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MB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내놓는 정책들이 갈수록 가관이다. 특수목적고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를 더 많이 세우게 되면, 초등학교부터 특목고에 들어가기 위해 지금보다 훨씬 사교육이 늘어나고, 그런 사교육비를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은 자신의 자녀들을 일찌감치 경쟁의 뒷그늘에 방치한다는 좌절에 빠질 것이다.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대입 자율화를 명분으로 수능 등급제와 내신을 무력화시켜 그나마 공교육의 최소한의 존재 의미와 과도한 입시 경쟁의 견제 장치를 아예 없애버리고 있다. 그러더니 이제 2010년부터는 "영어 교육만 국가가 책임지고 해 줘도 (학부모들이) 가슴 펴고 살 것이다."라며 고교 영어 수업을 영어로 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영어 몰입 교육안은 현실적인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에 대해서 많은 전문가들이 회의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 더 큰 문제는 왜 정부가 이 시점에서 영어 교육을 못 시켜 안달이냐는 것이다. 영어 하나에만 수천억원을 쏟아부을 정도로 그것이 그렇게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였는가?
2MB의 영어 교육 강화 방안은 대기업과 재벌에게 모든 "규제를 풀어" 무한 자유를 주고, 농민들은 "떼쓰지 말고", 노동자들은 "자원봉사"하는 마음으로 죽도록 일만 하게 하여, "경제를 살리겠다"라는 그의 단순하고 맹목적인 구호의 연장선에 있다. 그가 영어 공교육을 강화하겠다는 말에 신뢰가 가지 않는 것도 그 이유다. 그는 영어가 아직 우리 사회의 주요 출세 수단, 경쟁 도구로서 원하는 만큼의 큰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보는 것 같다. 그래서 온 사회를 영어 광풍에 몰아넣어 모든 사람들이 죽기로 영어에 매달리게 하고 싶은 거다. 그게 바로 그가 꿈꾸는 "자율적인" 무한 경쟁 사회이니까. 그런 경쟁 사회에서 제일의 생존 도구로 떠오른 영어는 많은 사람들의 꿈속에 나타나며 괴롭게 할 것이다. 학생과 교사들은 요구하는 영어 수업을 못 따라가면 학원으로 학원으로 몰릴 것이고 결국 청소년기에 성장하면서 습득해야 하는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 형성 교육은 뒷전으로 밀릴 것이다.
영어를 왜 배우는가? 우리 나라 영어 교육의 큰 문제점은, 영어를 왜 배우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고 무조건 조금이라도 일찍, 조금이라도 더 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생을 살아가는데 지금처럼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해서 배운 영어를 쓸 일이 얼마나 될까? 그 시간에 수학, 과학, 철학, 문학, 예술을 공부했으면 우리 나라의 과학 기술과 문화 예술이 더 성숙해있지 않을까? 모든 대한민국 사람이 죽기살기로 매달려 다 영어를 잘 해야만 하는 것일까? 우리는 왜 영어를 배우는가? 혹시 우리보다 잘나 보이는 "미국"이나 다른 영어권 서구 국가들을 닮고 싶어서는 아닐까? 그것이 한참 잘못된 것이다.
내가 영어를 공부하는 목적은, 서로 다른 전통과 문화를 가진 다양한 사람들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다양한 사람들이란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세계에는 영어를 모국어로 쓰지 않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그리고 그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해 서로의 언어를 배우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보통은 중간 언어인 영어를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세상에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를 수도 있는 사람들이 존재하고, 우리말과 우리 문화가 소중한 만큼 그들의 말과 문화도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는 데에 영어는 하나의 도구이다. 이것이 진정한 세계화 교육이다. 우선 우리의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런 정체성을 바탕으로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배척하지 않고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의 지평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넓히는 것. 맹목적으로 현재 영어를 못하니까, 또는 미국 사람들이 쓰는 것이니까 국가가 "올인"해서라도 모든 사람을 미국 사람처럼 만들겠다는 발상에 동의할 수 없다.
2MB의 영어 교육 방안은 한 특목고 교장이 자기 학교 선전용으로 내놓을 만한 것이지 결코 국가의 교육 정책을 책임지는 대통령이 내놓을 만한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공교육은 맹목적으로 "영어 못하니까 국가가 나서서 영어 교육 시켜주면 되겠네!"식의 단순한 성장 처방이 아니다. 보다 성숙한 국가로 가기 위해 할 일이 얼마나 만을텐데, 20세기 초에나 나올법한 "대운하"를 파자고 하질 않나, 갑자기 고등학생들 영어 회화 잘 하게 해주겠다고 하질 않나, 정말 한숨만 나온다.
이러닝 담당자 교류회에 갔다가 책을 하나 받았습니다. 원래는 유영만 교수님이 특강을 하시기로 되어 있었는데 일정이 변경되고 대신 이 "용기"라는 책을 얻어왔습니다. 보아하니 두께도 얇고, 그림도 많고, 읽기 쉬울 것 같아서 지금 읽고 있는 책 두어 권을 다 덮어버리고 요걸 먼저 읽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자는 교육공학을 전공하신 분인데 이런 종류의 대중 서적 집필이나 대중 강연을 비교적 많이 하신 분입니다. 그중에 몇 번 들어봤는데 솔직히 제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강연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책을 대할 때 굳이 비판의 쌍심지를 치켜들고 보는 대신에 되도록이면 겸손하게, 나의 머리와 가슴을 비워두고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주중에 하루 휴가를 냈습니다. 그동안 밀렸던 은행 일들을 끝내기 위해 시외 버스까지 타고 왔다갔다 하며 오늘 하루만 은행을 다섯 군데나 돌았습니다. 그렇게 모든 일을 마치고 오산에 돌아왔는데 웬지 그냥 집에 들어가기엔 아까운 것 같아, 영화관에 들러 시간 되는 것으로 선택한 영화가 바로 헤어스프레이! 포스터를 보아하니 웬 촌스러운 여자가 전면에 웃고 있는 것이, 분명히 삼류 코메디일거라고 생각하고 들어갔습니다. 언제나처럼 오산의 영화관은 자리가 남아돌기 때문에 가장 보기 좋은 자리에 턱 하니 앉아서 느긋하게 영화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드디어 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