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chive

2007-08-22

불을 끄고 별을 켜다, 바로 내일(22일)!

오는 8월22일은 제4회 에너지의 날입니다. 에너지 시민 연대에서는 22일 밤 9시에 단 5분만이라도 동시에 불을 끄고 에너지 절약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행사를 합니다. 낮 2시부터는 한 시간만 에어컨을 끕니다. 서울의 도심 한 가운데에서는 주변 건물들이 소등 행사에 동참하여 불 꺼진 도심에서 별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0명의 일반 시민이 언플러그드 음악을 대표하는 통기타 합주도 하여 기네스 기록에 도전할 예정입니다. 저는 아쉽게도 평일 저녁이라 시간이 안 되어 서울까진 못 가지만, 집에서 불을 끄고 주변에 정신없이...

Two inspirational quotes

EBS 라디오의 영어 방송, 현석과 애나의 귀가 트이는 영어, 조오제의 토익 리스닝, 이보영의 포켓 잉글리시, 김대균의 뉴 토익 한 오 분 정도. 요기까지가 내가 아침에 출근 준비하면서 들을 수 있는 라디오 방송이다. 날마다 듣지만 건성으로 듣다 보니 영어는 거의 패~쓰 하고 해석했던 우리말만 몇 개 건지게 되는데... '귀가 트이는 영어'에서는 기억해두면 좋을만한 인용구를 소개하면서 방송을 끝맺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까먹었지만 오늘 들은 것 하나와 예전에 들은 것 하나를 적어놓는다.A pessimist sees the difficulty...

2007-08-21

다양성이 주는 풍요로움에 대한 찬미, 롱테일 경제학

즉흥적이고 짧게 소화할 수 있는 TV, 인터넷과 친해지면서 책과 내가 얼마나 거리가 멀어졌는지... 이 정도 분량의 책을 읽기 위해 얼마나 긴 세월을 질질 끌었는지 모르겠다. 어쨌든 지난 주말에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만큼의 더운 틈을 타서 밀렸던 책을 다 볼 수 있었다.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리고 웹과 정보 기술의 세계에서 롱테일에 대한 이야기는 아주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 그래서 뒤늦게나마 그게 무엇인지 자세히 읽어볼 수 있게 된 것이 다행이다. 롱테일 경제학은 웹 2.0의 경제학이라고들 한다. 재미있는...

2007-08-19

밤의 음악

오페라의 유령에서 The Music of the Night(밤의 음악)을 건반으로 연주해보았습니다. 현실과 빛의 세계에 있는 크리스틴을 어두움과 밤의 세계로 유혹하려고 팬텀이 부르는 노래입니다. 8월 들어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이 지치게 되었습니다. 휴일이나 밤이 되어도 더위가 가시지 않고, 회사에서 불을 밝히고 일을 해야만 했던 경우가 많아지니 진정한 어두움과 휴식이 있는 달콤한 밤이 그리워지더군요. 어떤 경우에도 쇼는 계속되어야 하는(The show must go on!) 압박에서 잠시 벗어나 환한 불도 끄고,...

2007-08-03

지리산 등반의 교훈

7월 28일과 29일 이틀간 고교 친구인 창준, 병준, 용일과 함께 지리산에 다녀왔습니다. 젊은(?) 남자들의 등반 계획이라 결코 만만치 않은 일정이었는데 친구들의 철저한 준비, 도움, 재치로 무사히 마치게 되어 기쁩니다. 지리산 종주는 이번이 세 번째였는데 아마 가장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나이 탓인지, 아니면 체력 단련을 하지 않은 탓인지 모르겠지만. 산행의 와중에 (산행과는 별 상관 없는) 정말 많은 생각들이 떠올랐습니다. 그것들을 적어놓지 않으면 다 까먹을 것 같아 남겨놓습니다.준비물여름에 지리산 정도 되는 산에 갈 계획이라면...

2007-07-08

평창 사람들에게

강원도 평창이 2014년 동계 올림픽 후보 도시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뭐 동계 올림픽하고 나하고는 아무런 상관도 없고,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 파괴가 이루어질까봐 내심 걱정이 되었으나, 막상 뉴스에서 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평창 사람들의 눈물을 보니 안타까웠다. (일부는 땅 값이 오르지 않아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이 온 힘을 다해 응원하고 바랬던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느끼는 허탈감이 컸을 것이다. 살다 보면 개인이든 단체든 기적같은 성공도 일어나지만,...

2007-06-29

웹 표준 교과서 나왔다는데

마시코 타카히로가 쓴 웹 표준 교과서가 김대석님의 번역으로 나왔습니다. 사실 번역은 아주 오래 전에 이루어졌습니다. 원본이 영어가 아닌 일본어이다보니 웹 표준에 대해서도 능통하고, 한국어, 일본어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번역자로 김대석님은 아주 독보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2006년 초반인 것 같은데, 강민혜님, 신현석님, 조훈님과 함께 번역된 결과물의 우리말 감수를 맡게 되었습니다. 저는 접근성 부분 감수를 맡으면서 책을 구경하게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교과서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내용입니다. 방대한 관련 표준이 참고하기...

2007-06-27

웹 접근성 향상 캠페인

인터넷이 며칠 째 먹통이 되어 이런 캠페인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몰랐군요. 한국 정보 문화 진흥원에서 웹 접근성 향상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 웹 표준, 상호 운용성 등에 대해 사람들이 말을 많이 하지만, 아직도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다른 나라 얘기이거나 도대체 무슨 이야기인지 모르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 면에서 이런 캠페인은 보통 사람들에게 쉽고 평범하게 웹 접근성이 왜 중요하고 꼭 지켜야만 하는 것인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쉽고 빠르게 접근성에 대해 설명해주는 동영상, 강추입니다.접근성에...
Page 1 of 251234525Next 》