구를 한 번씩 다 해보았다. 자전거가 있어서 움직이는 반경이 더 커졌다. 물론 자동차가 있었다면 비교할 수 없을만큼 더 움직이는 무대가 넓어졌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전거로 움직이는 것이 훨씬 평화롭게 느껴진다. 다행히 요즘 저녁은 아주 선선해서 자전거 타기에 그만이다. 얼마나 계속될지 모르겠지만 자전거로 인한 삶의 작은 변화가 즐겁게 느껴진다.

서울에서 이사오면서 두 가지 없어진 것이 있다. 하나는 집전화, 하나는 TV이다. 휴대전화보단 집전화가 여러 가지 면에서 좋은데, 회사원으로 휴대전화를 없앨 수는 없다. 그래서 그냥 휴대전화로 버텨보기로 했다. 그랬더니 역시 지난달 휴대전화 요금이 확 올랐다. 음... 어떤게 더 나은지 아직 잘 모르겠다. TV 없이 지낸지는 이제 한 달 반 정도 되어간다. 처음에는 좀 심심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쾌적하게 느껴진다.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아주 "나이스"이다. 한 가지 적신호는 TV 대신 인터넷과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졌다는 것이다. 아무튼 아침에 라디오를 들으며 출근 준비를 하고, 저녁에 라디오의 음악을 들으며 생각에 잠긴다. 이것이 아침에 TV로 세상의 안 좋은 소식 찡그리며 보는 것과 저녁에 멍하게 TV 채널을 끝없이 돌리는 것보다 훨씬 낭만적이고 분위기 있다.

2006-06-14

축구 보시는데 죄송합니다...

어제 회사에서 당직이었다. 당직은 밤늦게까지 헬프데스크에서 교육생들의 전화를 받는다. 재미있는 전화가 걸려왔다. "축구 보는데 죄송합니다만..."으로 시작하는 전화였다. 그런데 나는 축구를 보지 않고 있었다. "축구 안 보는데요."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그냥 넘어갔다. 왜 당연히 누구나 축구를 볼 것이라고 생각할까? 나는 정말로 솔직히 말하면 사실 월드컵에 별 관심이 없다. 그냥 정 할 일이 없어서 가끔씩 보면 "나름대로 재미있네, 뭐" 정도일 뿐이다. 그런데 모든 언론과 모든 사람들과 모든 장사하는 사람들이 다 나서서 하루 쥉일 "대~한민국" 외치기 때문에 축구가 더 싫어지고 있다.

다행인 것과 불행인 것이 있다. 다행인 것은 우리집엔 TV가 없기 때문에 TV 채널 돌려가면서 "젠장, 온통 월드컵 이야기밖에 없구만!" 하고 좌절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불행인 것은 우리집이 시내 중심가 한 가운데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시청 앞에 모여서 밤늦게까지 응원하는 소리에 시달리느니 나도 어쩔 수 없이 그냥 집앞에 나가서 "차라리 축구나 보는 게 낫지"라는 선택을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축구도 삶의 일부이지만, 축구가 아닌 재미있는, 감동적인, 슬픈, 놀라운, 중요하고 심각한 삶에 대한 이야기거리도 많다. 그런데 왜 그런 다양함을 즐기기가 이렇게 힘든가...

2006-06-11

그래도 펌/펌질에 대해 부정적인 이유

펌로그는 무조건 잘못된 것이다?라는 재미있는 글을 읽고서 새삼 다시 한 번 펌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이상하게 우리 나라에 유독 많은 것이 바로 펌, 또는 펌질, 또는 스크랩이라고 불리면서 원본 글을 복사해다가 자신의 페이지에 붙이는 행위입니다. 이에 대해 쿠키님은 원본 글을 쓴 사람이 영구적이고 안정적인 소스로서 글이 가치를 갖도록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셨고, rantro님은 펌로그를 만드는 사람이 관련글을 찾아서 한 곳에서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제 2의 창작이라 할만큼 가치있는 일이라는 의견을 내셨습니다. 그리고 주된 논쟁은 저작권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두 분의 주장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저는 그래도 펌 행위에 대해 비교적 부정적입니다. 예전에는 저 개인도 펌질을 별 생각없이 했었지만 요즘에는 웬만하면 원본에 링크를 걸고 있습니다.

논쟁에서도 나왔지만, 인터넷에서 자기가 원하는 목표에 가장 근접하는 정보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검색 엔진의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아직 웹에 있는 정보들이 논리적으로 잘 정리되어 쌓여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즉, 아직까지 웹에 있는 정보들은 쓰레기의 바다라는 것이고, 그런 쓰레기 속에서도 비교적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최대한 유사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엄청난 기술을 제공하는 곳이 바로 구글과 야후와 같은 검색 엔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그런 검색 엔진이 도대체 그 정보, 또는 문서가 가장 적합할 것이라고 어떻게 판단을 할까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한 기술과 기법들을 사용하겠지만 단순화해서 생각해보면 아마 다음과 같은 것들도 포함될 것입니다.


  • 제목이 적절한 것
  • 제목이 불분명하다면 내용이 적절한 것
  • 다른 곳에서 해당 문서로 링크가 많이 걸린 것
  • 해당 문서의 조회수가 높은 것
  • 해당 문서에 사용자들의 답변과 의견이 많이 올라온 것

원본 문서가 가치있는 문서라면, 그것은 다른 곳에서 많이 링크가 걸릴 것이고, 또 많은 사람들이 들어올 것입니다. 즉, 더 많은 링크가 걸리거나 더 조회수가 많은 문서일수록 해당 문서는 우리가 찾고자 하는 적합한 문서이거나 또는 가치있는 문서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제목, 내용, 키워드 같은 것들은 기계도 이해할 수 있을만한 정해진 규칙이 아직까지 없고 사용자가 마음대로 작성할 수 있게 되어있어서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신뢰성을 부분적으로 메꾸어주는 것이 바로 외부 문서에서 해당 문서로 걸린 링크의 수, 조회수와 같은 다른 사용자들의 참여도와 인기도(?)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키워드로 인터넷을 검색했을 때에 다른 문서보다 상위에 노출되었다면 아마도 제목, 내용, 링크의 수, 인기도, 조회수 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하다고 기계가 판단했기 때문이겠지요.

그런데 원본 문서에 링크를 걸지 않고 그냥 내용을 복사해다가 새로운 사이트에 문서를 만들면, 원본 문서에 축적될 수 있는 가중치는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즉, 검색을 했을 때에 그 원본 문서가 정말 정확한 내용을 담은 문서라면 최상위에 노출될 것인데, 복사본이 여기 저기에 있기 때문에 원본 문서의 링크수와 조회수는 떨어지게 되고, 검색 엔진은 원본 문서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을 실제보다 더 낮게 판단하게 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특정한 검색 요청에 대해 원하는 문서가 아닌 다른 엉뚱한 문서를 결과로 얻게 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원본 문서가 약간의 모양만 달리 해서 여기 저기 여러 군데에 있다 보니 검색 결과는 상당히 여러 개가 나왔는데 다 똑같은 내용을 펌질을 통해 복사한 결과라는 것을 알게되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서 검색의 적합성과 정확성, 그리고 신속성이 펌질로 인해 계속 떨어지는 것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인기있는 네이버에서 검색을 해보면,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블로그라는 것들이 주로 이런 펌질로 이루어지다보니 똑같은 문서인데도 제목만 살짝 다르게 되어 마치 여러 개의 검색 결과인 것처럼 노출이 됩니다. 그래서 혹시나 새로운 내용을 담고 있나 하고 여러 검색 결과를 눌러봐도 사실은 똑같은 내용의 중복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말이 쓸데없이 길어졌네요. 결론적으로 아직까지 완벽하지 않은 인터넷 세계에서 외부에서의 링크수와 문서의 조회수는 그 문서의 중요성과 적합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인데, 펌질을 해버리면 그런 기준들이 엉망이 되어버린다는 것입니다. 결국 안그래도 어지러운 인터넷 세상에서 펌질로 인해 똑같은 글이 여기저기 난무하게 되면 목적에 부합한 원하는 문서를 찾기가 더 힘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

2006-06-08

자전거를 사다.

알톤 엘가토 점프 16 자전거 펼친 모습 | 알톤 엘가토 점프 16 자전거 접은 모습

오래 전부터 살까 말까 고민하다가가 10만원대 초반 가격대에서 크기가 작고, 가볍고, 보관이 편하고, 접을 수 있고, 안장이 편한 것을 찾기 위해 인터넷을 많이 뒤져보았다. 처음에는 자전거에 대한 상식이 없어서 설명을 봐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었는데, 이제 조금은 알 것 같다. 그리고 결정한 제품이 알톤스포츠에서 나온 알톤 엘가토 16 점프이다. 여러 가지 할인 혜택과 쿠폰을 총동원하여 최고 소비자가가 225,000원까지 하는 제품인데 107,980원에 구입했다! 택배 아저씨가 낮에 배달을 해서 관리실에 맡겨달라고 하고, 저녁 늦게야 자전거를 볼 수 있었다. 처음 조립할 때 약간 헤매긴 했지만 기능은 대만족이다. 파란색 작은 바퀴도 아주 예쁘고, 스프링 안장에 앞뒤 쇼바가 있어서 승차감도 참 좋다. 그러나 접어서 지하철 타기에는 덩치가 만만치 않고, 접힌 상태에서 운반하는 것도 생각보다 어려운 것 같다. 그러나 그 점은 다른 자전거도 비슷할 것이다.

2006-06-06

W3C의 semantic data extractor

오래간만에 페이지의 문법 검사(markup validation check)를 하다가 tip으로 semantic data extractor(시맨틱/의미적 데이터 추출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주 오래 전에 만들어진 것인데 왜 아직까지 몰랐을까 생각이 들었다. HTML 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하면 페이지의 각종 메타 데이터(제목, 저자, 요약, 연락처, 저작권, 언어, HTML Profile 등), 관계된 자원(도움말, 다음/이전 문서 등 관계된 다른 페이지, 다른 언어 페이지, RSS 피드용 페이지, 북마크가 가능한 링크 등), 정의된 용어들, 인용된 부분, 그리고 페이지의 논리적 구조 등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많은 데이터들이 제대로 추출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페이지가 의미적으로 잘 만들어졌다는 뜻이고, 그것은 곧 검색 엔진에 제대로 노출된 확률이 크고, 기계적인 처리가 용이하다는 뜻이며, 나아가 의미적인 요소에 크게 의존하는 장애인용 보조 기술을 써서도 페이지를 잘 볼 수 있다고 해도 될 것 같다.

웹 접근성 쪽 관계자들과 가끔 만나 이야기를 하다 보면, 의외로 접근성 기술 지침에 나온 문자 그대로의 내용에 매달린 나머지, 진짜 중요한 의미 위주의 코딩(semantic markup)에 대해서 별 생각이 없는 경우를 많이 보아왔다. 그러나 장애인의 접근성과 향후 웹의 내용이 제대로 된 데이터가 되어 기계적인 처리가 원활하게 되는 것은 거의 동격이라고 해도 될 만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에 W3C의 semantic data extractor 말고도 문서의 의미와 논리적인 구조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몇 가지가 더 있다. 예를 들면, 오페라와 모질라, 아마야 브라우저에서는 link rel을 분석해서 표시해주거나 아예 문서의 구조적인 요소(element)들만 따로 추출해서 보여주는 기능이 있고, 파이어폭스용 확장 중에 웹 개발자용 도구모음(web developer toolbar)이나, 익스플로러용으로 나온 웹 접근성 도구모음(web accessibility toolbar)에서도 문서의 구조적인 정보를 정리해서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 하지만 semantic data extractor가 보여주는 내용은 이들과는 달리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상당히 많은 정보를 보여주는 것 같다. 이런 툴(tool)들이 많이 퍼졌으면 좋겠다.

2006-06-05

웹 디자인할 때 10가지 나쁜 습관

스위스의 웹 디자인 잡지인 CAP&Design 2006년 4월호에 실렸고, 456 Berea Street에서 요약한 웹 디자인할 때 10가지 아주 나쁜 습관(Ten deadly sins of web design)이라는 기사에 나온 10가지 사항을 인용해본다. 특히 우리 나라의 웹 환경에서 디자이너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것 같다.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온라인 기사에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넘겨 짚은 개인 의견이다.



Not following basic typographic rules (기본적인 글꼴 사용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것)

흔히 발견되는 문제는 아마도 글꼴을 pt나 px 등의 단위를 써서 고정된 크기로 디자인하는 것, 그리고 serif, sans-serif, monospace 등 generic font를 명시하지 않고 그냥 굴림 등 특정한 시스템에서만 나오는 글꼴만 지정하는 것, 가변폭을 써야 할 곳에 고정폭 글꼴을 쓰거나 그 반대의 경우, 지나치게 많은 글꼴을 쓰는 경우, 텍스트로 표현 가능한 내용을 쓸데없이 그래픽으로 그려 넣는 경우 등이 아닐까 싶다.

Being too creative with navigation (지나치게 독특한 네비게이션 방법을 사용하는 것)

우리 나라 사이트들의 정말 심각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메뉴를 무조건 플래시로 만들어야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는 것에 플래시의 접근성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지막지한 마우스 포인팅 훈련을 시키는 메뉴들. 최근에 나이드신 아버지에게 컴퓨터를 가르쳐드리면서 다시 깨달았다. 마우스의 정확한 포인팅이 초보자들에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마우스 포인팅 훈련을 강요하는 춤추는 플래시 메뉴를 나는 정말 싫어한다. 게다가 플래시 메뉴의 일관성도 없다. HTML의 하이퍼링크의 동작에 대해서는 비교적 예측이 가능하지만 플래시는 제작자가 마음대로 만들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 동작하는지 매 사이트마다 예측하기 어렵다.

Creating a cluttered navigation system (혼란스러운 네비게이션 체제를 만드는 것)

네비게이션이 무지하게 복잡한 경우이다. 나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그런 경우를 많이 본다. 이렇게 사용성을 고려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 학습자들은 다음 단원으로 넘어가는 것과, 다음 절로 넘어가는 것,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항상 헷깔려한다.

Making sure the site requires certain technology to work (특별한 기술을 써야지만 사이트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

우리 나라엔 워낙 독특한 사이트들이 많아서 두 말한 필요가 없다. 특히 문제되는 것들은 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정부 산하 기관, 은행, 대학, 사이버대학, 그리고 심지어 접근성을 고려해서 따로 만든 시각 장애인용 전용 페이지들이 모조리 Active X 깔라고 협박하는 현실.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니까.

Thinking that accessibility is only about blind people (접근성은 시각 장애인만 고려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가장 극적으로 접근성의 문제가 드러나는 장애인이 시각 장애인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인 것처럼 시각 장애인용 페이지를 요상하게 따로 만들어놓고, 땡이다라고 버티는 정부 사이트들은 정말 문제이다. 뇌병변 장애인, 청각 장애인, 외국인, 컴퓨터를 잘 모르는 초심자, 노인, 저속 사용자 등 고려해야 할 계층은 많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용 사이트라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모두가 쉽게 볼 수 있는 사이트를 만들어야지.

Ignoring web standards (웹 표준을 지키지 않는 것)

다행히 최근에 웹 표준을 지킨 또는 지키려는 사이트가 소수이지만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중적인 사이트들은 아직 한참 갈길이 멀다. 아직도 웹 표준이라는 것이 있기나 한 것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더 심각한 것은 이상한 reference들이 표준인 것처럼 둔갑해 돌아다니고 그것이 코드 베끼기로 여기저기 퍼진다는 것이다.

Not keeping search engines in mind from the start (처음에 검색 엔진을 염두해두지 않고 제작하는 것)

화려한 사이트일 수록 기초 공사가 부실한 경우를 많이 봤다. 사이트 전체를 온통 프레임으로 만들어놔서 검색 엔진이 세부 페이지를 검색하지 못하거나 검색해도 소용없게 만드는 행위가 가장 많다. 두 번째는 기초중에 기초인 페이지 제목을 엉망으로 달아놓은 경우, 또는 엽기적으로 페이지 제목 부분에 자바스크립트를 써서 제목이 계속 바뀌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세 번째는 페이지 내부 구조, 또는 여러 페이지들 사이의 구조가 전혀 드러나지 않는 경우이다.

Basing the site structure on your organisation structure (회사의 조직도에 따라 사이트의 구조를 만드는 것)

잘은 모르겠지만 아마 공급자의 입장에서 사이트를 논리적으로 구성해놓은 경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편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Using grey text on grey background (회색 배경에 회색 텍스트를 사용하는 것)

이것 의외로 심각한 문제이다. 최근에 개정된 Web Content Accessibility 2.0 Working Draft에도 텍스트의 색 대비에 대해서 아주 구체적인 수치까지 언급이 되어있다. 웹 접근성을 고려한다고 하는 개발자들도 색상 대비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을 뿐 아니라, 색상 대비가 높은 것은 디자인이 촌스럽다며 일부러 흔히 말하는 파스텔톤의 흐릿한 텍스트를 본문 글꼴로 삼는 경우가 아주 많다. 약시자나 노인들은 글꼴 크기와 색상 대비에 매우 민감하다. 우리 회사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의 사이트를 화면 캡쳐해서 이러닝 과정으로 제작하거나 매뉴얼을 만드려다 보니 화면이 흐리게 나와서 상당히 애먹은 적이 있었다. 온라인으로 luminosity의 대비를 측정해주는 사이트에서 최소한 5:1 이상의 대비가 나오게 하라고 되어있다. 또 한 가지 기술적으로 주의할 것은 글꼴의 전경색을 지정했으면 반드시 배경색도 지정해주어야 약시자들이 글꼴색만 바꾸더라도 글을 못 읽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Skipping the feasibility study (타당성 조사를 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

학습 과정을 만들 때에는 보통 학습자 요구 분석이라는 것을 한다. 아마 웹 사이트를 제작할 때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주 고객층이 누구이고, 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이고, 그것을 우리가 어떻게 만족시켜줄 지, 현실적으로 가능한 서비스인지 점검해보고, 제작에 반영해야 한다. 기사 원본이 없어서 어떤 내용으로 이 항목을 썼는지는 잘 모르겠다. 내가 느끼는 것은 이러닝 서비스에서 항상 성인 학습자들이 원하지도 않거나, 거의 참여하지도 않을 과도한 배경 이야기와 어설픈 상호 작용, 유치한 애니메이션과 스토리가 우리 나라 콘텐츠에 너무 많다는 것이다. 바쁜 성인들(또는 직장인들)에게 이런 콘텐츠들이 짜증만 더해주지는 않는지 궁금하다.

2006-05-31

근거 없는 믿음

택시 운전사. 글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어요.

오늘 택시를 타고 용인에 갈 일이 있었다. 가는 길과 오는 길에 택시를 타면서, 그리고 용인에서 사람들을 만나면서, 왜 현 정부가 그렇게 국민들에게 인기가 없는지 알 것 같았다. 아주 인상좋은 택시 기사님께서 그러셨다. 내가 엘지전자 다닌다고 하니까, 왜 정부가 기업이 열심히 일하도록 해줘야하는데 잘 나가는 대기업들에게 시비를 걸어 정권마다 하나씩 죽이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 죽이는 이유가 정치 자금을 주지 않으니까 괘씸해서 죽이는 것이라고 하셨다. 이런 류의 근거 없는 잘못된 믿음에 기반한 이야기는 오늘 모인 사람들 사이에서도 듣게 되었다. 대우가 망한 이유가 김우중 회장이 너무 나대니까 전직 대통령의 눈밖에 나서 해외의 자금줄을 정부가 다 막아버렸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우가 망한 것이고, 김우중은 도망칠 수 밖에 없었다고 너무도 당당하게 이야기하였다. 또 국가적으로 밀어줘도 시원찮을 잘 나가는 황우석에게 민주노동당이 앞장서서 시비를 걸었기 때문에 민주노동당이 밉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우리 나라에는 군사 독재 시절 언론의 자유가 전혀 없을 때에 언론은 정권이 선전하는 말만 받아적어왔던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공식화되어 유포된 담론과 그 이면에 사람들이 진정으로 사실이라고 믿는 이야기는 전혀 다른 것인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광주에서 공산당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공식 발표와 광주 사람들이 현장에서 보고, 듣고, 느꼈던 5.18 당시, 시민을 지켜야 하는 군대가 시민들을 무자비하게 살육하던 광주의 모습은 전혀 다른 것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공식적으로 회자되는 이야기 이면에는 분명히 무언가 보이지 않는 음모와 배후가 있을 것이라고 믿도록 훈련받아왔다.

그러나 최소한 지금의 정부는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서 국민이 직접 선택한 정부이다. 그리고 완전하지는 않지만 점점 더 사회는 투명해지고, 부분적으로 민주화되어간다. 과거에 정부의 눈치를 보며 정치 헌금을 갖다 바쳤던 재벌 기업들도 이제는 투명해져가는 사회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고 구태의연하고 구린내나는 방법으로 비즈니스를 하기가 점점 힘들어지는 시기이다. 그리고 불행히도 그런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고,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과거의 구습을 고집하다가 대우, 현대 자동차, 그리고 황우석은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누가 더 큰 권력을 쥐고 있었는가? 그것은 바로, 대우, 현대, 황우석이었지 결코 검찰, 대통령이 아니었다. 과거에 화려한 경력을 가졌거나 아직도 화려해보이는 한국 사회의 권력과 우상들에 감추어진 비리와 부정, 허구가 이제 무너지면서 우리 사회는 투명하고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현재 정권의 음모와 조작에 의한 것이라는 황당무개한 믿음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현재 집권당이 국민들에게 그렇게도 인기가 없는 이유가 고작 이런 잘못된 믿음에 근거한 것이었는가? 물론 집권당은 국민들이 탄핵 정국 이후에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만들어줬지만 개혁 열망을 저버리고 국가 보안법 폐지도 흐지부지하고, 사학법도 한나라당과 야합하려 들고, 부동산 투기도 잡지 못했고, 비정규직 문제도 더 악화시켰고, 미국과의 자유무역지역(FTA) 협정에서도 죽을 써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람들이 한나라당에 열광하는 더 근본적인 이유는, 아마도 다른 데 있는 것 같다. 우리가 지금까지 우리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고 굳건히 믿었던 우상들이 무너지면서 그 우상을 무너뜨린 주범 내지 배후 조종자가 현 정부이기 때문에 현 정부는 공공의 적이라는 것이다.

내일이면 지방 자치단체장을 뽑는 선거날이다. 나는 어차피 한나라당이나 열린우리당이나 민주당을 찍을 일은 없지만, 끊이지 않는 부정 부패, 살육과 고문, 군부 쿠데타, 국민 탄압의 과거 경력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한데다 진정으로 반성하고 회개하지 않은 한나라당이 국민들에게 대안으로 선택되는 것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그런 선택의 배후에 근거없는 "유비" 통신에 의한 추측과 본능적인 거부감이 자리잡고 있다면...

2006-05-30

악성 게시물에 당하다.

홈페이지 첫 페이지(http://gregshin.pe.kr)에 누군가 악성 게시물을 올려놓아서 홈페이지가 비아그라 비슷한 성인 약 광고로 자동 전환된 채로 얼마간 방치되었다. 이런... 처음엔 메타 리디렉션을 썼나 하고 브라우저의 메타 리디렉션 기능을 꺼도 계속 페이지가 약 광고로 연결되는 것이었다. 혹시 index 페이지를 해킹했나 하고, 인덱스 소스를 살펴봤는데 아무런 내용을 발견할 수 없었다. 문제는 게시물에 html 마크업 사용을 그냥 허용해놓은 것이었는데 이것을 악용해서 embed 요소를 이용해 광고 페이지를 불러오고 있었다. 아주 옛날 글에 대해 답글 형식으로 올린 것으로 봐서, 기계가 올린 것은 아닌 듯 하고 사람이 올린 것 같다. 최근에 올라온 글이 항상 첫 페이지에 뜬다는 점과 html이 허용된다는 점, 아무나 글을 올릴 수 있게 게시판을 개방했다는 점을 악용해 이런 나쁜 짓을 하다니... 이런 XX같으니라고...

블로그로 옮기고 나서 게시판에 글 쓸 일이 거의 없겠지만 그래도 막아놓지 않았는데, 일단 html 사용을 부분적으로 막았다. 그래도 악성 광고가 올라오면 아예 html 사용을 전면적으로 막아버리고, 그래도 대책이 안 서면, 로그인 사용자만 쓸 수 있게 막아버려야겠다. 흑흑... 비록 손님은 적어도 최대한 열어놓고 아무나 들어와서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게 기본 운영 방침이었는데... 슬프게도 이런 일이 왜 자꾸 생기는 것일까?

호로비츠를 위하여

호로비츠를 위하여 영화 포스터: 엄정화가 연필을 쥐고 피아노를 가르치는 장면이 진짜 피아노 선생님 같다.

퇴근 후 혼자 오산 시네웰 극장에 영화를 보러 갔다. 다빈치 코드나 미션 임파서블과 같은 영화도 있었지만 피아노 영화라는 "호로비츠를 위하여"를 보고 싶었다. 평일이고 별로 흥행하지 못한 영화인데다 작은 도시의 극장이어서인지 영화관엔 채 10명도 안 되는 관객들밖에 없었다. 그래서 아주 한적하고 여유있게 영화에 빠져들 수 있었다. 변두리 피아노 학원 선생님인 지수는 유학을 가지 못한 것에 대한 컴플렉스를 갖고 있다. 그런 그에게 부모를 잃고 세상과 담을 쌓고 지내는 경민이가 나타난다. 지수는 경민이 음악에 대해 숨은 재능을 가진 소년임을 알고 자신의 처지를 바꾸어줄 구세주가 나타난 것으로 기대하고 그를 가르친다. 가르치는 과정에서 귀에 익은 많은 곡들이 나온다. 한 때에는 음악도를 꿈꾸며 피아노를 배우면서 기쁘고, 힘들고, 좌절하고, 지겹고, 행복했던 기억들이 영화 장면과 겹쳐서 지나갔다.

산수국민학교 뒤쪽 피아노 학원에 다니면서 '수도 피아노'와 '삼익 피아노', '영창 피아노' 소리가 참 많이 다르다고 느꼈다. 수도 피아노의 웬지 서민적인 소리와 삼익 피아노의 조금은 절제된 저음부 위주의 소리보다 고음이 맑은 영창 피아노 소리를 개인적으로 좋아했었다. 그리고 왜 그 당시 피아노 선생님은 "도레미파"를 "도레미화"라고 발음했는지 궁금했었다. 예외없이 바이엘, 체르니로 이어지는 따분한 피아노 레슨보다는 광고 음악이나 만화 음악, 그리고 TV와 라디오를 통해 나오는 온갖 종류의 음악을 흉내내고 변형하는 것이 즐거웠기 때문에 또래의 남자 아이들보다 오랬동안 피아노를 배웠던 것 같다.

음악을 하는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다 지수와 같은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을 것 같다. 누구는 유학 갔다 와서 콩쿠르 심사 위원이 되고, 누구는 콩쿠르 나가는 아이의 동네 피아노 선생님이 된다. 그러나 부모를 잃고 세상과 벽을 쌓은 경민의 컴플렉스와 상처는 콩쿠르에 나가서 멋지게 자신의 인생을 빛내줄 것이라고 기대했던 피아노 선생님 지수의 기대를 보기좋게 무너뜨린다. 그리고 찾아오는 할머니의 죽음으로 경민은 갈 곳이 없어지고, 그런 경민을 지수가 키우면서 처음에는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었지만, 음악과 피아노를 매개로 둘은 진정한 친구가 된다.

어쩌면 뻔한 결말이지만 영화를 보면서 몇 번씩이나 울기도 하고, 웃기도 했다. 언제나 큰 소리로 웃으면서 자신의 수줍음을 드러내는 피자 가게 아저씨도 참 매력적이고, 철없는 피아노 선생님 엄정화도 매력적이다. 영화에서도 나왔고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음악에서 재능과 환경과 운이 따라 성공한 소수의 사람들을 바라보며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느끼는 부러움은 참 크다. 그리고 다른 분야와 달리 그런 부러움은 성공한 현 상태에 대한 부러움이라기보다 성공하지 못한 요인이 자신의 재능 부족일 것이라는 내적 귀인을 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아쉬움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이 대미를 장식하고, 음악 자체가 주는 힘과 영화의 스토리가 축적해놓은 벅찬 느낌이 한꺼번에 밀려와 넋을 잃을 정도였다. 오랜만에 본 가슴 따뜻한 영화, 주위에 권하고 싶다.

2006-05-17

고소당한 target.com

UC Berkeley의 한 시각 장애인 대학생이 미국의 온라인 쇼핑 사이트인 target.com을 운영하는 Target Corp.를 장애를 가진 시민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했다는 이유로 미국 장애인법 위반 혐의로 지난 2월 고소했다 (San Francisco Chronicle에 실린 기사, 미국 장애인 권리 옹호연합회에 실린 기사). 시각 장애인이고 UC Berkely 대학교 3학년인 Bruce Sexton Jr.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회사들이 미국내에 130만명에 이르는 시각 장애인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직접 사이트를 방문해보니 우선 각 이미지에 대체 텍스트(alt text)를 주요 메뉴에만 넣고, 나머지는 넣지 않았다. 이것이 고소를 당하게 된 주된 이유였다. 이미지를 끄고 사이트를 탐색해보려고 하니 도통 대체 텍스트가 없어서 사이트 탐색이 불가능하였다. 이것이 시각 장애인들이 사이트를 보는 방법이다. 미국은 재활법 508조가 있어서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접근성은 우리 나라와 비교가 안 될만큼 잘 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의 상업적인 사이트들의 접근성도 도마 위에 오르게 되었다. 이미 IBM, Apple, HP, Microsoft와 같은 IT 업체들은 자신들의 제품에 장애인의 동등한 접근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당히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쇼핑몰 사이트들은 생활에서 활용 빈도가 더 높은데도 불구하고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오늘 확인해보니 eBay는 그나마 Target.com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고, Amazon은 별도의 장애인 및 모바일 사용자용 페이지를 만들어놓았다. 우리 나라 쇼핑몰들은 어떨까? 요즘 잘 나간다는 Gmarket, 그리고 Interpark를 들어가보았다. 예상했던대로 최악이었다. 우리 나라 쇼핑몰들의 특징은 이미지에 대체 텍스트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과도한 깜박거림과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남용, 그리고 Windows의 Internet Explorer가 아니면 아예 쇼핑이고 뭐고 할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에 김기창 교수가 정보통신부에 웹 페이지 국제 표준화를 위한 민원을 제기하였고, 현재 네티즌들의 이름으로 웹 표준을 지키지 않고 특정한 제품에 종속적으로 홈페이지를 만들어 소비자의 선택권을 빼앗고, 정당한 접근 권한을 침해하였으며, WTO 등 국제 규약을 지키지 않은 이유로 정부를 대상으로 소송을 준비중이다. 웹은 그 무엇보다 더 중요한 정보의 원천이고 생활의 도구이다. 다행히 웹은 사용자 특성과 기계의 특성이 아무리 달라도 다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한국의 웹과 미국의 웹이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번에 고소당한 Target.com 사이트 | 이미지를 끄고 본 eBay Amazon의 장애인용 페이지 이미지를 끄고 본 G Market 이미지를 끄고 본 Interpark

2006-05-16

이사

근 8년동안 살았던 방배동 집을 떠나서 지난 5월 5일 오산으로 이사왔다. 방배동 집보다 훨씬 작은 원룸이어서 짐을 어떻게 정리할까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붙박이장이 큰 역할을 해서 생각보다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다. 이사 오게 되면 여러 가지 변동 사항이 생겨서 신경쓸 일이 꽤 있다. 우선 동사무소에 가서 전입 신고를 하고, 기존의 전기, 수도, 가스 요금을 정리/정산하고, 그리고 전화와 인터넷을 해지 신청하고, 여러 곳에 등록된 집주소도 바꿔야 한다. 새로운 집에서는 주변에 있는 쇼핑할 만한 곳, 밥 먹을만한 곳, 세탁소, 미용실, 편의점, 꽃집, 서점, 은행, 버스 노선, 주변 상가 등을 눈에 익혀두어야 한다. 그리고 새 집에 인터넷도 설치했고, 화분도 사두었고, 커튼도 달았다. 유선 전화와 Cable TV를 설치할까 말까 고민하다가 그냥 설치하지 않기로 했다. 휴대폰은 음질이 나쁘고, 요금도 비싸고, 장시간 통화하면 뜨거워지는 것 때문에 유선 전화를 설치할까도 생각했었는데 그냥 휴대폰용 핸즈 프리 이어 마이크를 사는 것으로 마무리지었다. 조금 있으면 구닥다리 컴퓨터도 처분하고 아이맥이나 맥북프로를 사야겠다.

회사가 가까워지고 신변이 정리되니 마음이 편해진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서울 시장 선거에 참여할 수 없고, 경기 도지사 선거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

2006-04-24

결혼을 축하드려요~

드디어 저희 형(KLDP 프로파일, 모질라 포럼 프로파일: low profile을 유지하려는 저의 형 때문에...)이 2006년 4월 23일 결혼을 했습니다. 저도 사촌 형수님이 아닌 친형의 형수님이 생겼구요^^. 형수님과 아직 이야기는 많이 못해봤지만 정말로 멋진 분이시고, 두 분은 참 잘 어울리는 커플입니다. 광주와 대구에서 자라난 두 사람이 새로운 터전 대전에서 사랑을 키워가게 됩니다. 두 사람이 처음처럼 끝까지 서로 사랑하고, 서로 존중하여 평등하고, 평화로운, 행복이 넘치는 가정을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신정식-조민희 결혼 사진

내면에 눌려있는 평화를 일깨우는 책: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 책표지

당신들의 대한민국을 읽고 박노자와 같은 분이 한국인이라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싶었다. 다른 문화권에서 온 놀랍도록 감수성이 뛰어난 한 한국인이 우리가 자아도취에 빠지거나, 일상화되어 느끼지 못했던 우리의 자화상을 너무나도 잘 지면화했기 때문이다. 그런 박노자 교수의 또 하나의 저작,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라는 책의 부제는 박노자의 북유럽 탐험이다. 우리가 막연하게 이상적인 복지 사회로 부러워 마지않는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등 사회민주주의 국가들을 박노자는 어떻게 보고 있을까가 궁금했다. 그리고 책의 첫머리에서 보여지는 노르웨이의 사회는 한국에서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사람들 사이의 체계도, 위아래도, 질서도, 권위도 없는 곳이었다. 다만 사람이기 때문에 존중받아 마땅한 것이지, 어떤 사람이 교수라고 해서, 또는 버스 기사라고 해서, 다른 인종이거나, 왕자이거나 심지어 죄수라고 해서 특별히 권위에 복종해야 한다거나, 권위를 내세우거나, 다르게 대하지 않는 사회! 분명 부러운 모습이었다.

그러나 그가 바라본 노르웨이 사회의 민주성과 선진성은 완벽한 것이 아니었고, 북유럽 사회의 번영과 평화 이면에 침략의 역사와 제3세계 문제에 대한 외면, 혹은 주변부 국가들의 고통이 있고, 그들의 민주주의는 온 세상에 적용되는 보편적 가치라기보다는 그들 국가 내부에 한정된 개념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꿈꾸기 힘든 좌파 노동당이 집권하고 있고, 국가에서 무상 의료와 무상 교육을 제공하고, 소수 지방 언론과 공산당이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다양한 의견들이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는 노르웨이 사회는 분단의 벽에 가로막히고, 국가 보안법의 올가미에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잡혀가고, 혼혈아가 트기라고 놀림받으며 힘들게 살아가야 하는 우리로서는 동경스러운 곳이 아닐 수 없었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북유럽 사회나 한국 사회를 가리지 않고 인류가 지금까지 문명 또는 국가라는 이름으로 저질러온 폭력에 대해 맹렬히 고발하고 있다. 온건한 민족주의조차도 어떻게 히틀러의 광기로 변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목에서, 우리 나라의 현실을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는 일본을 비롯한 외세의 폭력적 침탈에 시달리고, 분단과 대치, 오랜 군사 독재 통치라는 특수한 상황에 오래 머물러 있다보니 민족주의가 민주주의적 가치와 혼합되고, 은근하게 핏줄과 혈통이 인류의 보편성과 다양성보다 더 중요하게 자리잡아왔다. 특히 이런 잠재된 혈통 집단 우선주의는 최근의 황우석 사태에서 보듯이 맹목적인 애국주의와 국가주의의 광풍으로 변형되어 생산적인 토론과 이성적 판단을 마비시키고, 다른 인종, 다른 나라, 다른 민족에 대한 배제와 적개심으로 발전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사냥, 군복무, 학교에서의 체벌, 동물원에서 죄없이 무기징역을 살아야 하는 야생 동물들, 포르노 영화속의 강간과 같이 이미 만연한 인류 사회의 폭력에 대해 그는 단호하게 맞서고 있다. 그리고 폭력을 거부하는 개인의 인권을 존중하여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체 복무가 이미 전세계 여러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알려준다. 집단, 특히 국가의 명령은 종종 조국이라는 이름으로 신비화되어 군복무는 조국의 부름이 되고, 신성한 국방의 의무라는 이름으로 불려져왔다. 우리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을 향해 힘든 일을 기피하려는 남자답지 못한 사람이라고 손가락질해오고, 우리가 겪었던 폭력에의 추억을 당신이라고 예외일 수 없다는 잔인한 논리로 양심과 종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사람들을 군대에 몰아넣어, 수 천명이 군 내부에서 의문사당하거나 자살하고 있다. 개인의 양심에 따라 군대의 극단적인 폭력만은 거부하겠다는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는 감옥에 가거나 군대에 끌려가 폭력과 권위에의 복종을 배우고, 실습하고 오는 것 외에는 별다른 선택권이 없다. 심지어 전 사회가 병참 기지로 바뀌기를 진정 원하는 것인지, 여성까지 군복무를 시켜야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성장하면서 내면에 체득해왔던 폭력과 불평등에 대한 자각, 그리고 혹시 어렸을 때에 간직하고 있었으나 어른이 되면서 까맣게 잊혀져버렸을 우리 마음 속의 평화와 인간 존중의 심성을 다시 일깨워주는 책, 권하고 싶은 책이다.>/p>

2006-04-10

Intermezzo from Cavalleria Rusticana (Mascagni)

GS1000 synthesizer마스카니의 오페라 까발레리아 루스띠까나에는 유명한 곡이 몇 개 있는데 가장 유명한 곡이 아마도 이 간주곡이고, 그 다음에는 오렌지꽃 향기는 바람에 날리고(Gli aranci olezzano)인 것 같다. 오렌지꽃 향기는 바람에 날리고는 고등학교 때에 숙제로 오페라를 보고 오라고 해서 광주 오페라단의 공연을 봤을 때 들었던 것이 전부라 주제 부분 아주 일부 빼놓고는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그런데 이 간주곡은 워낙 유명해서 광고에도 자주 쓰이고 라디오에도 자주 등장한다. 오늘은 이 아름다운 오케스트라 곡을 GS1000 건반으로 연주한 후 역시 Line-In을 통해 아날로그 녹음을 하고 다시 dBPowerAmp를 이용해 MP3로 인코딩하였다.
Download Intermezzo from Cavalleria Rusticana (arranged and played by Greg Shin)

2006-04-09

인류의 자랑, 아름다운 인위쩐

왼쪽: 인위쩐과 바이완샹 부부, 오른쪽:메마른 사막에 나무를 심기 위해 양동이로 물을 붇는 장면

수요일 저녁, 회사에서 당직이 있는 날이었다. 근무를 마치고 피곤한 몸으로 당직실에 들어갔고, 잠이 오질 않아 TV를 켰다. 수요 기획, 숲으로 가는 길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도저히 믿기지 않는 허구같은 감동적인 실화를 접하게 되었다. 인위쩐. 그녀는 나이 스물에 중국의 내몽고 자치구인 '모우스' 사막 가운데에 시집을 오게 되었고, 사방 몇 십 킬로미터 내에 사람은 커녕 마차 한 대도 없는 토굴에서 밤낮으로 악령처럼 몰아치는 모래바람을 피해 살아야만 했다. 사람이 얼마나 그리웠으면, 시집 와서 처음 지나가는 사람의 발자국이라도 남겨보려고, 사막에 남은 발자국을 그릇으로 덮어놓을 정도였다고 한다.

아마 보통 사람 같으면 도망을 치거나, 아니면 미쳐서 자살하지 않았을까? 그러나 그녀는 그 작은 몸으로 사막의 황사와 싸워 이기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상상할 수 없는 일을 시작했다. 19킬로미터나 떨어진 묘목장까지 걸어가 묘목을 사다가 희망이라곤 도저히 보이지 않는 황량한 사막 위에 씨를 뿌리고, 나무를 심었다. 인류가 살아가면서 사막화는 더욱 가속화되어간다는데, 그 끝자락을 모질게 붙잡고 나약해보이는 한 인간이 사막을 숲으로 바꾸는 일을 했었던 것이다. 그렇게 나무를 심기를 20년, 여의도 면적의 9배에 이르는 사막을 그녀와 그녀의 남편 바이완샹이 숲으로 바꾸어놓았다. 이제 사막에 나무가 자라니, 이웃들과 친척들도 그들 곁에 오게 되고, 사막은 사람과 나무, 닭과 여우와 양과 같은 생명이 살아가는 정겨운 장소가 되었다.


그리고 아직도 끝이 보이지 않는 사막 한가운데서, 그들은 조금씩 조금씩 그들의 나무를 오늘도 심고 있다. 중국 당국은 기념비를 세워, 그녀를 중화민국의 자랑이라고 썼다. 어찌 중국만의 자랑일까, 인위쩐은 온 인류의 자랑이다. 오늘 서울에는 올해 들어 최악의 황사가 닥쳐 시가지는 온통 누렇고, 사람들은 마스크를 쓰거나 입을 가리고 황급히 들어가는 모습이다. 우리는 막강한 기술과 자본을 이용해 자연의 갯벌을 없애 새만금 간척지를 만들고, 천성산을 뚫어서 굉음을 내며 고속철이 지나가게 하고, 평택의 평화로운 마을 대추리와 도두리에 포크레인과 경찰을 동원하여 농수로를 부숴 군사 훈련장을 만들고, 백두대간의 숲에 스키장과 골프장을 지으면서 숲과 자연을 파괴할 줄은 알았지만, 인위쩐과 바이완샹처럼 이미 사막이 되어버린 곳을 숲으로 바꾸지는 못했다. 거대한 자연의 모래 바람에 온몸으로 맞서 사막을 숲으로 가꾼 인위쩐!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눈물을 흘려보기도 참 오랜만이다.

2006-04-03

웹 2.0 시대의 기회, 시맨틱 웹을 읽고

웹 2.0 시대의 기회, 시맨틱 웹 책표지

문서들간의 연결로 이루어진 현재의 웹이 의미적인 데이터들의 연결로 바뀌어,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가 데이터를 생성해낼 수 있는 미래의 이상적인 웹이 시맨틱 웹이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시맨틱 웹이라는 말보다 웹 2.0이라는 말이 더 인기있게 오르내린다. 한 때 웹에 관심을 좀 가져보았다고는 하지만, 회사에서 하는 일이 웹과는 별로 상관없는 일이다 보니 빠르게 변화하고, 많은 사람들이 환호하는 웹 2.0이 무엇인지 잘 알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어렵게 느껴졌다. 그러면서 점점 일상 생활의 매너리즘에 빠져가는 즈음에 이 책을 접하게 된 것은 큰 행운이다. 지은이 김중태님은 예전에 박수만님웹 표준 번역서가 나왔을 때 기념 모임에서 뵈었는데 아마 그 모임에 나온 사람들 중에는 가장 나이가 많은 분이셨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에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직접 기술을 하는 것을 등한시하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매우 열정적으로 글을 쓰고, 강연하고 또 캠페인을 하시는 것을 보고 참 대단하신 분이구나 하고 생각했다.

시맨틱 웹이란 용어를 접한 것은 2003년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우리말로 번역하면서였다. 접근성을 파헤칠수록 나름대로의 결론은 의미적으로 견고한 문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껴졌고, W3C의 다른 문서들을 봐도 시맨틱 웹이란 단어가 항상 등장했다. 그러다가 결정적으로 시맨틱 웹에 대해 궁금하게 생각하고 호기심을 갖게 된 계기는 Tim Berners Lee 경영국 Royal Society에서 강연한 미래의 웹이라는 비디오를 보고서였다. 그러나, 호기심에서 더 깊은 이해로 발전되지는 못하고, 세월은 흘렀고, 요즈음 나오는 웹 2.0이라는 개념들은 나와는 한참 거리가 먼 이야기가 되어갔다. 이 책은 그렇게 둔해진 나의 관심을 다시 일깨우기에 충분한 교양 서적이었고, 재미있었기 때문에 짬짬이 틈을 내어 3일만에 뚝딱 읽을 수가 있었다. 우선은 관심 바깥이었던 블로그, 트랙백, 태그, RSS, Ajax, 유비쿼터스, 그리스몽키, 소셜 네트워크 등에 대해 이해하게 된 것이 반가웠다. 지은이는 어떻게 이렇게 많은 개념들을 예의주시하고 놓치지 않고 있었을까? 이런 궁금증도 책을 읽어보면 어떻게 너무 많은 정보 속에서 자기가 원하는 관심있는 정보만 골라내어 볼 수 있는지 요즘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잘 설명해주고 있다. 웹 2.0 개념이 처음 O'Reilly 사에 의해 제기되었을 때에, 그리고 국내 네티즌들과 언론들이 관심을 보일 때에도 나는 그것이 최신의 기술적 경향들을 억지로 무리지어서 다시 이목을 끄려는 실체없는 상술에 불과하다고 여겼다. 그런데 그것은 틀린 생각이었던 것 같다. 2.0이라고 붙여도 좋을만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커다란 변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웹을 이용해 서비스나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이라면 지금부터라도 이것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지 않으면 변화에 뒤쳐지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은이의 말대로 지난 3년을 되돌아보면 엄청난 변화가 우리 생활을 바꾸어놓았듯이, 향후 몇 년에 그런 엄청난 변화를 주도할 기술이 웹 2.0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웹 2.0이라는 약간은 상업적인 용어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많은 정보를 어떻게 다루고, 표현하고, 유통하고, 획득하는지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직 시맨틱 웹이 제대로 구현되려면 무척이나 많이 해결해야 될 과제들이 있지만, 현재까지 인류가 구현해놓은 많은 기술들만 살펴봐도 미래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통찰력을 갖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어떤 일을 하든 스스로 웹과 관련이 없다고 자신할 수 있는 사람은 현대 사회에서 없다. 그렇다면 이 책이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일상 생활을 변화시키는 데에도 기여하리라고 믿는다.

2006-04-02

He passed away

I was shocked yesterday that one of our members in CMHV took his checquered life by himself. Some of CMHV members including me visited his funeral home in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He had suffered from chronic mental illness, maybe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since his early twenties. I clearly remember: he was almost always grumbling that he had not enough money to join us when we tried to visit, eat, or go somewhere. Although CMHV does not provide any monetary support for individuals, we always chose the option which is nearly free or so cheap. I felt sorry for his poverty and sometimes would like to give him some pennies, but didn't do a lot in our casual meetings. I could not decide if his grumbling was caused from his real destitution or it was one of his symptoms. He was always drunken -- suspected alcoholic, so we had to figure out with our ears flapping what he was trying to say.

However, I deeply regret his death and feel really sorry about that we did not do anything although his prognosis was not so good recent days when we observed him in our monthly meeting. We might have to report it to a doctor. We talked about his death after visiting the funeral place, and I felt helpless that we, as a volunteer friend will be able to do only a little in the future to prevent this kind of suicide.

집 구하기

오늘 오전에 오산 서울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마치고 (위내시경 하고 나니 호스가 들어왔다 나간 목이 너무 아프다.), 오후에 오산에 살만한 집을 알아보러 돌아다녔다. 원칙은 혼자 살기 적당한 작은 평수의 아파트, 빌라, 또는 원룸이되, 가격 상한선을 정하고, 월세가 아닌 것을 찾기로 했다. 인터넷의 부동산 사이트에서 대충 검색해보고 해당 부동산에 전화를 하면 영낙없이 집이 나갔다는 것이다. 인터넷에 보면 오늘 올라온 매물로 되어있는데 말이다. 그러니 인터넷 정보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 보였다. 그럴거면 인터넷에 정보를 올리지 말든지 할 것이지, 아까운 인터넷 트래픽을 낭비해가며 몇 달 전에 나간 집들을 그대로 올려놓는 건 뭔지 모르겠다.

다리품을 팔며, 버스 타고, 택시 타고 오산 시내를 휘젓고 다녔다. 시내와 가까운 운암 아파트 단지 근처, 그리고 이마트가 있는 원동 근처, 마지막으로 회사에서 가까운 청호동 근처의 아파트와 빌라를 보기 위해 부동산을 대여섯 군데 들렀고, 세 개의 집을 봤다. 웬만한 것은 다 월세이고, 전세로 나온 것이 별로 없었다. 게다가 내가 정한 가격 상한선으로는 살만한 집도 없었다. 의식주는 삶의 기본 3요소인데, 그 중에 하나인 집 값이 월급 노동자의 연봉 가지고는 몇 년을 저축해도 도저히 구입이 불가능하게 되어있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살기 위한 목적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집이 변질되고, 투기에 의해 집값 뻥튀기가 되풀이되면서 집값이 오른 사람은 반짝 즐거워할지 모르지만, 그것이 결국에는 자기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새로운 집을 살 때에 필요 이상의 더 많은 금액을 요구하고 다른 소비의 선택을 제한하여 고통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사람들은 생각하고 있을까. 정부에서 집값을 잡기 위해 별의별 수를 다 쓴다고 하니 두 손을 들고 반길 일이고 더 강력한 투기 억제 및 집값 안정 정책이 나오기를 목빼고 기다리지만, 이미 집이 투기와 재산 증식의 목적으로 인식되어진 사람들의 의식 구조가 크게 바뀌지 않으면 어떤 정책이 나와도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지 모른다. 나는 개인적으로 집이나 토지와 같이 한정된 재화이지만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자원에 대해서는 공개념을 넓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믿는다.

어쨌든 오늘 본 세 군데 모두 딱 마음에 드는 곳은 없었다. 한 곳은 집도 넓고, 시설도 그런대로 괜찮은데, 주변에 아무것도 없고 오로지 논밭만 보였다. 차도 없는 내가 수퍼에 뭐라도 하나 사러 나가려 한다면 아마, 옛날 시골에서 읍내에 장 보러 갔다 오듯이 해야 할 것처럼 보였다. 고민을 했다. 인터넷 시대이니 욕심을 조금 버리면, 자연의 맑은 공기를 마시며, 수퍼도, 세탁소도, 식당도, 미용실도, 과일 가게도 없는 곳에서 살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연금술사의 저자 파올로 코엘료도 프랑스 시골에서 그렇게 살지만, 자기는 인터넷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때문에 결코 떨어져 있지 않다고 들었다. 그러나 자신이 없었다. 젊은 날 그렇게 외진 곳에서 내 자신을 잘 추스리면서 외진 곳에서 나를 발전시켜가며 살 자신이 서질 않았다. 당장 내가 서울에서 아무 생각없이 동네에 추리닝 바람으로 나가도 이발 좀 해야지 하고 머리 깎고, 제과점에 들러 빵 좀 사야지 하고 빵을 사고, 여름에 약국에 들러 모기약을 사는 행동 습관을 바꾸어야 하지 않은가. 계획에 의해 시내에 나가 사야 할 물건 목록과 처리해야 할 목록을 만들고 하루에 그 일을 완벽하게 끝내고 다시 적막한 집으로 돌아오는 시나리오가 그려지질 않았다. 부모님과 형과 상의했다. 어떤 집이 좋겠는지. 결국 그나마 시내에 가깝고 동네에 사람들도 살고, 이런저런 가게도 있는 원룸을 선택하기로 했다. 내일 다시 부동산에 전화해봐야겠다.

2006-03-25

Matiz taxi! Why not?

궁금하게 생각하던 점입니다. 왜 1988년에 올림픽을 하면서 택시가 전부 중형으로 바뀌었는지. 중형과 소형 택시가 같이 존재하던 한 때에 택시 타는 것 자체를 아깝게 생각하시던 부모님이 택시를 타려면 소형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타라고 말씀하시던 것이 생각납니다. 하지만 점점 소형 택시는 줄어들고 결국에는 없어졌죠, 안타깝게도...

얼마 전 유럽의 거리에서 느꼈던 여러 가지 인상 중에 아직도 기억에 남는 것은 소형차가 거리에 꽤 많다는 것입니다. 그것도 1인용, 2인용 차들이. 소형차나 경차가 무조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오히려 안전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타는 SUV가 대체적으로 전복되기 쉽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고, 보행자에게 더 위험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면 중형차, 대형차가 더 안전할까요? 잘은 모르지만 그럴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대형차를 운전하는 사람들이 막연하게 더 안전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혹시 안전 운전을 더 소흘히 하지는 않을까요? 진짜로 위험한 것은 음주 운전과 난폭 운전과 같은 나쁜 운전 습관이겠지요.

소형 택시나 경차 택시를 통해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주자는 김기자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사실 불가피하게 짧은 거리를 택시로 가야 하는 경우에, 꼭 중형 이상의 택시를 타면서 비싼 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못마땅합니다. 더 결정적으로는 중형 택시로 택시 크기가 늘어나면서 자동차를 사려는 사람들도 작은 차에 대해서 좋지 않은 차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경차나 소형차는 젊었을 때, 초보 운전 시절에나 타는 것이고, 품위가 없고, 위험하다는 고정 관념 말입니다. 얼마 전에 이재용 환경부 장관이 프라이드를 탄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었습니다. 고급 자동차를 통해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려고 하거나, 사람의 등급을 매기려고 하는 것이 얼마나 천박한 짓입니까? 보행자와 사람 중심의 교통 시설과 제도를 늘리고 대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미 자동차가 현대 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한 교통 수단이라면, 이동과 수송이라는 원래의 목적에 충실하면 된다고 봅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동차로 인한 대기 오염, 교통난, 주차난, 전량 수입해오는 연료 등을 생각한다면 경차와 소형차가 중대형차보다 더 보편적인 교통 수단이 되도록 정부에서 지금보다 더 많은 지원을 해주어야 합니다.

2006-03-19

LGE Chinese Learning Center opens a blog

LG Electronics China has its own Learning Center in Beijing and they grew rapidly for a few years. It was a branch of LGE Learning Center Korea but not any more. They have their own Chinese e-learning site and staffs. Last year they performed much better than Koreans in several aspects. Now I found that they already opened their blog, e-Learning探索日志. It is interesting to keep observing and learning how they are going through their blog. Learning Center China put one step forward.

2006-03-14

Kick off trip of Web standards forum (tentative) in Korea

Picture taken in front of the Flower Land Pension at Hwangdo

During Last weekend days, I joined the first official meeting of web standards forum in Korea. It is a closed group of people who are about to write a textbook about web standards for Korean readers. We agre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web developing convention is severly distorted in the standards and accessibility viewpoints. Kwanghyun at Digital Media Research, Hyeonseok, Kukie, and Hooney joined the overnight trip to Hwangdo -- a small island located in the western sea besides the Korean peninsula. I believe I will have to devote myself to the book at least for a couple of months. Thanks to all who shared their valued time on Saturday and Sunday.

2006-03-07

Book review: 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Bookcover: 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It seemed so exciting to look into the world of game design, and theory of fun at first. It was quite a burden, however, to continue reading it without understanding and capturing the grand pictures of what the author tried to deliver. The author, Raph Koster is one of the most active game designers while the reader, Greg is one of the worst game players. The actual problem did not lie in the ignorance of games but also in lack of extended knowledge to grasp the ideas provided by Raph, the one with vast knowledges ever in the field of game development, cognitive science, social psychology, musical composing, even art. He started his writing with a question, "Why a game has full of fun while the other is just dull?" The introduction of way of how human brain works follows to pave the way for his remaining chapters. He regarded the game as a kind of learning.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adjust the level of difficulty in a game in order to provide player an adaquate level of learning, problem solving, pattern recognizing, or exploring experiences.

His comparison between games, music, and other performing arts were also insightful, if you have keen interest in human principles of high ordered human behaviours. He closes his book speaking in defense of the importance of game designer against the prejudice of old generations.

I must confess that the book is not a well-organized textbook nor a collection of fact-based theories but it seems to be a combination of various psychological findings and his full-fueled insight. It is not easy to keep the previous things or current topics in your memory to get a little bit better understanding and sense of fun in reading current pages. Sometimes I was confused and lost my ways in his footloose brainteaser. It is a book about fun for game design but is not a comic book easily covered in the crowded subway train.

2006-03-06

Visiting the Netherlands

Wind turbines far away | Amsterdam street looked in a tram | Canal in Amsterdam looked in a boat
Although the winter is not the prime time, my first visit to Europe was impressive. I was there for 8 days to setup an online training site and transfer necessary skills to the site administrators. Dutch people were kind and fortunately they spoke English so well.

The afternoon of Saturday and Sunday were the available times for me to look around Amsterdam city. It is not reasonable to tell about the city nor about the country with only a few days’ superficial experience. I am, however, trying to deliver some personal impressions about what I’ve looked through.

The hotel room was a little bit chilly at the highest temperature of adjustable knob and this was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 U.S. hotel rooms were too cool in the summer or too hot in the winter. I thought Americans were indifferent to the energy saving.

I found some unique features in Dutch street. First and most impressive thing was that the roads for bikes were found almost everywhere. Especially around the Dam and the Centrum, trams and bikes were recommended to move instead of private cars according to the tourist information. Also I could see many parking lots for bicylces in the street. One mor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small cars with hatchback seemed more popular than the usual notchback cars. Moreover, it was not so difficult to find a single-seat or double-seat car in the street. Alas! Small is beautiful!

Windmills and tulips are two representative words when I think about the Netherlands. A few traditional windmills remained but they did not seem to be used any more. Instead, very large wind turbines are easily found when driving outside the center of the city. Unforunately, the winter was not a good season to enjoy the beauty of tulips, greens, and sunshine. I missed them so much.

I regret that I was totally ignorant of Dutch during the stay. I was wondering what the messages are in the road signs. I hope I will be able to learn some basic Dutch (eg. how to pronounce, how to say hello) if I had a chance to visit the Netherlands again. The Dutch sounded much like German but it does not have umlaut.

Canals were ubiquitous throughout the city. The typical Dutch house faces a canal with just a small front yard. I could look at the beautifully decorated room through the very large window or just whole surfaced glass. One of my colleagues told me that Dutch people enjoy decorating their homes. Yes, it’s their sweet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